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56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약어 _027
요한계 문헌 개관
1. 저자 문제: 외적 증거 _035
2. 저자 문제: 내적 증거 _041
3. 요한 공동체 _043
4. 요한과 유다이즘 _048
5. 신학적 관점 _051
5.1. 말씀과 지혜 _052
5.1.1. 말씀/지혜와 창조 _055
5.1.2. 말씀-지혜 종말론 _058
5.1.3. 요한의 지혜 종말론 _060
5.1.4. 실현된 종말론과 요한의 시간 해석학 _062
5.2. 거처하는 말씀(요한 1,14) _063
5.2.1. 요한의 성전/아버지의 집 _064
5.3. 아들 예수: 계시자이자 구원자 _067
6. 본문의 단일성 _071
7. 요한 1, 2, 3서 _072
8. 저자 혹은 저자들? _073
9. 수신자들 _074
10. 요한 1서의 쟁점 _075
11. 복음서와의 관계 _077
12. 요한 2서와 3서 _078
13. 서간들의 의미 _079
참고 문헌 _081
요한복음서 입문
저자 _085
저술 연대 _086
수사본의 증거 _087
요한복음과 공관복음 _088
요한복음에 대한 기대 _089
요한복음서 이해와 연결된 문제들 _092
학자들이 문학적 문제를 다루는 방식 _092
이 주해서에서 택한 접근법 _094
구조 _095
기본 메시지 _097
어휘의 특징 _097
역사적 상황 _098
요한 1, 2, 3서 _099
요한복음에서 역사와 그리스도교 예언 _102
유다인들: 복잡하고 난해한 용어 _104
이런 발전 과정을 자세히 아는 것이 정말 중요한가? _105
개요 _107
요한복음서 주해
머리글 1,1-18 _113
공적 직무의 시작: 제자들의 믿음 1,19-2,22 _122
성령의 중요성 2,23-4,45 _135
예수가 아버지에게서 받은 두 가지 권한을 보여 주는 담화를 포함한 두 내러티브의 조합 4,46-5,47 _155
성경이 어떻게 예수를 증언하는지 보여 주는 내러티브와 담화의 조합 6,1-59 _172
믿지 않는 일부 제자들 6,60-71 _189
예수의 말이 어떻게 그 자신을 증언하는지 보여 주는 내러티브와 담화의 조합 7,1-8,59 _192
예수의 일이 어떻게 그 자신을 증언하는지 보여 주는 내러티브와 담화의 조합 9,1-10,42 _213
내러티브와 담화에 대한 최종 관찰 4,46-10,42 _228
라자로의 소생과 예수를 단죄하는 최고 의회 11,1-46 _230
라자로 소생의 여파와 승리를 축하하는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 11,47-12,50 _236
자신의 사람들을 위한 예수의 직무 13,1-17,26 _244
예수의 수난과 죽음 18,1-19,42 _274
빈 무덤과 이어지는 사건들 20,1-29 _290
복음서의 첫 번째 결말 20,30-31 _294
갈릴래아에서 발현한 예수 21,1-24 _294
복음서의 두 번째 결말 21,25 _300
덧붙이는 말 _301
부록: 5-10장의 구성에서 축제의 역할 _302
참고 문헌 _305
옮긴이의 말 _306
책속에서
다른 어느 복음서도 예수의 정체성을 이렇듯 깊이 탐구하고 설명하지 않는다. 영원한 생명이라는 선물이 얼마나 놀라운지, 믿는 이들이 얻게 될 (글자 그대로) 하느님의 “자녀”라는 지위가 얼마나 고귀한지도 다른 복음서보다 더욱 명확하게 밝힌다. 우리는 요한복음서에서 윤리에 대해서는 아주 적게, 그러나 그리스도론과 그리스도교 인간학에 대해서는 많이 배울 것이다.
요한은 ‘기적’을 나타내는 특유의 용어로 “표징”을 사용한다. 이는 탈출기에서 모세가 파라오 앞에서 일으킨 일련의 기적을 언급하는 데 쓰였던 용어이다. 이 기적들은 모세가 하느님에게서 파견되었다는 ‘표징’으로 의도되었다. 기적을 ‘표징’이라는 용어로 지칭한 것은 요한복음이 유일한데, 독자가 탈출기와 같은 배경에서 기적들을 해석하도록 하려는 저자의 의도를 보여 준다.
요한복음에서 저자는 성찬례 제정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알려 주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성찬을 성경과 관련짓고 그 내적 본질에 따라 묘사한다. 즉, 성찬은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먹여 살린 생명을 주는 양식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궁극적으로 성취하는 관점에서 다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