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88975275203
· 쪽수 : 231쪽
· 출판일 : 2006-01-2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프롤로그
1. 구좌파 - 신좌파: 운동의 인식론적 구조
무관심에서 벗어나기: 사상을 달리하는 신좌파 지식인
새로운 전위: 민주사회학생연맹, 독일사회주의학생연맹, 상황주의자,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주의자
2. 행동을 통한 계몽: 이론의 실천
대학소요: 버클리와 베를린, 1964~65년
항의에서 저항으로: 저항을 촉진하는 베트남전
'켄타우로스의 침입': 비트.보헤미안족과 대항문화
침묵에서 행동으로: 극복되지 않은 과거의 고통
3. '다른' 사회로 가는 길?: 동원 과정
'긴 행진': 전략과 동맹
구정공세: 저항의 동시화
'상상력에게 권력을'?: 1968년 5월 가능성의 장
4. 모순: 운동의 붕괴와 영향
이탈: 조직문제와 폭력문제
돌파 혹은 '집단적인 꿈'?: 평가문제
에필로그
역자 후기
참고 문헌
조직, 일람표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5월 3일에서 10일까지 1주일 안에 프랑스는 미국과 서독, 이탈리아에서 이미 완성된 과정, 즉 행동을 통해 동원되는 학생운동의 형성이라는 과정을 따라잡는다. 뒤이어 24시간 안에 프랑스 학생운동은 다른 나라의 발전을 '앞지른다'. 거대한 노동 계급이 학생과 연대한다.
서독에서도 1968년 5월 학생과 노동자가 거리에 나서고, 의회 외부 반대파(APO)는 의회와 비상권한법 2.3회독을 배경으로 동원 활력을 정점으로 끌어올린다. 하지만 프랑스에 비견할 만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위대한 병행'이 독일의 5월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프랑스의 상황'을 서독에서 창출하려는 시도는 빗나간다. - 본문 12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