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구객일 연구

창구객일 연구

(밀암 이재의 유배시종실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정만조, 김언종, 권경열, 정진영, 전병욱, 김학수, 문석윤, 박현순, 안병걸, 이병갑, 이용구 (지은이), 이병갑 (엮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0% 0원
2,250원
42,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구객일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구객일 연구 (밀암 이재의 유배시종실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2114099
· 쪽수 : 670쪽
· 출판일 : 2014-12-08

책 소개

조선 숙종시대 밀암 이재가 쓴 유배일기 <창구객일>을 문헌학, 문학, 사학, 철학, 정치행정학 분야에서 심도 있게 분석한 연구서. <창구객일>의 사료적.문학적 가치, 더 나아가 17세기 기사.갑술환국을 전후한 조선의 사회양상 및 정치과정을 흥미롭게 분석하였다.

목차

간행사

제1부 밀암(密菴) 이재(李栽)의 학문에 대한 담론

제1장 밀암 이재의 생애와 저술_전병욱
1. 머리말
2. 밀암의 생애
3. 문학적 성취와 그 관련 저술
4. 일용공부(日用工夫)와 그 관련 저술
5. 사칠이기(四七理氣) 논변과 그 관련 저술
6. 위정(爲政)과 그 관련 저술
7. 맺음말
제2장 밀암 이재의 성리설_문석윤
1. 머리말
2. 이기론(理氣論)
3. 심성론(心性論)
4. 수양론(修養論)
5. 맺음말
제3장 밀암 이재의 강학활동과 문인들_안병걸
1. 머리말
2. 밀암의 삶과 강학활동
3. 밀암의 종유문인들
4. 주요 종유문인과의 서신 교환
5. 맺음말

제2부<창구객일>의 문헌적.문학적 가치

제4장 <창구객일>의 저술 배경과 자료적 가치_김학수
1. 머리말
2. 문헌적 고찰
3. 저술의 배경과 자료적 가치
4. 맺음말
제5장 <창구객일> 소재 시편(詩篇) 소고_김언종
1. 머리말
2. 밀암 이재의 시
3. 갈암 이현일.창설재 권두경.고산 윤선도의 시
4. 맺음말

제3부<창구객일>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의 사회 양상

제6장 <창구객일>을 통해 본 갈암의 유배와 밀암의 시종생활_정진영
1. 머리말
2. 갑술환국 전후의 정국과 갈암의 유배
3. 머나먼 여정, 유배길의 고초
4. 갈암의 유배생활과 밀암의 시종생활
5. 내방인사(來訪人士)와 지원물품
6. 맺음말
제7장 <창구객일>에 나타난 유배길 체험과 기록_박현순
1. 머리말
2. 형승에 대한 기록
3. 고사(故事)와 사적(史蹟)의 기록
4. 조보(朝報)의 열람과 필사
5. 맺음말

제4부<창구객일>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의 정치과정

제8장 <창구객일>을 통해 본 당대 정국에 대한 밀암의 인식_정만조
1. 머리말
2. 부친 피나(被拿) 소식과 그 반응
3. 유배 배종(陪從)시의 정보 수집
4. 부친 국문(鞫問)시의 정세 분석
5. 부친 찬배(竄配)시의 정보 정리
6. 맺음말
제9장 <창구객일>을 통해 본 정파 간의 정책갈등 분석_이병갑
1. 머리말
2. 이론적.제도적 배경과 분석의 틀
3. <창구객일>에 등장하는 인물의 정파 구분
4. 체제유지정책과정에서의 정책갈등 분석
5. 교육.문화정책과정에서의 정책갈등 분석
6. 맺음말

[부록] 1 <밀암연보> 초략과 동서양의 주요 사건_권경열
[부록] 2 <창구객일> 원문 표점의 원칙과 실례_권경열
[부록] 3 <창구객일> 원문 표점_이용구, 권경열
찾아보기(인명.서명.지명.관명.사항)

저자소개

김언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전번역원 원장,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문학박사 1952년 안동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사범대학 국문연구소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조교수ㆍ부교수를 거쳐 고려대학교 한문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국제퇴계학회 부회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한국경학학회 회장, 한국실학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다산학과 퇴계학을 중심으로 한국경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저서로 『丁茶山論語古今注原義總括考徵』(1987), 『한자의 뿌리 1-2』(2001), 『밀암 이재 연구』(공저, 2001), 『인문학 명강: 동양 고전』(공저, 2013), 『정산 이병휴의 시와 철학』(공저, 2013), 『창구객일 연구』(공저, 2014) 등이 있다. 역서로 『정체전중변』(공역, 1995), 『다산과 문산의 인성논쟁』(공역, 1996), 『다산과 석천의 경학논쟁』 (공역, 2000), 『다산과 대산, 연천의 경학논쟁』(공역, 2000), 『다산의 경학세계』(공역, 2002), 『역주 자학』(공역, 2008), 『역주 시경강의 1-5』(공역, 2008), 『혼돈록』(2014), 『상서고훈 1-5』(공역, 2022) 등이 있다. 정본여유당전서 사업에 참여하여 『시경강의』, 『상서고훈』, 『여유당전서보유』를 책임 연구하였다.
펼치기
권경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연수부와 상임연구부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에서 고서담당 사서로 근무하였고,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사업본부장으로 재직 중 이다. 번역서로 《매천집 3》, 《가례향의》, 《오음유고》, 《국조상례보편》(공역) 등이 있고, <한국고전번역의 특성과 과제>, <문집 번역시 산견되는 저자 중복 사례 및 저자 비정>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정진영 (감수)    정보 더보기
1953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영남대학교 국사학과 및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과정을 마쳤고,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연구원, 동명대학교(부산) 교수, 국립안동대학교 교수를 거쳤다. 역사문화학회장, 인문대학장, 경상북도 독립운동기념관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역사텃밭’ 텃밭지기로 역사의 텃밭, 마음의 텃밭을 열심히 가꾸고 있다. 조선시대 민중운동사와 향촌사회사, 경제사, 생활사 분야의 몇몇 편의 논문과 함께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촌락지배와 그 해체과정』(학위 논문, 1992), 『1894년 농민전쟁연구1·5』(공저, 1991·1996),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공저, 1996), 『조선시대 향촌사회사』(1998), 『한국유학사상대계4: 사회사상편』(공저, 2014), 『혼인, 세상을 바꾸다: 조선시대 혼인의 사회사』(2015)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전병욱 (역주)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난창(南昌)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의 성리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주자 수양론에서 성의 공부의 의미』(2022), 『입학도설』의 심성론에 대한 철학적 재해석』(2020), 『장횡거 철학에서 심통성정의 의미』(2020),『퇴계 철학에서 ‘리도’의 문제』(2012) 등이 있다. 저서로는 『시대 속의 맹자, 주제 속의 맹자』(공저, 2021), 『밀암 이재 문파 연구』(공저, 2020), 『성학십도 역주와 해설』(공저, 2009)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사서장도은괄총요』상중하(2019), 『양명철학(원제: 유무지경)』(2003)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문석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유가철학 전공. 1963년생으로, 1985년 2월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1987년 2월 석사학위(「韓非子의 法思想」), 1995년 8월 박사학위(「朝鮮 後期 湖洛論辨의 成立史 硏究」)를 받았다. 1995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명지대학교 철학과에 재직하였으며, 2006년 9월부터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안병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 안동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갈암 이현일, 경세의 뜻을 품은 큰 선비』, 『인문학을 위한 한문읽기』, 『서원, 한국사상의 숨결을 찾아서』 등이 있고, 번역서로 『퇴계전서』14, 『역주 시경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이병갑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경북 安東 출생으로 영남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政策決定過程에 있어서 韓國勞總의 影響力 分析”으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朝鮮朝의 政策決定過程에 있어서 利益葛藤: 17·18世紀 南人과 西人(특히 老論)간의 關係를 中心으로”란 논문으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안동대학교 부설 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장, 안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겸 행정경영대학원장,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국제문제 및 행정대학원(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nd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Pittsburgh )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를 역임하였다. 현재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작은 政府를 위한 官僚制(공저)》, 《한국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공저)》, 《밀암 이재 연구(공저)》, 《창구객일(蒼狗客日) 연구: 밀암(密菴) 이재(李栽)의 유배시종실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편저)》이 있다. 주요 논문은 “체제유지 정책과정에서 정파간의 이익갈등 분석: 16세기 붕당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朝鮮朝의 政策過程에 있어서 利益葛藤 分析: 16世紀 東人과 西人간의 關係를 中心으로”, “《中庸》 <九經>의 분석과 현대 행정학적 함의”, “교육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공익집단의 활동 분석: 미국 주정부의 경우”, “政策過程에 있어서 利益表出: 헝거리의 境遇”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관심영역은 한국행정사, 유가정치행정사상, 개별국 이익집단이다.
펼치기
이병갑의 다른 책 >
이용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8년 경북 안동에서 농암 이현보(李賢輔)의 종손으로 출생하였다. 안동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자문위원으로 《창구객일》 초벌 표점을 비롯해 경북북부지역 문집 표점작업을 하였으며, 저서로는 《庸軒漫草》 5권이 있다. 1998년에 작고하였다.
펼치기
이병갑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경북 安東 출생으로 영남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政策決定過程에 있어서 韓國勞總의 影響力 分析”으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朝鮮朝의 政策決定過程에 있어서 利益葛藤: 17·18世紀 南人과 西人(특히 老論)간의 關係를 中心으로”란 논문으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안동대학교 부설 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장, 안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겸 행정경영대학원장,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국제문제 및 행정대학원(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nd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Pittsburgh )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를 역임하였다. 현재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작은 政府를 위한 官僚制(공저)》, 《한국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공저)》, 《밀암 이재 연구(공저)》, 《창구객일(蒼狗客日) 연구: 밀암(密菴) 이재(李栽)의 유배시종실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편저)》이 있다. 주요 논문은 “체제유지 정책과정에서 정파간의 이익갈등 분석: 16세기 붕당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朝鮮朝의 政策過程에 있어서 利益葛藤 分析: 16世紀 東人과 西人간의 關係를 中心으로”, “《中庸》 <九經>의 분석과 현대 행정학적 함의”, “교육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공익집단의 활동 분석: 미국 주정부의 경우”, “政策過程에 있어서 利益表出: 헝거리의 境遇”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관심영역은 한국행정사, 유가정치행정사상, 개별국 이익집단이다.
펼치기
이병갑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모든 단어라는 것도 하나의 의미를 지시하는 것이지, 그 자체로 유효한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눈, 얼굴, 살, 피부, 전체적 용모는 자신을 통해 정신과 영혼을 발현케 하며, 항상 여기에서의 의미는 직접적 현상에서 나타나는 것 이상의 것이다. 예술작품은 이런 식으로 의미를 지녀야 하며, 또한 단지 이 직선, 곡선, 표면, 구멍, 돌의 양각이나, 이 색, 음조, 음향 혹은 여타의 사용된 질료 속에서만 그것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오히려 내적 생명성, 느낌, 영혼 그리고 우리가 예술작품의 의미라고 부르는 내용과 정신을 펼쳐보여야 한다.


아무리 보잘것없는 기술적 제작물이라 할지라도 인간 자신이 고안한 것이 더 높은 가치를 지니며, 그래서 인간은 모방의 재주를 부리는 것보다 망치, 못 등을 고안한 것을 더욱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다. 왜냐하면 이렇듯 추상적 모사에 열중하는 것은 불콩을 실패 없이 작은 구멍 속으로 던져 넣는 법을 익혔던 사람의 재주부리기와 같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앞에서 이러한 솜씨를 선보였으나, 알렉산드로스는 아무런 쓸모도 내용도 없는 이 기술에 대해 보상으로 불콩 한 말을 선사했던 것이다.


헤겔이 말하는 자연이란 필연성의 법칙에 지배되는 외적인 자연과 그 현상들을 뜻한다. 그렇기에 자연의 산물들 역시 그러한 법칙에 지배된다. 이에 반해 예술이란 정신의 산물로서, 정신은 필연성에 지배되지 않으며 자유를 그 원리로 삼는다. 그렇기에 예술은 단지 필연성에 의해 생겨나고 자연법칙에 지배되어 기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정신의 활동으로부터 산출된 것으로서, 그 속에는 자유가 구현되어 있다. 헤겔은 자연보다 정신이, 필연성보다 자유가 우월하다고 주장하는데, 우리가 이 주장의 정당성을 인정한다면, 이로부터 자연의 산물보다 정신의 산물이 우월하다는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