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76419989
· 쪽수 : 1062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제1부 밀암(密菴) 이재(李栽) 문파 연구의 기조
제1장 밀암 이재 문파 연구를 위한 논의의 틀 - 이병갑
1. 머리말
2. 논의의 배경과 준거의 틀
3. 밀암 이재 문파의 연원과 주요 인물
4. 밀암 이재 문파의 특성
5. 밀암 이재 문파의 재구성과 전개
6. 맺음말
제2장 조선유학사에 있어서 밀암 이재 문파의 위상 - 이봉규
1. 머리말
2. 동아시아 사상 환경의 변화
3. 조선후기 사상계의 추이
4. 밀암문파의 학문과 사상사적 의의
5. 맺음말
제2부 밀암 이재와 <금수문인록(錦水門人錄)>
제3장 밀암 이재 문파의 연원과 형성 배경 - 김용헌
1. 머리말
2. 17세기 중반 퇴계학파의 도통의식과 이설 비판
3. 이현일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퇴계 학설의 옹호
4. 이재의 사상과 밀암학단의 형성
5. 맺음말
제4장 문파의 개조(開祖) 밀암 이재 - 백승호
1. 머리말
2. 밀암의 생애
3. 가학(家學)의 계승
4. 글쓰기를 통한 지역 사회의 영향력 제고
5. 도통(道統)의 탐색과 경세의지 표현
6. 맺음말
제5장 밀암 이재 가문의 경제적 기반 - 김경숙
1. 머리말
2. 분재기(分財記)와 가산(家産)변동
3. 균분 상속과 처변의 경제적 기반
4. 개간 활동과 석보촌(石保村) 이거(移居)
5. 맺음말
제6장 밀암 이재의 문인 <금수문인록> 분석 - 정은진
1. 머리말
2. 밀암의 문인(門人) 교육
3. <금수문인록(錦水門人錄)>의 자료 현황
4. <금수문인록(錦水門人錄)> 분석
5. 맺음말
제3부 밀암 이재 문파의 주요인물 철학계열
제7장 노계(魯溪) 이복환(李復煥) - 권경열
1. 머리말
2. 생애 및 저술
3. 이기론 및 심성론
4. 수양론(修養論) 및 상수론(象數論)
5. 맺음말
제8장 소은(小隱) 이경익(李景翼)- 구본현
1. 머리말
2. 생애
3. 교유
4. 학문과 사상
5. 맺음말
제9장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 전병욱
1. 머리말
2. 수양과 문학
3. 혼륜설과 분개설의 방법론적 의미
4. 철학사상 : 인설(仁說)을 중심으로
5. 위정(爲政) : 경세와 예학
6. 맺음말
제10장 소산(小山) 이광정(李光靖) - 이봉규
1. 머리말
2. 생애와 주요 활동
3. 학문론
4. 성리설
5. 예설
6. 맺음말
제4부 밀암 이재 문파의 주요인물 문학계열
제11장 우계(雨溪) 김명석(金命錫) - 함영대
1. 머리말
2. 삶과 그 지향
3. 담박한 운치의 품격있는 시문학
4. 시를 통해 본 스승 밀암과의 관계
5. 맺음말
제12장 강좌(江左) 권만(權萬) - 김문식
1. 머리말
2. 생애와 교유 인물
3. 학문
4. 밀암 이재와의 관계
5. 맺음말
제13장 송하(松下) 권심규(權心揆) - 박무영
1. 머리말
2. 생애
3. 문학
4. 밀암(密菴)과의 관계
5. 맺음말
제14장 구사당(九思堂) 김낙행(金樂行) - 장유승
1. 머리말
2. 생애
3. 학문적 위상과 삶의 진실
4. ‘구제밀찰’의 실체와 《밀암구사당양선생문초》
5. 맺음말
제5부 밀암 이재 문파의 주요인물 교육계열
제15장 청벽(靑壁) 이수연(李守淵) - 백승호
1. 머리말
2. 생애와 교유
3. 저술
4. 밀암과의 관계
5. 맺음말
제16장 이치재(二恥齋) 신정모(申正模) - 송양섭
1. 머리말
2. 가계와 출사
3. 무신란과 유배생활
4. 문집편찬과 간행
5. 맺음말
제17장 냉천(冷泉) 이유원(李猷遠) - 구본현
1. 머리말
2. 생애
3. 교유
4. 학문과 사상
5. 맺음말
제18장 이봉(夷峰) 황후간(黃後榦) - 김남기
1. 머리말
2. 문집의 편찬과 시문의 주요 내용
3. 구도(求道)와 경세(經世)의 문학
4. 위기지학(爲己之學)과 거경궁리(居敬窮理)의 학문
5. 밀암 이재에의 종유(從遊)와 존모
6. 맺음말
제6부 밀암 이재 문파의 특성
제19장 밀암 이재 문파의 문학적 특성 - 이세동
1. 머리말
2. 밀암의 문학성취와 문학관
3. 밀암 문학관의 계승과 전개
4. 밀암 문파 문학의 실제
5. 맺음말
제20장 밀암 이재 문파의 사상적 특성 - 강경현
1. 머리말
2. 퇴계 존숭과 사상적 계승
3. 주자학에로의 소원(溯源)
4. 분별에 기반한 혼륜의 시선 강조
5. 맺음말
제21장 밀암 이재 문파의 정치·사회적 특성 - 이욱
1. 머리말
2. 밀암 문파 내부의 사상 논쟁과 《홍범연의(洪範衍義)》
3. 정치운영론
4. 교육과 인재 선발론
5. 맺음말
제22장 학술논쟁을 통해 본 밀암 이재 문파의 특성 - 전성건
1. 머리말
2. 이기호발과 이통기국
3. 왕패분이와 왕패일도
4. 문아지쟁(文雅之爭)과 반약치용(反約致用)
5. 맺음말 747
제7부 밀암 이재 문파의 재구성과 전개
제23장 다시 쓰는 밀암 문인록 - 권오영
1. 머리말
2. 밀암의 문인들은 어떤 인물들인가?
3. 새로 발굴한 밀암의 문인들
4. 금수 강학 내용 일단
5. 맺음말
제24장 밀암 이재 문파의 전개 - 전성건
1. 머리말
2. 밀암 문파의 적통론
3. 밀암 문파의 사상적 전개
4. 밀암 문파의 정치적 전개
5. 밀암 문파의 지역적 전개
6. 맺음말
에필로그 - 이병갑
부록1 연보도 : 밀암 이재와 급문제자들[1657~1789] - 이병갑
부록2 2020년 간행 <밀암 이재 문인록> - 권오영
부록3 밀암 이재 문파 전개도 - 전성건
부록4 밀암 이재 문파 문헌 총람 - 이병갑
Preface
Glossary I
Glossary II
집필진 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