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성우 평전

김성우 평전

김영모 (지은이)
궁미디어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성우 평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성우 평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75996450
· 쪽수 : 471쪽
· 출판일 : 2017-12-25

책 소개

여말선초의 역사에서 소리없이 사라진 도만호 김성우 장군(1327-1392)의 토왜행적을 현전하는 전승지명과 전적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서이다.

목차

자료(資料)의 검토
1. 문헌 사료(史料) …
1) 지리지 …
2) 문집 및 족보 …
2. 금석문 …
1) 김남호 묘비 …
2) 김흥로 묘비 …
3) 김성우 묘비 …
4) 김극성 <신도비> …
5) 김해수(金海壽) 묘갈 …
6) 김여남(金汝南)(1634-1702) 묘비 …
3. 자료의 검토를 통해본 역사적 사실 …
1) 문헌사료 …
2) 금석문 …
4. 사서(史書)에서의 김성우 …
1) 사서의 제문제(諸問題) …
2) 윤이(尹彛)·이초(李初) 사건(1390) …
3) 절의파와 김성우 …
4) 사서에 누락된 배경 …

선계(先系)와 김성우의 생애
1. 선계(先系) …
1) 만호(萬戶)와 토왜활동(討倭活動) …
2) 토왜지(討倭地)의 혼연(婚緣) …
2. 김성우의 생애와 행적(行蹟) …
1) 생애 …
2) 토왜활동 …
3) 추숭(追崇) …
김성우의 보령 왜구토벌(倭寇討伐) …
1. 왜구의 침구와 보령 …
1) 고려 말의 정치상황과 왜구 …
2) 보령지방의 왜구 침구 …
2. 보령 토왜활동(討倭活動) …
1) 보령입성 시기 …
2) 보령 토왜의 이유 …
3) 보령 토왜(討倭)의 전적(戰蹟) …
3. 보령 왜구토벌의 의의 …

김성우의 역사적 평가
1. 고려 말 광산김문의 위상 …
2. 불사이군(不事二君)의 고려충신(高麗忠臣) …
참고문헌 …후기 …부록 …색인 …

저자소개

김영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 보령에서 태어나 충남대학교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국제로터리클럽 해외파견장학생으로 프랑스 니스(Nice) 대학교에서 박사과정(DEA)을 마친 후, 프랑스 소르본(Paris Sorbonne) 대학교에서 중세프랑스어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카이스트(KAIST) 대우교수를 거쳐 현재 충남대에서 후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는 중세프랑스를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의 중세 즉 여말선초의 역사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어 고려말의 역사인물 김성우를 재조명한 『김성우 평전』을 출간한 바 있다. 저자는 이 책의 출간 과정에서 향촌사회사의 정리의 필요성을 느껴 그동안 틈틈이 학회지에 글을 발표해왔다. 이 책은 저자가 또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조선시기 한국 향촌사회사의 일면이다. 저서 ·『프랑스축제와 문화콘텐츠 카이에』(한국문화사, 2023)(공저) ·『프랑스문화 테마기행 카이에』 (한국문화사, 2018)(공저) ·『김성우(金成雨) 평전』 (궁미디어, 2017) ·『고대프랑스어연구』(만남, 2008) ·『고대프랑스어통사론연구』(만남, 2007) -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도서 ·『중세프랑스어 형태론연구』(만남, 2005) ·『중세프랑스어 연구』(만남, 2003) -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도서 ·『프랑스문화』(충남대출판부, 2002)(공저) ·『프랑스문화와 예술』(새길, 2002)(공저) 역서 ·『민족학과 인류학 개론』(동문선, 2008) ·『바칼로레아 논술』 (이지북, 2006) ·『영화를 생각하다』(동문선, 2005) ·『새로운 충견들-프랑스 미디어의 허와 실』(동문선, 2005) ·『프랑스 지성인들의 12월』(동문선, 2004)
펼치기

책속에서

보령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 개경출신의 김성우가 보령에 입성하게 된 배경은 왜구토벌이며, 그가 터전을 마련한 보령의 전장(田莊)은 처변(妻邊)이나 외변(外邊)이 아닌 왜구토벌의 공으로 받은 사패지였다. 김성우의 후손들은 그의 사후 개경으로 돌아가지 않고 전적지인 보령 청라동 발산에 그의 묘소를 마련하고 재지사족의 기반을 닦았다. 16세기 이후 한산이씨를 비롯한 많은 사족들이 김성우 후예와의 혼연을 통하여 처변 또는 외변으로 보령에 입향하여 21세기 보령의 정체성과 사회문화사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김성우의 내외후손들이 보령에 세거하여 오늘에 이른 것은 다름 아닌 김성우가 왜구토벌의 공으로 받은 사패지에서 기인한다는 지리지의 기록(유형원의 『동국여지지』 김맹권조)과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