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연극/영화
· ISBN : 9788975813849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0-02-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
1980년대 초기의 중국 영화
현실주의로의 회귀
제4세대 감독과 그 작품
제4세대 감독의 성취
제4세대 감독의 신 단계 창작
제4세대 감독의 인성에 대한 관심
제5세대 감독과 그 작품
제5세대 감독의 등장과 그 발전 과정
제5세대와 탐색영화
제5세대 감독의 창작 특색
제5세대 감독의 대표인물(1):천카이거
천카이거 작품 감상
제5세대 감독의 대표인물(2):장이머우
장이머우 작품 감상
제5세대 감독의 대표인물(3):톈좡좡
톈좡좡 작품 감상
제6세대 감독과 그 작품
제6세대 감독의 출현과 그 창작 특색
제6세대 감독의 작품 감상
장위안의 《귀성》
장위안의 《녹차》
왕샤오솨이의 《북경 자전거》
쟝원의 《햇빛 쏟아지던 날들》
루쉐창의 《장성》
장양의 《목욕》
훠用치의 《그 산, 그 사람, 그 개》
루촨의 《잃어버린 권총》
쟈장커 《샤오우》
펑샤오강의 ‘신년 축하 영화’
중국 영화 시나리오 보기:쟈장커 감독 작품 《샤오우》
영화화되기 전의 소설 원작 보기:펑用밍의 《그 산 , 그 사람 , 그 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6세대 감독의 작품은 도시감각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감독의 도시체험이 들어 있다. 90년대 중국 사회의 모순은 모두 도시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제6세대 감독은 도시인의 심태로 도시를 대하고 도시인의 방식으로 도시를 드러내었다. 그들은 흐릿한 색채, 움직이는 구조, 로큰롤 리듬, 우울하거나 의기소침한 인물 등을 사용하여 그들 자신이 도시의 소음과 번잡함 속에서 느낀방식당히 개인화된 희망?당혹감 그리고 귀의할 바 쟆 방생존 체험을 표현하였다. 제6세대가 찍은 작품들은 ‘도시 중의 소외된 사람’의 영화로, 이처럼 약속이나 한 듯이 일치하는 ‘소외감’과 ‘미망감迷茫感’의 배웄직이투시되어 나오는 것은 바로 제6세대 감독들의 진성眞誠함과 솔직함이다. 그들의 영화는 일종의 도시의 부화감浮華感을 어렵사리 드러내었는데, 이러한 부화감은 그들이 도시를 이해하고 도시로 진입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