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7483173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3-03-10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기 전에
박제가와 <북학의>
서문
내편
수레 / 배 / 성 / 벽돌 / 제 / 기와 / 자기 / 대자리 / 가옥 / 창문 / 돌층계 / 도로 / 교량 / 축목 / 소 / 말 / 나귀 / 안장 / 말구유 / 시장 / 상인 / 은 / 돈 / 쇠 / 재목 / 여자 옷 / 극장 / 중국어 / 통역 / 약 / 된장 / 도장 / 담요 / 관보 / 종이 / 활 / 총과 화살 / 자 / 문방구 / 골동품과 고서화
외편
밭 / 거름 / 뽕나무와 과일 / 농사와 누에치기 / 이희경의 <농기도> 서문 / 용미차에 대한 이희경의 설명 / 과거 제도에 대하여 1 / 과거 제도에 대하여 2 / 선비를 시험하는 정책 / 북학에 대한 변론 1 / 북학에 대한 변론 2 / 관직에 대하여 / 봉급 제도 / 나라의 재물 / 중국과의 무역 / 군대에 대하여 / 장례에 대하여 / 중국에 대한 존대 / 병오년에 올리는 글
진북학의
왕명에 따라 적어 올린 <북학의> / 수레에 대한 아홉 가지 이치 / 밭 / 거름에 대한 다섯 가지 이치 / 뽕나무 / 농기구에 대한 여섯 가지 이치 / 쇠 / 볍씨 / 곡식 이름 / 땅의 이용, 그 두 가지 이치 / 논 / 물의 이용 / 늙은 농부 / 구전법 / 모내기 / 씨감자 / 상업 / 선비의 도태 / 둔전 비용 / 하천의 준설에 대한 두 가지 이치 / 창고 만들기에 대한 세 가지 이치 / 배 만들기에 대한 네 가지 이치 / 오행이 사라졌다는 의미 / 번지와 허행 /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한 기도 / 농사와 누에치기 / 나라의 재물 / 중국과의 무역 / 중국에 대한 존대
연표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요즘은 내가 현재의 중국 법 중에도 배울 만한 것이 있다고 말하면, 모두들 들고일어나 비웃는다. 나는 우리가 중국의 오랑캐를 내쫓기는커녕 우리가 갖고 있는 오랑캐 같은 풍속조차 문명화시키지 못할까봐 걱정이다. 그러므로 오랑캐를 몰아내고자 한다면 먼저 오랑캐가 누구인지를 알아야 하며, 중국을 존대하고자 한다면 그 나라의 법이 훨씬 훌륭함을 알아야 한다.-'진북학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