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7483286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6-06-2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1 장례문화란 무엇인가?
죽음과 관련한 의례거나 그 일
무덤의 기능은?
흙과 무덤
한자에서 무덤의 역사를 찾다
2 선사 시대, 모든 장법이 시작되다
구석기 시대 ‘흥수아이’의 동굴장
신석기 시대, 장법의 다양화
청동기 시대, 거대한 돌을 사용하다
3 원삼국과 삼국 시대, 장대한 고분문화가 성행하다
한나라의 무덤문화를 들여온 낙랑
원삼국 시대, 고분문화가 시작되다
삼국 시대, 장대한 고분을 축조하다
다양한 고분의 등장
외래사상의 전래
4 통일신라와 발해, 불교식 장례가 전개되다
통일신라, 거대한 고분의 퇴장
통일신라, 전통과 외래문화가 뒤섞이다
발해, 고구려의 전통을 계승하다
5 고려 시대(1), 다양한 장례문화를 선보이다
절이 곧 장례식장
장례 절차는 어떠했나?
장례 기간과 상복은?
고려 왕실의 장례제도인 국휼
6 고려 시대(2), 전통 장례가 태동하다
고려 시대 무덤 만들기
무덤의 안과 밖
화장무덤의 보급
풍장과 유기장의 흔적
가족묘지가 탄생하다
7 조선 시대(1), 유교적인 장례문화가 발전하다
가례의 도입
화장의 금지
조선 왕조의 상장예제
예서의 편찬과 보급
조선 왕조의 국영 장의사 귀후서
관곽 만들기
생전의 옷 가운데에서 좋은 것을 입다
8 조선 시대(2), 전통적인 무덤문화가 완결되다
돌방무덤에서 회격무덤으로
무덤의 계급, 능.원.묘
묘비로 조상의 이름을 빛내다
묘표와 묘갈 그리고 신도비란?
예송으로 편을 가르다
음택풍수지리가 신앙으로
산송으로 날을 새다
9 일제 시대, 이질적인 장례문화와 만나다
근대식 화장장의 설치
근대적인 장묘제도의 도입
공동묘지제도의 허와 실
「의례준칙」을 강권하다
10 현대, 장례문화가 산업화되다
매장 묘지법, 일본 것을 베끼다
가정의례를 법률로 통제하다
장례 산업의 시작부터 전개까지
글을 마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불교가 국교이고 화장이 불교의 장법이라는 이유만으로 왕실과 귀족층들이 그렇게 쉽게 화장을 수용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지배층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하던 장법이었다면 아마 큰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새로운 사상인 불교는 전통신앙과 충돌하면서 융화되었지만, 화장은 신석기 시대 이래 전통적으로 지배층의 장법이었기에 큰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다 전통 시대에 일정한 격식을 갖추어 화장을 하는 데는 꽤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가능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화장이 힘없는 민중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고비용의 장법이었기 때문에 지배층이 이것을 더욱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싶다. - 본문 76~7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