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75272059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00-10-0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부 국제관계의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제1장 국제환경의 변화와 국제관계 이론 유형 및 성격
1. 국제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국제관계 패러다임 요청
2. 기존 국제관계이론의 유형 및 특징
제2장 국제관계에 대한 세계정치경제학적 분석 배경
1. 마르크스주의의 국제관계론에 대한 함축성
2. 세계체제 분석의 함축성 : 국제관계에 대한 분석적 핵심
3. 세계정치경제학적 분석조건 : 분석단위와 지문화(geoculture)
제2부 세계정치경제학적 분석
제3장 세계정치경제학적 분석의 기본 개념과 세계체제의 특징
1. 기본 개념
2.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구조적 특징
3. 체제의 변동 : 주기와 상.하향 이동
4. 반주변의 체제에 대한 영향과 전환적 역할
제4장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구조적 위기 및 전환
1. 자본주의 위기 일반론
2.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위기의 기본 성격 : 구조적 위기와 전환
제5장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발전 : 지정학 및 지문화적 변동
1. 미국 헤게모니 체제(냉전체제)의 구축과 붕괴
2.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재구조화 : 세계경제, 지정학 및 지문화적 변동
제3부 세계체제의 발전 : 세계화. 세계절서
제6장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발전 : 체제지속으로서의 '세계화'
1. '세계화' 담론의 쟁점들
2. '세계화' 지향의 기본 동인과 체제 역동성
제7장 세계화 담론의 연속. 세계질서론
1. 세계질서의 변화에 대한 기본 인식
2. 세계질서의 유형 : 전형론, 상황론, 구조론
3. 세계질서의 시공간과 체제 동학
제8장 세계질서론의 공생적 쌍으로서의 세계문화론
1. 세계적 변화 추세와 세계문화론
2. 세계문화(global culture)
제4부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미래
제9장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점근선 : '자본주의 세계사회'
1. 단기적 및 부분적 전망 : 가능성과 한계
2. 체제 접근선으로서의 '자본주의 세계사회'
제10장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변화 방향 및 역동적 조건
1. 변화의 흐름 및 방향
2. 역동적 조건들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구조적 특징, 일련의 연관된 과정 그리고 경향들은 체제의 발전과정 및 작동법칙에 대한 실마리뿐만이 아니라 체제의 위기 및 전환에 대한 함축성도 포함하고 있다.
체제적 전환은 체제의 구조적 실체들과 이 체제들의 장기추세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위기들의 연속과 심화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이다. 위기는 체제 전체적이고 구조적인 모순의 표출형태이며,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위기는 심층적인 모순의 심화에 따른 체제의 커다란 구조적 긴장을 의미하며, 나아가 역사적 체제의 위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