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철학과 역사

미디어 철학과 역사

김병선 (지은이)
계명대학교출판부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8,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디어 철학과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철학과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7585783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7-06-26

책 소개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미디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현상들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시도하였다. 특히 MMORPG, 소셜 미디어, 미디어 진화, 미디어와 정신병리 등 여러 가지 사회현상들에 대한 연구를 미디어 철학이라는 관점에서 정리하고 체계화시킨 것이다.

목차

머리말 / 4

제1장 주요 철학적 개념들에 대한 기초적 이해 / 23
1.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의 이데아와 경험 세계 / 23
1) 플라톤의 이데아론 / 23
2)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eidos)과 질료(hyle) / 27
2. 근대 철학에서의 관념과 이미지 / 28
1)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 / 28
2) 관념론과 실재론 / 31
3) 표상(表象)과 재현(再現) / 34
3. 만들기와 모방의 철학적 의미 / 37
1) 만들기의 언어적 기원 / 38
2) 포이에시스(Poiesis)와 미메시스(Mimesis) / 41
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 개념의 차이 / 45
4. 매개된 실재와 매개의 형식 / 47

제2장 게임과 실재성의 문제 / 57
1. 실재론과 비실재론 / 57
1) 굿맨의 비실재론 / 59
2) 세계의 버전 의존성과 옳은 버전의 문제 / 62
2. 세계 만들기(버전)의 구성과 그 방법 / 65
1) 합성과 분해(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 66
2) 강조(weighting) / 67
3) 배열(ordering) / 69
4) 삭제와 보충(deletion and supplementation) / 69
5) 변형(deformation) / 71
3. MMORPG 세계 만들기 / 72
1) 합성과 분해 : 판타지 문법의 범주화 / 72
2) 가중치 : 캐릭터와 육박전, 그리고 성장 / 73
3) 배열 : 캐릭터의 본성, 경험, 진화 / 74
4) 삭제와 보충 : 판타지와 현실의 결합 / 75
5) 변형 : 물리적 법칙의 의도적 왜곡 / 76
4. 다층적 세계 버전들의 중첩 / 77
1) 아이템 현금 거래를 통한 세계들의 접합 / 77
2) MMORPG의 하이퍼매개성 : 오프라인 현실 세계 버전과의 접합 / 80
3) 게임 아이템과 페르소나(persona) : 세계 버전에서의 정체성 문제 / 84
5. 또 다른 버전(version)의 세계로서의 MMORPG / 86

제3장 미디어의 진화와 역사 / 93
1. 미디어 진화 개념의 의미와 기원 / 93
1) 미디어가 진화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93
2) 진화 개념에 대한 오해의 근거들 / 97
3) 우연적인 변이와 관계론적 철학 / 101
4) 미디어와 기술을 보는 진화론적 관점 / 104
2. 미디어진화론 : 밈-복합체의 변이와 진화 / 107
1) 미디어 변이의 최소 단위: 밈- 복합체로서의 미디어 기술 / 107
2) 미디어 밈- 복합체의 형성 과정: 신체의 확장과 공생진화 / 112
3) 미디어 밈- 복합체의 변이 : 유전자형과 표현형 vs 대상과 배경 / 116
4) 미디어 밈 - 복합체 변이의 진행 과정 : 테트라드(Tetrad) / 122
5) 미디어 밈 - 복합체 변이의 유전 : 수용자 포섭과 관계의 역전 / 124
3. 현재의 미디어 진화 방향과 생태학적 존재로서의 인간 / 128

제4장 미디어와 정신병리학 / 137
1. 정신병리현상과 미디어 기술 / 137
2. 19세기, 인쇄된 미디어, 편집증의 시대 / 142
3. 20세기, 텔레비전, 분열증의 시대 / 153
4. 21세기 과잉 사회, 네트워크된 미디어, 우울증의 시대 / 159

제5장 소셜 미디어와 소통의 현상학 / 169
1. 소셜 미디어의 공간 편향성 / 169
2. 소셜 미디어들의 계보 / 175
1) 페이스북과 사적 네트워크의 확장 / 175
2) 마이크로-블로그와 확장된 메시징 / 182
3) 블로그와 대안적 저널리즘 / 185
3. 소셜 미디어 시대, 소통의 현상학 / 190

제6장 미디어, 상황, 그리고 행동 / 199
1. 새로운 미디어에 의한 새로운 상황 정의 / 199
2. 새로운 상황에서의 새로운 행위 / 202
1) 다양한 상황 패턴 / 205
2) 단일한 정의의 필요성 / 206
3) “중간”, “맨 뒤쪽”, “맨 앞쪽” 영역 행동 / 210
4) 모든 행동 체계의 상호의존성 / 215

제7장 결론 : 디지털 미디어와 인간의 미래 / 221
1. 디지털 미디어 지식 체계의 불안정성 / 221
2. 인공지능의 존재론 : 인공 지능은 현존재가 될 수 있을까? / 230
1) 네트워크-내-존재자인 디지털 정보의 이중적 존재 양식 / 231
2) 컴퓨터의 존재론적 의미 / 234
3) 인공 지능의 존재론적 의미 / 238
3. 미디어 과잉의 시대, 미디어는 어떤 우리를 만들 것인가? / 241

참고문헌 / 244

저자소개

김병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미디어 기술의 정신병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소셜 미디어의 계보와 소통의 현상학”, “진화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변이에 관한 연구”, “간첩사건의 행위자 네트워크”가 있으며, 저서로는 《이미지와 기억: 이미지 개념의 철학사》, 《미디어 철학과 역사》, 《커뮤니케이션학의 확장》(공저), 《분단의 행위자 네트워크와 수행성》(공저), 역서로는 《장소감의 상실(No sense of place)》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