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어진 공간과 재구성된 사회적 공간

주어진 공간과 재구성된 사회적 공간

(청도 종족들의 역사인류학적 연구)

박성용 (지은이)
영남대학교출판부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2,000원
38,000원 >
40,000원 -0% 0원
0원
4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주어진 공간과 재구성된 사회적 공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어진 공간과 재구성된 사회적 공간 (청도 종족들의 역사인류학적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75819650
· 쪽수 : 680쪽
· 출판일 : 2024-12-05

책 소개

사회적 공간에 관한 체계론과 실천론의 상보적 맥락에서 청도의 종족(宗族)과 한국의 급격한 사회·문화변동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역사 실천적 존재로서 지역 엘리트들이 창출한 사회 문화적 특성을 드러낸 노작이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1부 민족지적 조사·연구와 이론적 배경, 청도 개관
1장 서장: 민족지적 조사·연구와 책의 구성
2장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성: 사회 행위자들의 역사적 실천과 공간적 관계의 구성
3장 청도: 공간의 지역화

2부 종족의 상징적 자본과 ‘양반다움’의 문화정치
4장 명망의 문화정치: 종족의 상징적 자본과 종가의 사회적 위상
5장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 정치적 구성

3부 혼인 관계와 친구 관계의 공간적 구성
6장 통혼권의 공간동학적 의미: 신촌리 사례
7장 청도 양반의 혼인전략: 신촌리 사례
8장 친구 관계와 문화적 취향: 신지리 사례

4부 지역 엘리트로서의 자리매김 하기와 유교 문화경관
9장 ‘명조’의 표상 구축과 종족 분파, 그리고 문화 정치적 실천: 신지리 참의공파의 사례
10장 경합적 유교 문화경관: 서원·재실·정자를 중심으로

5부 지명의 사회공간적 의미
11장 양반 종족촌락의 지명에 나타난 사회적 공간의 위계와 구별짓기: 신촌리 사례
12장 지명의 정치학: 청도김씨 종족집단과 ‘청도면’ 지명 명명 사례

6부 사회적 실천윤리와 의례 수행 공간
13장 전통과 사회적 실천윤리: 신지리 박재형의 『해동속소학』에 관한 언설 분석
14장 재현된 유림장과 묘지의 사회공간적 구성: 신촌리 사례

7부 종합고찰
15장 선택적 역사 실천과 재구성된 사회적 공간
16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성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Aix-Marseille 1 대학교에서 「Echanges economiques et relations sociales dans deux communautes villageoises de Coree」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남대학교 교수, 박물관장, 문과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영국 런던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의 객원교수,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중국 운남대학교 등의 초청교수로서 연구 및 교육활동을 하였다. 역사문화학회장, 한국문화인류학회 이사 등의 학회 활동을 한 바 있다. 저서로 『경북문화재대관』(공저, 1999), 『경제교환과 사회관계』(2003), 『독도 울릉도 사람들의 생활공간과 사회조직 연구』(2008), 『경북 옹기의 문화지도』(공저, 2010) 등을 펴내었다. 주요 논문으로 「옹기장들의 제작기술과 다양한 신체적 실천」(2015), 「Differing Korean and Japanese Perceptions of the East Sea/Sea of Japan in the Nineteenth Century」(2016),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정치」(2021) 등이 있다. 주된 관심 분야는 사회적 공간, 물질문화 등에 두루 걸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용각산 기준으로 ‘산동’과 ‘산서’ 구분
지역민들은 청도를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 않는다는 뜻인 도불습유(道不拾遺)의 관습을 중요시하는 고장이며, 『오산지(鰲山志)』(1673, 李重慶)에 소개된‘산천청려 대도사통’(山川淸麗, 大道四通)이란 말처럼 산과 시내가 맑고 아름다우며 큰 길이 사방으로 통하는 점이지대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이러한 청도를 산동과 산서 지역으로 구분한다. 이는 역사상 문화적·정치적·경제적·사회적 요소가 상호 작용하면서 이루어진 결과다. 산서지역은 이서국이 있었던 곳이고 산동지역은 신라의 영향이 강했던 곳이다. 신라와 이서국의 전쟁, 출토되는 토기의 형태적 특징과 외부로 연결되는 도로망, 향권 문제, 일제 강점기에 행해진 합군이속 등은 용각산을 중심으로 산동과 산서로 공간을 분획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지금은 보기 드문 유림장과 묘지의 사회공간적 구성도 샅샅히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를 지나 일제 강점기를 거쳐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유림에서 학덕이 높은 선비를 존경하는 의미에서 행하는 이른바 전통적 유림장(儒林葬)에 대한 연구는 매우 희소하다. 1996년 청도에서 작고한 박효수 선생의 장례가 유림장으로 치러졌다. 박효수 선생은 생전에 『주자가례(朱子家禮)』,『가례증해(家禮增解)』의 예법을 정리한『가례증해간초록(家禮增解簡抄錄)』을 저술했다. 유림장은 유월장(踰月葬)으로 행해지는데 멀리서 오는 사람들도 문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례이다. 유림장의 절차가 질병천거정침(疾病遷居正寢), 기절내곡(旣絶乃哭) 등 소임을 정하는 과정과 시신을 관에 안치하는 치관(治棺), 시신이 장지로 가는 과정인 발인(發引)을 비롯해 길제(吉祭)까지 18단계로 정리돼 있다. 특히 노론 전통을 이어받은 한 반촌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진설 방식·상복제도 등이 남인의 전통과 다르며, 묘지의 공간구성 방식도 불후적 생명관(不朽的 生命觀)과 집안·문중 성원 간의 사회적 거리를 반영하고 있음을 심층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촌락·지역·국가의 복합 다층적 관계 속에 종족 분파 재조명
청도·밀양에 세거하는 밀양박씨·청도김씨 종족의 선조들이 세거·정착한 과정과 지역 및 전국 차원에서의 대문중과 소문중의 구성 양상, 선조들의 삶을 조명했다. 종족의 분파를 세계도(世系圖)로 제시하여 종족원들이 관념적으로 인식하는 종족과 실제 법인체의 역할을 하는 실천적 종족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명쾌하게 풀어내는 등 역사인류학적 연구 결과가 총망라되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