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7785144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0-08-24
목차
서문 (문경연)
제1부 공공외교 이론
제1장 공공외교의 개념적 이해 (송기돈)
Ⅰ. 들어가며
Ⅱ. 공공외교의 창설적 개념 정의
Ⅲ. 공공외교의 실제적 개념 인식
Ⅳ. 공공외교의 학술적 개념 인식
Ⅴ. 맺음말
제2장 공공외교의 역사, 유형·특성 및 이론적 조망 (송기돈)
Ⅰ. 들어가며
Ⅱ. 공공외교의 역사
Ⅲ. 공공외교의 유형 및 특성
Ⅳ. 공공외교의 이론적 조망
Ⅴ. 맺음말
제3장 안보와 공공외교: 소프트파워를 통한 안보, 하드파워를 통한 공공외교 (박성용)
Ⅰ. 들어가며
Ⅱ. 전통안보 개념과 한계
Ⅲ. 안보 패러다임의 변화
Ⅳ. 공공외교와 안보의 연계
Ⅴ. 공공외교와 안보의 상호 간 활용
Ⅵ. 맺음말
제4장 국가 브랜딩과 공공외교 (강정석)
Ⅰ. 국가 브랜딩의 이해
Ⅱ. 공공외교와 국가 브랜딩의 관계
Ⅲ. 국가 브랜딩의 실행
Ⅳ. 맺음말
제2부 국가별 공공외교 정책과 특성
제5장 프랑스 공공외교 정책과 문화외교 집행기관의 역할 및 특성 (조화림)
Ⅰ. 들어가며
Ⅱ. 프랑스에서의 공공외교 개념과 문화외교의 역사
Ⅲ. 프랑스 문화외교 집행기관의 역할 및 특성
Ⅳ. 21세기 프랑스의 문화외교 정책 방향과 성과
Ⅴ. 맺음말
제6장 호주의 중견국 공공외교와 ODA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 (문경희)
Ⅰ. 들어가며
Ⅱ. 소프트파워와 중견국의 공공외교 자원으로서 ODA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
Ⅲ. 호주의 중견국 외교와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의 전개
Ⅳ. 호주 정부의 ODA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의 개요
Ⅴ. AusAID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에 대한 평가
Ⅵ. 맺음말: 호주의 고등교육 장학협력사업의 개선 방향과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제7장 아프리카 공공외교의 안팎과 미래 (임기대)
Ⅰ. 들어가며
Ⅱ. 아프리카와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
Ⅲ. 아프리카 국가들의 공공외교에 대한 노력
Ⅳ. 아프리카의 공공문화유산
Ⅴ. 아프리카에서 한국의 공공외교 전략
Ⅵ. 아프리카 공공외교의 전망과 미래의 아프리카
Ⅶ. 맺음말
제3부 공공외교 사례
제8장 미디어와 공공외교: 전통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시너지 효과 (마영삼)
Ⅰ. 들어가며
Ⅱ. 공공외교에 있어서의 미디어의 역할
Ⅲ. 미디어외교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
Ⅳ. 미디어의 신뢰도와 공공외교 효과
Ⅴ. 소셜미디어와 공공외교
Ⅵ. 인터넷외교의 부정적 영향
Ⅶ. 전통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결합
Ⅷ. 맺음말: 글로벌미디어의 역할
제9장 국제평화유지활동과 안보공공외교 (최현진)
Ⅰ. 들어가며
Ⅱ. 국제평화유지활동의 유형과 변화 양상
Ⅲ. 한국의 국제평화활동: 남수단과 아프간 사례를 중심으로
Ⅳ. 맺음말: 안보공공외교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제10장 힘차게 도약하는 스포츠 공공외교 (조현주)
Ⅰ. 스포츠 공공외교, 첫 걸음
Ⅱ. 스포츠 공공외교, 두 번째 걸음
Ⅲ. 스포츠 공공외교, 세 번째 걸음
Ⅳ. 스포츠 공공외교, 네 번째 걸음
Ⅴ. 스포츠 공공외교, 달리기 위한 준비
제11장 공공외교와 국제개발협력: 국제사회의 노력과 한국의 ODA (문경연)
Ⅰ. 들어가며
Ⅱ. 공공외교와 대외원조의 이론적 연계성
Ⅲ. 지구촌 빈곤퇴치와 발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Ⅳ. 한국 대외원조의 특수성: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Ⅴ. 공공외교적 관점에서 한국 대외원조 정책의 성과
Ⅵ. 맺음말: 공공외교와 원조 정책 간 조화를 위한 과제
제12장 해외 한국학 진흥과 공공외교 (김유리)
Ⅰ. 해외 한국학의 의미와 목적
Ⅱ. 공공외교 차원의 해외 한국학 진흥 사업 체계
Ⅲ. 해외 한국학 사업의 지역별 현황 분석
Ⅳ. 공공외교 자산으로서의 해외 한국학 발전방안
Ⅴ. 맺음말
제13장 공공외교와 통일: 한국 통일공공외교에 대한 이해, 상상, 그리고 구상 (박지연)
Ⅰ. 들어가며
Ⅱ. 통일공공외교란?
Ⅲ. 통일공공외교 상상하기: 네트워크 이론의 활용
Ⅳ. 효율적인 통일공공외교 구상하기: 아무것도 안 하기 vs. 독백 vs. 대화 혹은 협동
Ⅴ. 맺음말
찾아보기
편저자 및 집필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