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5996474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8-01-10
책 소개
목차
1
대전의 자랑 무엇인가 … 12
대학문화의 반성 … 15
교정에서 … 18
문단유감 … 20
보직론 … 22
3월송頌 … 24
쓴다고 시며 만든다고 시집인가 … 26
우리네 습관 … 28
대학과 동상 … 30
계룡팔경 … 32
시인이라고 종이만 먹고 살 수 없다 … 34
2010 문학의 새 지평을 다짐한다 … 38
신춘문예 당선시 유감 … 42
2
약탈한 문화재는 반환되어야 한다 –프랑스와 일본에 대하여 - … 48
대전 문학관이 건립된다 … 51
일본을 다시 생각한다 … 55
중국의 태도를 주시한다 … 58
시인 모윤숙 여사를 다시 생각한다 … 62
만해축전과 우리의 기대 … 66
바다, 강, 물을 살려야 한다 … 70
과학의 발달은 문학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 74
3
시 읽기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82
다사다난 했던 한해를 돌아본다 … 86
글쓰기의 조건 … 91
풍자와 화해의 이더스 –지령 300호 축하함- … 96
최근 일본의 태도를 주시한다 … 99
해가 저물고 “핵”을 머리에 이고 날이 어둡다 … 102
박진환의 3행 ‘풍시조諷侍調’에 대하여 … 105
4
수필이란 … 110
벽거울 … 111
버리기의 여유 … 113
타이페이 일지 –근 30년 전 일기장 뒤지다 … 115
유성찬가 … 122
한국 문학 발전에 헌신 –일기수연一期壽宴을 축하합니다 … 124
풍시조에 바란다 … 126
나의 시쓰기에 대하여 … 128
문예창작 교실을 돌아본다 … 133
문화 예술인 복지대책의 필요성 … 136
첨단과학 시대에 있어서 시의 역할 … 139
반성의 사유와 소통의 문제 … 143
신임 회장에 바란다 … 152
5
향천向川 김용직 선생과 나 … 158
대전문협의 발전과 전망 – 제우스신의 답변을 생각한다 … 164
해방공간, 지역문단의 요람기 … 173
한국 정서의 방파제 – 일본어판 정광수 시집 연연燕燕 『つばめ』를 읽고 … 180
조율미의 독자성과 산문山門의 에스프리 – 양정자의 시세계 … 186
꽃의 서정과 자연회귀 – 한금산의 시세계 … 199
존재 탐구와 자아성찰 – 박순길 시집 『꽃 향기는 바람이 되어』를 읽고 … 213
조용히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시 – 성강숙 시를 읽고 - … 228
자아성찰과 오성의 질서 – 박순규 시인의 시집을 읽고 … 239
생활의 예지와 비범한 시어의 탐구 – 서인자 시의 세계 … 253
6 풍계집 소론諷戒集小論 - 박진환 전집을 읽고 … 264
광복 50년, 한국시의 좌표 … 275
국민교양으로서 시 교육의 방향 … 286
세상과의 화해 – 이옥진의 시세계 … 293
현대 ‘만다라’시에 대하여 … 301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 읽기에 대한 몇 가지 단상
예술의 존재 가치는 그 작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다시 말해 감상(Appreciation) 수용에 달려있다. 감상이란 즐거움이나 기쁨 또는 가득한 만족의 정서적 반응을 같이하는 지적 이해와 그것을 포괄하는 체험을 말한다. 따라서 감정을 기저로 하는 아름다움의 수용적 태도를 지칭한다. 시 예술의 최대 가치는 읽기, 감상에 달려있다. 감상은 작품을 받아 담는 마음에 있다. 즉 작품을 읽음으로서 마음에 떠오르는 미적 감정을 받아들이는 태도다. 그러므로 최고의 정신적 유열경愉悅境에 이르게 된다. 한마디로 감상의 핵심은 기쁜과 즐거움의 정상에 이르게 됨을 말한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