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물의 과학과 미학

물의 과학과 미학

홍윤호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6,7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물의 과학과 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물의 과학과 미학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75988523
· 쪽수 : 409쪽
· 출판일 : 2010-09-25

책 소개

물의 과학적인 측면에서 화학, 물리, 생리학, 의학, 건강학, 물부족 문제와 해결 방안 등을 지금까지 보고된 학술문헌들을 참고로 하여 정리, 종합하고 소비자를 위한 물의 합리적 이용방법을 제시하는 책. 또한 물을 소재로 하거나 물과 관련된 미학적인 측면들을 철학, 문학, 미술, 음악, 영화 등으로 분류하여 조명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물의 과학

제1장 물의 화학
1.1. 물의 조성
1.2. 물 분자의 구조와 결합
1.3. 물 분자의 회합 (association of water)
1.4. 물 분자의 분해 (dissociation of water molecules)
1.5. 식품에서 물의 역할
1.6. 수분활성도 (water activity, Aw, aw)
1.7. 얼음의 구조

제2장 물의 물리학
2.1. 물의 형태 (phase)
2.2. 물의 밀도 (density)
2.3. 물의 탁도 (turbidity)
2.4. 물의 전도성 (conductivity)
2.5. 물의 점도 (viscosity)
2.6. 물의 압력 (pressure)
2.7. 물의 증발열 (heat of evaporation)과 융해열 (heat of fusion)
2.8. 물의 표면장력 (surface tension)
2.9. 물의 증기압 (vapor pressure), 열전도율 (heat conductivity), 유전율 (electric permittivity)
2.10. 물의 5각수 및 6각수
2.11. 얼음의 특성
2.12. 저온 농축 (cryoconcentration)
2.13. 물의 비열 (specific heat)
2.14. 물의 연화 (softening)
2.15. 물의 전기분해와 이용

제3장 물의 미생물학
3.1. 물에 존재하는 미생물들
3.2. 수인성 감염병 (waterborne disease)
3.3. 수인성 감염병의 치료
3.4. 수인성 감염병의 예방
3.5. 소독제 사용 시, 물의 성질과 병원균 종류를 고려해야 한다
3.6. 세균의 활성과 수질
3.7. 목욕탕의 박테리아
3.8. 욕실바닥, 싱크대 등을 착색시키는 미생물

제4장 물의 생리학
4.1. 인체에서 물의 중요성
4.2. 인체에서 물의 기능
4.3. 무기질 (mineral)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4.4. 무기질의 과잉섭취는 부작용의 원인
4.5. 노인 그룹과 물의 중요성
4.6. 인체 수분의 분석 기술

제5장 물의 건강학
5.1. 효과적으로 물 마시는 법
5.2. 물을 이용한 치료법 (물 치료법, 물 요법, water therapy)
5.3. 물 다이어트 (물 식이요법, water diet)
5.4. 물의 종류
5.5. 정수기의 이용

제6장 물의 오염에 의한 질병
6.1. 수인성 전염병 (water born disease)
6.2. 수중 유해물질

제7장 물의 품질 평가
7.1. 수질기준
7.2. 먹는물 중의 불안 성분들

제8장 물의 검사
8.1. 이화학적 검사
8.2. 세균학적 검사

제9장 물 부족 문제와 해결 방안
9.1. 물의 일반적 특성과 부족의 문제 제기
9.2. 물 부족 현황
9.3. 물 부족의 원인
9.4. 물 부족의 해결방안
9.5. 모든 생명체들에게 충분한 물을!

제10장 바닷물의 담수화
10.1. 담수화의 특징
10.2. 담수화의 향후 전망
10.3. 담수화 공법별 분류
10.4. 상 변화에 따른 분류
10.5. 에너지 사용 형태에 따른 분류
10.6. 담수화 공법별 특성 비교
10.7. 공법별 경제성 비교
10.8. 공법별 장단점
10.9. 공법별 실용성 비교

제11장 먹는샘물 및 기능성 음료의 현황, 연구개발 및 전망
11.1. 먹는샘물의 시장 현황과 전망
11.2. 탄산수 (carbonated water)
11.3. 무기질 경도수 (mineral hardness water)
11.4. 해양심층수 (deep-sea water)
11.5. 기능성 물 또는 음료 (functional water or drink)
11.6. 소비자들의 수돗물과 생수에 대한 견해
11.7. 먹는샘물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제12장 식품제조회사에서 물의 처리
12.1. 식품 제조회사에서 물의 위해
12.2. 물의 근원과 유형
12.3. 물 처리 기술과 주된 위해 (hazard)

제13장 물의 자원학
13.1. 레저, 관광 자원
13.2. 동력 자원
13.3. 신소재 원료의 추출

제14장 물에 관련한 질문 및 응답
14.1. 질문: 지구상의 물은 어디서 기원했는가?
14.2. 질문: 지구외의 행성에도 물이 있는가?
14.3. 질문: 지구상에 물의 존재 양상은 어떤가?
14.4. 질문: 지구상의 물은 어떻게 순환하는가?
14.5. 질문: 바다의 물은 순환하고 있는가?
14.6. 질문: 해면 (바다의 면)은 실제로 수평인가?
14.7. 질문: 번개와 천둥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14.8. 질문: 산성비 (acid rain)의 원인과 생태계에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14.9. 질문: 인공 비 또는 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4.10. 질문: 세계 물의 날은 언제이며 어떤 행사를 하는가?
14.11. 질문: 나뭇잎이나 고체 표면에 위치한 물방울은 왜 둥근 모양을 하고 있는가?
14.12. 질문: 연잎이 물에 젖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14.13. 질문: 물은 어떻게 나무의 뿌리에서 잎까지 보내지는 것일까?
14.14. 질문: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
14.15. 질문: 눈의 결정 크기는 얼마 정도이며 모양은 규칙적인가?
14.16. 질문: 얼음이 녹는 것과 소금이 녹는 것의 차이는 무엇인가?
14.17. 질문: 드라이 아이스 (dry ice)에도 물이 함유되어 있는가?
14.18. 질문: 뜨거운 난로 위에 물을 떨어뜨리면 어떻게 될까?
14.19. 질문: 가스 순간온수기를 사용할 경우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14.20. 질문: 물은 무색인데, 왜 물거품, 물방울과 눈은 백색인가?
14.21. 질문: 비누로 손을 닦을 때 왜 시간이 오래 걸리는가?
14.22. 질문: 수영장의 물은 어떻게 깨끗하게 유지되는가?
14.23. 질문: 목욕을 하고 나면 손가락과 발가락이 쭈글쭈글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14.24. 질문: 자기류의 세면대는 왜 갈색으로 물드는가?
14.25. 질문: 수돗물은 상수원수로부터 어떻게 처리되어 공급되는가?
14.26. 질문: 우리가 마시는 물은 어떻게 안전하게 되는가?
14.27. 질문: 먹는물의 필요조건은 무엇인가? 좋은 물이란 어떤 것인가?
14.28. 질문: 염소계 소독제에 담가둔 과일이나 채소는 안전한가?
14.29. 질문: 트리할로메탄 (trihalomethane, THM)이란 무엇이며 인체에 해로운가?
14.30. 질문: 수돗물의 냄새 성분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4.31. 질문: 먹는 물에서 썩은 달걀 냄새가 날 때가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14.32. 질문: 먹는 물이 뿌옇게 될 때가 있는데, 이유는 무엇인가?
14.33. 질문: 수돗물을 맛있게 마실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4.34. 질문: 광천수 (미네랄 워터, mineral water)가 과연 몸에 좋은 물인가?
14.35. 질문: 샘물, 생수 또는 약수라고 하는 자연수는 그냥 마셔도 안전한가?
14.36. 질문: 정수기로 처리한 물은 안전한가?
14.37. 질문: 끓인 물은 죽은 물인가?
14.38. 질문: 물만 마시고도 다이어트를 할 수 있는가?
14.39. 질문: 사람이 하루에 필요한 물의 양은 얼마인가?
14.40. 질문: 인체 내의 수분 함량은 남녀가 동일한가?
14.41. 질문: 사람이 마신 물이 몸 전체를 순환하는 데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까?
14.42. 질문: 갈증을 잘 느끼는 것은 병인가?
14.43. 질문: 사람에게 수분이 부족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14.44. 질문: 물을 한꺼번에 많이 마시면 생명에 위험한가?
14.45. 질문: 우리나라 먹는샘물 시장의 전망은 어떤가?
14.46. 질문: 알칼리 (환원)수는 건강에 이로운가?
14.47. 질문: 술 마실 때 물을 마시면 덜 취할까?
14.48. 질문: 바닷물은 왜 마실 수 없을까?
14.49. 질문: 바닷물은 점점 더 짜게 변하는가?
14.50. 질문: 아이스크림은 녹였다 다시 얼리면 왜 얼음처럼 사각거릴까?
14.51. 질문: 무지개는 물과 관계가 있는가?
14.52. 질문: 계란은 물에는 가라앉는데 소금물에는 왜 뜨는가?
14.53. 질문: 눈이 쌓인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2부 물의 미학

제15장 물의 철학과 문화
15.1. 동양철학에서의 물
15.2. 서양철학에서의 물
15.3. 환경 철학과 물
15.4. 물과 신앙
15.5. 물과 문화

제16장 물에 관한 문학
16.1. 물에 관한 소설
16.2. 물에 관한 수필 또는 명상록
16.3. 물에 관한 시 (물시, water poem) 또는 시조

제17장 물에 관한 미술
17.1. 동양화와 물
17.2. 서양화와 물

제18장 물에 관한 음악
18.1. 한국 음악
18.2. 서양 음악

제19장 물에 관한 영화
19.1. 한국 영화
19.2. 외국 영화

부록: 물에 관한 법령
먹는물관리법
먹는물관리법 시행령
먹는물관리법 시행규칙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찾아보기

저자소개

홍윤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3월 : 건국대학교 축산가공학과 농학사 1977년 9월 : 독일 리비히-기쎈 대학교 식품영양학 석사 1983년 2월 : 독일 리비히-기쎈 대학교 식품영양학 박사 1983년 9월 - 현재 :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87년 8월 - 1988년 7월 : 독일 뮌헨대학교 식품연구소 객원교수 1994년 1월 - 1994년 12월 : 미국 코넬대학교 식품과학과 객원교수 1996년 1월 - 1996년 2월 : 일본 교토대학교 식품연구소 객원교수 2000년 1월 - 2000년 12월 : 뉴질랜드 폰테라 식품연구소 객원교수 2003년 3월 - 2005년 2월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장 2006년 3월 - 2007년 2월 :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식품과학과 객원교수 현재 :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전공; 식품화학, 식품가공학) 편·저서 식품과학 (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1987) 인체영양학 (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1987) 낙농식품가공학 (공저), 선진문화사 (1993) 식품과 영양 (공저), 효일문화사 (1996) 식품과 영양 (공저), 제1차 개정판, 효일문화사 (1997)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위한 조언, 효일문화사 (1997)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 평가, 전남대학교출판부 (1997) 최신 식품화학, 효일문화사 (2000) 유식품가공학 (공저), 선진문화사 (2002) 기능성 식품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03) 식품과 영양 (공저), 제 2차 개정판, 도서출판 효일 (2003)
펼치기

책속에서

제1부 물의 과학

제1장 물의 화학

순수한 물은 무색·무미·무취이며 상온에서 액체인 물체로 수소와 산소의 화합물이다.
물의 특성들은 전자구조, 결합 상태, 화학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물의 화학은 기본적인 화학적 특성과 정보들을 내포하고 있다.

1.1. 물의 조성
물은 구조식 H2O에서 볼 수 있듯이 2원자와 산소 1원자로 공유결합을 하여 104.5˚ 구부러진 굽은 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매우 간단한 물질이다. 이 두 원자들은 자연 상태에서 안정하며 방사활성이 있는 동위원소들 (isotopes)을 함유하고 있다 (표 1.1). 산소 (O2)와 수소 (H2)의 일반 동위원소들에 추가하여 17O, 18O, 2H (D), 3H (T)들이 조합하여 HOH 분자의 18개 동위원소가 생성된다. 이들 동위원소들로 인해 물 분자는 분자량이 18 (H2 16O)∼22 (D2 18O)의 범위로 존재한다 (표 1.2).
주된 물 분자인 H2 16O는 분자량이 18 amu (atomic mass unit, 원자 질량 단위)이지만, 분자량이 19와 20인 경우도 상당히 존재한다. 물 분자의 동위원소가 많은 것이 그들의 다양한 기원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물 분자의 동위 원소 분포는 이들의 근원과 수명에 의존적이다.
D2 16O는 중수 (重水, heavy water)라고 하는데 자연적 물의 보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중수의 특성은 핵 기술에 이용되기 때문에 특별히 관심을 끈다.
물은 극성 분자이므로, 좋은 무기 용매이다. 물의 분자는 평상시에는 수소와 산소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나 전기분해와 같은 강한 에너지를 가해주면 분리가 가능해진다.

1.2. 물 분자의 구조와 결합
물 분자의 8개 바깥 전자들은 그림 1.1에서처럼 산소와 수소 원자사이에 있는 전자쌍이 점으로 표시되고 O-H 공유결합을 나타낸다. 다른 두 전자쌍들은 소위 외로운 쌍들이라고 한다. 이 전자쌍들은 각각 산소 핵 주위에 둘러싼 전자구름들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물의 구조가 V자처럼 굽은 형태로 된다.
산소 핵에서 8개의 양전하들은 모든 전자들을 수소 원자들의 각 양전하 쪽으로 비교적 강하게 끌어당긴다. 이것은 수소 원자들이 부분적으로 전자들을 박탈하게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양전하를 띠게 한다. 그리고 산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음전하를 띠게 된다. 즉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물에서 평균 O-H 길이는 약 0.099 nm, 평균 H-O-H 각도는 약 105°, 그리고 산소 원자의 평균 음전하는 전자의 약 70%인데 각 중성 전하를 음전하와 나누고 수소 원자와 함께하는 전자가 있다. 물 분자들은 에너지와 주위에 의존적인 변수들에 따라 다른 값들을 갖는다. 물 분자들은 반데르발스 (van der Waals) 인력을 통해 서로 끌어당긴다. 한 분자의 음전하를 띤 전자들은 다른 분자의 양전하를 띤 핵을 끌어당긴다. 산소와 수소에 존재하는 반대 전하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다른 물 분자들을 형성한다. 그림 1.2에는 물의 구조, 결합각, O-H 길이 등이 제시되어 있다.
물 분자의 산소는 부분적으로 음전하 (δ?)를, 수소는 부분적으로 양전하 (δ+)를 띠게 되어, 각각 다른 물 분자의 수소와 산소가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H―O―H…O처럼 수소원자를 사이에 끼면서 2개의 산소원자가 맺어지는 것과 같은 결합을 수소결합이라고 한다. 수소결합은 보통의 화학결합에 비해서 힘이 약하다. 보통 화학결합의 결합력이 대략 100 kcal/mol인 반면에 물 분자에서 수소결합의 결합력은 대략 5 kcal/mol에 불과하다. 그러나 상온에서의 열운동 에너지가 1 kcal/mol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수소결합은 매우 큰 에너지를 함유하여서 물은 강하게 수소결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노벨상을 두 번이나 받았던 미국의 라이너스 폴링 (Linus Pauling)박사는 물분자간의 수소결합이 물분자 내부의 화학결합과 전자적으로 공유되어서 실제로는 계산상으로 얻어진 값보다 더 강하게 결합하고 있다는 것을 1930년대 제안하였는데, 이 이론은 최근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이것은 여태까지 알아온 수소결합보다 실제의 수소결합이 약 10%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물의 수소결합 에너지는 상온에서의 열에너지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수소결합이 끊어질 확률은 아주 낮은데도 물은 0℃ 근처에서는 약 10% 그리고 100℃ 근처에서는 약 20% 정도가 수소결합이 끊어져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다. 이것은 얼음이 거의 100% 수소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를 갖는 것에 비하면 매우 이상한 성질이라고 할 수 있다.
수소결합은 단지 물과 물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인체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 또 그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DNA의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생체에서 가장 중요한 힘이다.
물 분자는 산소가 중심에 있고, 2개의 수소원자들과 산소원자의 2쌍의 전자가 꼭지점에 위치하는 정사면체의 구조를 이룬다. 실제로 H-O-H의 각도는 104.5° (또는 105°)로 정사면체의 각도인 109.5°에 가깝다.
물 분자는 서로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2개의 팔과 2개의 고리를 갖고 있는 것이다. 모든 물 분자가 4개의 수소결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물과 물 사이는 수소결합으로 복잡하게 얽혀져 있을 것이다 (그림 1.3).
물에서의 수소결합은 H-O-H…O-2H 형태로 나타난다. 물 분자에서 2개의 수소 원자가 부분적으로 (+)전하를 띠고, 산소 원자가 (?)전하를 띠어서 굽은형 구조를 나타낸다. 이 때 물은 극성을 띠게 되는데, 이런 극성 때문에 (+)전하를 띠는 수소 원자와 (?)전하를 띠는 산소 원자 사이에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생겨서 결합이 형성된다.
이 때 물 분자 사이에 생긴 수소결합의 결합력 (인력)은 다른 분자들의 결합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다. 따라서 물 분자 사이에 생긴 수소결합의 강한 인력을 끊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같은 양의 에너지를 가할 때 다른 물질에 비해 온도가 쉽게 올라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이 높아진다.
또한 수소결합으로 인해 물에 많은 양의 열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비열과 열용량도 커진다. 이 현상이 지구생태계를 유지시키며, 바닷가에서 해풍과 육풍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다는 육지보다 비열이 커서 쉽게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낮에는 육지쪽이 빨리 가열되므로 공기가 상승한다. 그 자리를 메우기 위해서 바다에서 육지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므로 해풍이 분다. 밤에는 육지쪽이 빨리 냉각되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바다쪽의 공기가 상승한다. 그 자리를 메우기 위해서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므로 육풍이 분다.
물은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에, 순수한 물은 0℃에서 얼어버린다. 이 때 물의 수소 결합으로 인해 얼음은 빈 공간이 많은 육각고리 모양의 결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얼음이 되면 부피는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물질들은 액체 상태 물질의 밀도보다 고체 상태의 물질의 밀도가 훨씬 크다) 이런 현상 때문에 얼음은 물에 뜨고 방한 작용을 하므로 영하의 기후에서 호수의 물고기들이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수소결합에 의한 분자 간의 강한 인력 때문에, 물의 표면장력도 크다.
눈을 맞을 때는 온 세상이 하얗게 변하는 모습을 즐기면서 낭만에 빠지지만, 운전자에게 눈은 길을 미끄럽게 하거나 장애물이 되어 운전을 어렵게 하고 사고위험이 커지게 한다. 우리가 보기에는 다 똑같은 눈송이 같지만 눈 결정의 모양은 각각 다르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케네스 리브렉트 (Kenneth Libbrecht)박사에 따르면 눈 결정의 형태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연구진은 온도가 영하 3∼10°C이면 막대형 결정이 주로 생기고 영하 0∼3°C이면 얇은 6각 판형이 주로 생긴다는 것을 밝혀냈다. 처음부터 이러한 형태로 만들어지지는 않으며, 초기에는 6각 판형이었던 눈이 지상으로 떨어지면서 가지가 붙어 다양한 형태로 변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그림 1.4).
또한 눈이 오면 사방이 고요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눈이 주변의 소음을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눈송이와 그 속의 공간이 흡음제 (吸音劑)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통 10 cm 높이의 눈을 녹이면 1 cm3 정도의 물이 생기기 때문에 눈은 겨울 가뭄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1.3. 물 분자의 회합 (association of water)
물 분자 HOH의 V-형 구조와 O-H 결합의 극성화된 특성은 분자 내에서 비대칭적 전하분포와 순수한 물의 증기 상태에 있어서 쌍극자 모멘트를 형성한다. 이 크기의 양극성은 분자간의 상당한 인력을 야기하며 물 분자들은 강한 힘으로 회합하게 된다. 물 분자들 간의 큰 인력은 삼차원 방식에 있어서 다중 수소결합의 회합들이 관련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소결합은 결합 에너지가 2∼40 kJ/mol로 결합 에너지가 약 335 kJ/mol인 공유결합보다 약하지만 보다 크고 변화되기 쉬운 길이를 소유한다.
정전기력은 수소결합의 주된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물의 정전기적 형태는 단순하며 얼음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HOH의 정확한 기하학적 모양을 나타내게 한다.
물 분자의 높은 전기 음성적 산소는 공유결합된 2개의 수소원자들로부터 부분적으로 단일 전자들을 떼어놓는 것을 가시화할 수 있다.

1.4. 물 분자의 분해 (dissociation of water molecules)
순수한 물은 분자의 분해에 의해 다음의 반응식과 같이 수소이온 (H+)과 수산이온 (OH-)으로 된다.
H2O ↔ H+ + OH-
이 분해의 평형상수는 25°C (298 K)에서 Kw = 10-14 이며 pH는 7이다.
물 분자의 분해는 높은 온도에서 증가되고 순수한 물의 pH는 온도에 의존적이다. 100°C (373 K)에서 Kw는 10∼12로 접근되는데, 이 온도에서의 pH는 6에 가깝다. 25°C에서 pH 6은 OH- 농도가 10-8 M이며, 100°C에서 pH 6은 OH- 농도가 10-6 M이다.

1.5. 식품에서 물의 역할
식품에서 물은 각종 영양소, 효소, 화학물질 등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거나 가수분해 반응에서 기질로서의 작용을 수행하며 호화 및 노화에도 영향을 주고 미생물의 생육에도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등 그 역할은 다양한데 표 1.3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식품에 존재하는 수분은 자유수 (free water)와 결합수 (bound water)로 나눌 수 있다. 자유수는 유리수라고도 하는데 식품을 건조시키면 쉽게 제거되며 식품에 따라 5∼96% 함유되어 있고 0℃ 이하에서 잘 어는 특징이 있으며 각종 염류, 당질, 아미노산 등 수용성 물질들의 용매로 작용하거나 단백질, 당질 등의 분산매로 작용한다.
결합수는 당질의 수산기 (?OH), 단백질의 아미노기 (?NH2)와 카르복시기 (?COOH), 지질의 수산기 (?OH) 등과 수소결합이나 이온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100℃에서 증발되지 않고 -18℃에서도 잘 얼지 않는 물이다. 결합수는 반응하지 않는 물 (nonreactive water), 용해성이 없는 물 (nonsolvent water), 동결하지 않는 물 (nonfreezing water), 고정화된 물 (immobilized water) 등으로 세분되어 인용되기도 한다.
식품 중의 수분함량의 측정 방법에는 상압 가열 건조법 및 증류법 외에도 특정한 식품에 대해서는 물리적 방법으로서 전기적 방법, 비중 측정법, 적외선 측정법, 굴절률 측정법,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측정법 등과 화학적 방법으로는 Karl Fischer법, acetylene 발생법 등이 있는데 상압 가열 건조법과 Karl Fischer법이 가장 흔하게 이용되고 있다.

1.6. 수분활성도 (water activity, Aw, aw)
식품의 수분 함량은 식품 자체의 수분 함량과 이를 포위하고 있는 공기 중의 상대습도간의 상관관계로서 결정된다. 따라서 식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 수분함량은 적당치 않다.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본질적인 특성이고 평형 상대습도는 식품과 평형을 이루는 환경에서의 특성이다. 수분함량이 높을 때 수분의 양이 고형성분의 양을 초과하면 수분활성도는 1.0에 가깝다.
수분활성도는 식품 내 물의 부분압을 같은 온도에서 물의 부분압으로 나눈 값으로 0∼1 사이에 존재한다.
Aw = P/Po
여기에서 Aw = 수분활성도
P = 식품 내 물의 부분압
Po = 같은 온도에서 물의 증기압을 의미한다.
일반 식품에는 물 뿐만 아니라 단백질, 당질, 지방질, 무기질 등의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수분 함량도 적고 그 수증기압도 적다. 따라서 일반 식품에서는 P가 Po 보다 적다.
수분활성도는 수분활성도 측정계 (water activity meter) 또는 수분활성도 측정기 (water activity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분활성도는 평형 증기압법, 동결법, 팽윤압법 등의 열역학적인 방법과 묽은 용액에 적용되는 Roult의 법칙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식품은 혼합 성분계이므로 이들 방법 중에서 평형 증기압법으로 수분활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평형 증기압법은 수분 함량과의 관계에서 하나의 등온선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식품의 품질관리에 있어서 유용하며 실제적이다. 현재 식품의 수분 활성 측정법으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수분활성도는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동결점 이상에서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조성과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동결점 이하에서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조성에 비의존적이고 오직 온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얼음 상태에서 수분활성도는 존재하는 용질의 종류 또는 구성비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반드시 비례관계를 나태내지는 않는다. 즉, 수분함량이 높으면 수분활성도는 크고 수분 함량이 낮으면 수분활성도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표 1.4에는 몇 가지 식품들의 수분 함량과 수분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수분활성도가 식품의 품질 유지에 중요한 인자로서 영향을 주므로 장기간 저장수명에 적당한 조건을 유지시켜 주는데 많은 역할을 한다. 주위의 수분을 잘 흡수하는 식품들은 습기가 차단되도록 밀봉한 유리용기 또는 두꺼운 다중 염화비닐 (polyvinylchloride, PVC)같은 방수 플라스틱에 포장되어야 한다. 분말 커피, 분유 등은 상대습도가 50%에서 변질이 될 수 있는데 제품이 주위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돌덩이처럼 응고되고 유동성을 상실하여 소비하기 어렵게 되고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가공 및 저장 안정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것은 식품 미생물의 증식, 효소적 반응, 비효소적 갈변반응, 지질산화 등과 같은 화학반응의 속도가 식품의 수분활성도와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림 1.5에는 식품의 수분활성도와 가공 및 저장에 관련한 각종 반응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식품의 변질과 깊은 관계가 있는 미생물의 증식은 수분활성도에 의해 결정된다. 식품 중의 미생물 증식은 수분활성도 임계값 (critical value) 이상에서 시작되고 수분활성도 값이 클수록 급속하게 진행된다. 수분활성도에 따라 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등의 증식 범위가 결정된다. 표 1.5에는 식품에 있어서 미생물 생장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활성도에 관하여 요약되어 있다.
식품에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생장할 수 있으며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인체에 이로운 역할을 하지만, 일반 식품들을 변질 또는 부패시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식품의 변질 및 부패를 막기 위해서는 수분활성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보관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품의 수분활성도를 낮추기 위하여 가열 건조, 송풍 건조, 동결 건조, 농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한다.
녹말 (전분)이 주 성분인 밥, 떡, 빵 등의 저장 중 일어나는 노화 (老化, retrogradation, staling)에 수분 활성도, 수분의 이동 및 재분포 등이 단백질 또는 지방질과 함께 생 중합체 상호반응을 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