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베르그손과 생명의 시간

베르그손과 생명의 시간

(철학과 잠재성의 모험)

키스 안셀-피어슨 (지은이), 정보람 (옮긴이)
그린비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400원 -5% 0원
960원
29,440원 >
28,800원 -10% 2,500원
0원
31,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베르그손과 생명의 시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베르그손과 생명의 시간 (철학과 잠재성의 모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76826824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2-07-22

책 소개

잠재성과 생명/삶 개념을 중심으로 베르그손을 독해하는 책이다, 『바이로이드적 생명』, 『싹트는 생명』과 함께 키스 안셀-피어슨의 ‘생명 철학’ 3부작 중 한 권으로 꼽히고 있다.

목차

감사의 말 5
서문 7

1장 잠재적 다양체로서의 시간 29

서론 29 | 두 가지 다양체 40 | 수(數)의 시간 51 | 시간은 공간인가? 58 | 연속성에 관한 베르그손과 러셀의 입장 66 | 하나의 시간, 하나의 공간 75 | 지속의 존재론을 향하여 90 | 지속 전체 96

2장 ‘실재적인 것의 생명/삶’과 단일한 시간: 상대성 이론과 잠재적 다양체 107

파르메니데스에 대한 포퍼의 독해 110 | 변화의 문제 116 | 파르메니데스주의자로서 아인슈타인에 대한 포퍼의 독해 118 | 고대인들과 현대인들에 대한 베르그손의 독해 122 | 베르그손과 상대성 이론 135 | 포퍼와 베르그손의 만남 157 | 결론: 생명의 시간을 향하여 163

3장 지속과 진화: 생명의 시간 167

잠재적 다양체로서의 생명 171 | 가능한 것과 실재적인 것 176 | 다윈의 위험한 생각에 대한 데넷의 견해 187 | 베르그손주의에 대한 바슐라르의 입장 203 | 남겨진 문제들 209 | 결론 221

4장 단일 잠재성: 일자를 새롭게 사유하기 225

머리말 225 | 다원주의의 일자: 플로티노스에 대한 베르그손과 들뢰즈의 입장 229 | 생명의 차이에 관한 들뢰즈의 입장 246 | 결론 264

5장 사유의 이미지로서 생의 약동: 목적성에 대한 베르그손과 칸트의 입장 269

서론 270 | 칸트: 목적론의 문제 283 | 베르그손의 대응 288 | 베르그손과 목적성 303 | ‘생의 약동’의 이미지 313

6장 잠재적 이미지: 물질과 지각에 대한 베르그손의 입장 325

서론 326 | 모든 것은 이미지이다 333 | 관념론과 실재론 사이에서 345 | 유물론의 동일성 사유를 넘어 359 | 관념론을 넘어서 368

7장 기억의 존재와 자아의 시간: 심리학에서 잠재적인 것의 존재론으로 383

서론 384 | 심리학에서 존재론으로: 순수 기억에 대한 베르그손의 입장 393 | 잠재적 기억과 시간의 크리스탈-이미지 414 | 『차이와 반복』에서 순수 과거의 종합 427 | 시간의 깊이들 440 | 직선적 시간: 니체와 칸트 455 | 결론 470

참고문헌 473
옮긴이 후기 493

저자소개

키스 안셀-피어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워릭대학교 철학과에서 1993년부터 2021년까지 재직한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베르그손과 니체에 관한 연구서들을 다수 집필하였고 『베르그손 선집』(Henri Bergson: Key Writings)을 공동 편집하였다. 저서로 『바이로이드적 생명: 니체와 탈인간의 조건』(Viroid Life: Perspectives on Nietzsche and the Transhuman Condition, 1997), 『베르그손: 인간의 조건을 넘어 사유하기』(Bergson: Thinking Beyond the Human Condition, 2018), 『니체의 철학 탐색: 중기 저작들』(Nietzsche’s Search for Philosophy: On the Middle Writings, 2018) 등이 있으며, 공저로 『니체의 새벽: 철학, 윤리 그리고 지식의 열정』(Nietzsche's Dawn: Philosophy, Ethics, and the Passion of Knowledge,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정보람 (옮긴이)    정보 더보기
「들뢰즈에서 주체화의 문제: 자본주의 시간 연구」로 미국 듀케인대학교와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덴버 소재) 철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젠더, 인종, 자본, 탈식민성(decoloniality) 등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한 ‘시간의 정치학’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빚진 주체의 생산: 자본주의와 우울」(The Production of Indebted Subjects: Capitalism and Melancholia)과 「보이지 않는 것의 현상학: 백인중심적 시공간 구성에 있어 아시안 신체의 부재에 관하여」(A Phenomenology of Invisibility: On the Absence of Yellow Bodies)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과 형이상학은 양자 모두 우주의 실재 혹은 ‘자연적 분절들’을 추상적인 지성에 의해 인위적으로 구성하여 보여 줄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상호 협력하고 있는 것이다. 베르그손의 기획에 대해 들뢰즈가 지적하듯 ‘과학적 가설’과 ‘형이상학적 논제’는 “온전한 경험을 재구성하는 가운데” 끊임없이 결합된다. 베르그손이 제시하는 지속은 ‘근/현대 과학의 형이상학적 상관물’이며, 시-공간의 새로운 과학이 여전히 추상적이거나 무의미한 것으로 남아 있지 않기 위해서는 ‘내재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속’의 형이상학이 마련되어야 한다.


베르그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데아의 독립적인 영역을 부인하면서 지각에 대한 개념의, 실재적인 것에 대한 이데아의, 항상 변화하는 것에 대한 부동적인 것의 이러한 우월성을 전혀 전복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신은 모든 것이 그것으로부터 흘러나오고, 이것이 우월한 힘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는 점에서, 잠재적인 신이다.


우리가 순간 안에 놓인 지속의 지연을 진지하게 고려한다면, (시간은 그저 주어지고 사물은 미리 형성된 가능태들로서 존재하면서 실현되기만을 기다리는) 기계적 진화가 아닌 ‘창조적’ 진화를 사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속의 ‘지연’ 또는 유보를 통해 우리는 ‘머뭇거림’과 ‘비결정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비록 모호하고 막연하지만 시간과 생성의 전적으로 긍정적인 측면이라 하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