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애 : 약체들과 사회들

장애 : 약체들과 사회들

앙리-자크 스티케 (지은이), 오영민 (옮긴이)
  |  
그린비
2021-01-29
  |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550원 -5% 0원 870원 26,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애 : 약체들과 사회들

책 정보

· 제목 : 장애 : 약체들과 사회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88976826534
· 쪽수 : 544쪽

책 소개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 7권.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사회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장애인들을 어떻게 표상해 왔고, 또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 왔는지, 그 전개와 변천의 양상들을 진술한 책이다.

목차

제3판을 위한 일러두기 9
2판에 부치는 서문 (1997년) 11

서론 불구성의 전경 -들러리 존재 17
방법론적 매개 42

1장 성서와 불구성 -신에 대한 숭배 61
금기 62 | 시스템 75 | 금기의 단절? 81

2장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신들의 공포 89
실제들 : 격리된 기형, 보살펴진 허약함 89 | 신화들 107
테이레시아스의 주변, 실명의 사례 140

3장 중세의 자선 시스템(들) 149
조티코스에서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까지 : 구빈원의 자선과 적선의 윤리학 165
신비주의적 윤리학 : 불구자가 예수 그리스도가 될 때 179
‘사회적’ 윤리 : 모든 가난한 자들이 위험한 자들이 될 때 188

4장 전형화의 세기들 -오싹한 한기 201
의학과 철학 201 | 자선과 수용 225 | 생물학과 인간중심주의 236
구호와 재기 243 | 19세기를 따라가며 269

5장 재적응의 탄생 287
삭제 287 | 계기와 그 조건들 290 | 일련의 시련들, ‘모순점들’ 342
뒤얽힌 도식들 그리고 분할 원칙들 379 | 예고장으로서의 결론 400

6장 장애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위하여 413
이론의 개념 파악하기 413 | 모델 개념 파악하기 422
장애에 관한 위대한 이론들 428 | 또 다른 전망을 향하여 454

에필로그 487
부록: 입법화의 단계들 513
참고문헌 523

저자소개

앙리-자크 스티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 7대학(디드로)에서 “Identit?s, Cultures, Territoires”연구 책임자로 있다. 유럽 장애연구 저널인 『ALTER』(European Journal of Disability Research)의 공동창립자이자 책임편집자로 있으며 『부서진 것과 태어나지 못한 것: 불구의 몸과 사회』, 『민주적 토론을 위하여: 장애라는 이슈』, 『손상된 신체로 채색된 우화들: 16~20세기에서의 병의 모습』,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장애의 변화』, 『종교와 불구: 금지된 것, 죄악, 상징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 등을 썼다.
펼치기
오영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나를 타자화하는 문학적 체험이야말로 삶의 중요한 배움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스티케가 말한 장애의 문제 역시 타자의 윤리를 첨예하게 상기시킨다는 점에 공감해 번역을 진행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불어과 졸업 동대학원 프랑스 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한 뒤, 현재 국제사회교육원에서 프랑스어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원육영재단의 후원으로 진행되는 모교의 전인교육프로그램 ‘HUFS Life Academy’(www.hufslifeacademy.com)을 기획 운영하면서 독서와 글쓰기 경험의 소중함을 전파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아래의 슬리퍼를 신은 남자』, 『시시포스 신화』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째서 우리는 다르게 태어나거나 혹은 그렇게 된 존재들에 온갖 이름을 붙여 가며 지칭하는 것일까? 어째서 그토록 많은 범주가 필요하게 된 것일까? 누구에게나 흔히 일어나고 또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두고 어째서 그토록 극적인 과장을 하는 것일까? 분명한 건 우리의 삶이 ‘그 일cela’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회 역시도 ‘그 일을 위해pour ca’ 조직되지 않기 때문에, 또 이런 일에는 항상 예외적인 조치와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그런 일은 ‘전문화된’ 이들과 시설들에 일임해야 하기(때로는 어떻게 하면 다르게 처치할지 궁리해 가며) 때문이리라.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지점으로 되돌아가 모종의 현실(오늘날의 용어로는 ‘장애’)에 경계를 그음으로써 그만큼 우리로 하여금 현실을 더 느끼게 하고 꼭 그만큼 두려움에 떨게 만드는 이 엄청난 ‘명명’의 과정이 과연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되물어야 하지 않을까? 게다가 의사가, 친구가, 사회복지요원이 “그게 말입니다…” 하고 입을 떼는 순간, 불행의 실체는 분명히 통보되고 많은 경우에는 확증되어 언제나 황망해지지 않던가. ‘자폐증’입니다, ‘하지마비’입니다, ‘중증 정신박약’입니다, 하면서 말이다. 요컨대 이는 저 옛날 페스트나 폐결핵, 오늘날의 암과도 어느 정도 닮았다. 어쨌든 ‘그 일’이 일어나면, 유죄판결이 내려진 셈이다.


특히 모든 것이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라는 구호에 편중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함 있는 존재가 평범한 존재를 자신의 본보기로 삼고, 그 성공 여부를 자가용 운전이 가능한지, 대규모 집단주거단지에 거주할 수 있는지, 하루에 8시간 일할 수 있는지, 여름에 ‘스페인 관광’을 할 수 있는지 등으로 가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립을 실현하려는 욕망을 조롱하는 일이란 생각할 수조차 없다. 그것이 일상 활동이나 직장 내에서의 자립이건 경제적인 자립이건 간에 말이다. 하지만 일상 관계의 회복이랄지, 기본 활동의 습득 사례랄지, 엄청나게 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어낸 성취를 말하는 너무나도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들-쉽게 공감할 수 있고 또 감동으로 가득한-은 모든 비판을 일거에 중단시키고 만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중세 시대의 신체불구자는 가난한 자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차원 그리고 거의 존재론적 차원에서도 상이한 위상에 놓일 만큼 너무나도 ‘다른’ 존재였다. 부유한 자와 가난한 자 그리고 건강한 자와 허약한 자는 언제까지나 존재할 것이고, 지금도 존재한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는 그 순서가 약간 전도되었다. 장애인을 그 불행한 운명에서 벗어나게 해주겠다는 미명하에 그들을 다른 사람들과 동일한 가능성을 지닌 주체로 간주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렇기에 더 이상 ‘비-정상적’ 상황들이란 있어서는 안 되며, 심리적·정신적 혹은 육체적 차이도 예전과 같은 어떤 틈으로 남아 있어서는 안 된다. 고로 이 빈공간은 채워져야만 한다. 그러니 낯섦의 공포를 회피하기 위해서라도, 사회적 규범 내부에서 해체시켜 일탈을 잊고 사는 일보다 더 나은 방법은 없으리라. 이제 모든 것은 이러한 시도가 진정 가능한 일인지 알아보는 데 달렸다. 푸코가 묘사했던 고전주의 시대와 관련한 위대한 새로움도 여기에 있지 않았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