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633261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05-06-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바람직한 한미 협력 방향
Part 1 한미 경제 관계의 재조명
1. 한미 관계의 발전적 전환
한미 경제 관계의 특징
한미 경제 관계의 변천 과정
한미 관계의 중요성과 새로운 관계의 모색
Part 2 분야별 한미 경제 협력의 전략 과제
2. 무역과 투자의 확대
한미 양국 간 무역 및 투자
한미 양국의 무역 장벽과 양국 간 통상 마찰
한미 통상 관계의 중요성 및 미래상
3. 금융 관계의 발전
한미 경제 관계를 금융 측면에서 평가
한미 금융 관계의 현황 분석과 평가
동북아시아 국제 금융센터와 한미 금융 관계
한미 양국의 공동 이익 극대화
4. 기술 협력의 강화
기술 발전을 위한 기술 협력 강화 방향 제시
한국의 기술 발전과 미국의 역할
한국의 IT 발전과 한미 협력
향후 한미 기술 협력 강화 방향
5. 기업 교류의 활성화
바람직한 한미 기업 간 협력 모델 제시
한미 기업 관계의 현주소
한미 기업 간 협력 모델
바람직한 한미 기업 협력 관계 구축을 위한 방안
시대 변화에 맞는 역량 습득과 역할 수행
Part 3 한미 동맹 관계의 재인식
6. 한국인의 대미 인식 변화와 한미 관계
평등하고 원숙한 한미 관계를 위해
한국인의 대미 인식
한국인의 대미 인식 전환의 동인
최근 여론조사를 통해 본 한국인의 대미 인삭
대미 인식 변화와 장래 한미 관계
7. 한미 동맹 관계 변화와 한국의 시각
안보 동반자 관계의 전망
한미 안보 동반자 관계의 현황
주한미군의 재배치와 감군의 안보 환경상 함의
미군의 재배치와 한중일 역학 관계
안보 환경 변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미 동맹의 미래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포괄적이고 동적이고 항구적인 안보 동반자 관계를 위해
8. 한국과 미국의 한반도 방위 체제에 대한 이견
불안정 속에 지속되고 있는 한미 동맹
불이행의 동맹 관계
정책적 변화와 동맹 관계 강화를 위한 전략적 결론
한미 동맹 관계에 대한 국민적 이해
자주 추구와 현실 감각은 균형을 이루어야
9. 2기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전망
끝없는 위기 상황인가
새로운 행정부
초강경 노선의 등장
한국의 외교 정책에 대하여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두 나라가 경제 교류와 협력을 개시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 관계는 대칭적 관계가 아니었다. 한국 경제에서 미국은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으나,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은 많은 경제 교류국 가운데 하나에 불과했다. 현재도 한국의 총교역량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를 넘고 있지만, 미국의 총교역량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한국의 경제 규모는 미국 경제 규모의 5%에도 못 미치고 있다. - 본문 24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