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75996450
· 쪽수 : 471쪽
· 출판일 : 2017-12-25
책 소개
목차
자료(資料)의 검토
1. 문헌 사료(史料) …
1) 지리지 …
2) 문집 및 족보 …
2. 금석문 …
1) 김남호 묘비 …
2) 김흥로 묘비 …
3) 김성우 묘비 …
4) 김극성 <신도비> …
5) 김해수(金海壽) 묘갈 …
6) 김여남(金汝南)(1634-1702) 묘비 …
3. 자료의 검토를 통해본 역사적 사실 …
1) 문헌사료 …
2) 금석문 …
4. 사서(史書)에서의 김성우 …
1) 사서의 제문제(諸問題) …
2) 윤이(尹彛)·이초(李初) 사건(1390) …
3) 절의파와 김성우 …
4) 사서에 누락된 배경 …
선계(先系)와 김성우의 생애
1. 선계(先系) …
1) 만호(萬戶)와 토왜활동(討倭活動) …
2) 토왜지(討倭地)의 혼연(婚緣) …
2. 김성우의 생애와 행적(行蹟) …
1) 생애 …
2) 토왜활동 …
3) 추숭(追崇) …
김성우의 보령 왜구토벌(倭寇討伐) …
1. 왜구의 침구와 보령 …
1) 고려 말의 정치상황과 왜구 …
2) 보령지방의 왜구 침구 …
2. 보령 토왜활동(討倭活動) …
1) 보령입성 시기 …
2) 보령 토왜의 이유 …
3) 보령 토왜(討倭)의 전적(戰蹟) …
3. 보령 왜구토벌의 의의 …
김성우의 역사적 평가
1. 고려 말 광산김문의 위상 …
2. 불사이군(不事二君)의 고려충신(高麗忠臣) …
참고문헌 …후기 …부록 …색인 …
저자소개
책속에서
보령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 개경출신의 김성우가 보령에 입성하게 된 배경은 왜구토벌이며, 그가 터전을 마련한 보령의 전장(田莊)은 처변(妻邊)이나 외변(外邊)이 아닌 왜구토벌의 공으로 받은 사패지였다. 김성우의 후손들은 그의 사후 개경으로 돌아가지 않고 전적지인 보령 청라동 발산에 그의 묘소를 마련하고 재지사족의 기반을 닦았다. 16세기 이후 한산이씨를 비롯한 많은 사족들이 김성우 후예와의 혼연을 통하여 처변 또는 외변으로 보령에 입향하여 21세기 보령의 정체성과 사회문화사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김성우의 내외후손들이 보령에 세거하여 오늘에 이른 것은 다름 아닌 김성우가 왜구토벌의 공으로 받은 사패지에서 기인한다는 지리지의 기록(유형원의 『동국여지지』 김맹권조)과 정확하게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