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주와 불평등

이주와 불평등

(라틴아메리카 이주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구경모, 임두빈, 임기대, 차경미, 이순주, 현민, 박정원, 노용석, 이정화, 최명호, 이태혁 (지은이)
알렙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주와 불평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주와 불평등 (라틴아메리카 이주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933334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05-30

책 소개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HK+ 연구총서 시리즈. 라틴아메리카 이주와 관련한 최근 이슈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망하고 있으며, ‘이주 현상’을 통해 ‘경계’에 대한 개념을 다시 성찰해 본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라틴아메리카 인종과 공간에 투영된 불평등

제1장 라틴아메리카 원주민과 불평등 문제_조영현
제2장 다인종 사회, 브라질의 인종 인식_김영철
제3장 라틴아메리카 도시에 투영된 사회의 불평등_김희순
제4장 라틴아메리카 촌락의 불평등_김희순

제2부 라틴아메리카 불평등 개선을 위한 시도

제5장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의 인종적 불평등 극복 문제를 다루는
두 가지 시각: 탈식민 이론과 수막 카우사이_조영현
제6장 되살아나는 원주민과 권리_김영철
제7장 강제 실향민의 불평등 개선을 위한 노력_차경미
제8장 콜롬비아 정부의 평화협정 이행과 농촌 개발 정책_차경미

참고문헌

저자소개

임기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전공 교수. 프랑스 파리7대학 박사(언어역사인식론). 부산외대 아프리카연구소장 및 중앙도서관장, 유럽미주대학 학장, 법무부 난민위원회 자문위원, 제주교육청 국제교류위원, 부산광역시 외교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 『베르베르문명』, 『7인 7색 아프리카』 외 다수를 집필했다. 한국프랑스학회장,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HK)3.0 과제 주관 연구소 연구 책임자를 겸임 중이다.
펼치기
이순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남미 정치 전공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현 중남미지역원)의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울산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라틴아메리카의 어제와 오늘』(공저), 『4차 산업혁명 시대 한·중남미 기후환경협력』(공저), 『젠더와 불평등』(공저), 『21세기 뉴페미니즘』(공저) 등이 있고, 「제4물결 페미니즘을 넘어: 아르헨티나 페미니즘의 확산」, 「라틴아메리카에서 ‘페미니시디오(Feminicidio)’의 정치적 함의」, 「콜롬버스 상에서 반기념물 ‘정의’로: 시각정치로 본 레포르마 거리의 정치적 동학」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에 입학,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국비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멕시코 시몬볼리바르 대학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강사이다. 멕시코 및 베네수엘라 지역 연구, 불평등 문제, 생태 문명 전환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한다. 지은 책으로는 《이주와 불평등: 라틴아메리카 이주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Desigualdades, pobreza y papel del Estado en America Latina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모기 제국》 등이 있다.
펼치기
임두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라질 상파울루주립대학교(Universidade Estadual Paulista)에서 포르투갈어 응용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과 포르투갈(브라질)어 전공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브라질 사람들』(역서), 『브라질 사람과 소통하기』(공역), 『이주와 불평등』(공저), 『종교와 불평등』(공저), 『아마존의 길』(공저), 「브라질의 일상·대중적 문화소의 근원에 관한 연구」 , 「신 전환기 브라질 정치지형 변화의 문법에 관한 소고」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구경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에서 사회인류학 및 민속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과 국제개발협력전공에서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저서로는 『기층문화와 민족주의: 파라과이 민족정체성과 과라니 문화』(2021년 우수학술도서, 대한민국학술원), 『이주와 불평등: 라틴아메리카 이주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공저), 『중남미 국토분야 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공저) 및 국내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노용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이다. 역사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한 각종 국가폭력과 과거사 청산을 분석하면서 라틴아메리카 지역을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폭력과 유해발굴의 사회문화사』(2018), 『라틴아메리카의 과거청산과 민주주의』(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차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롬비아 국립대학교(Universidad Nacional de Colombia) 사학과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H 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전쟁 그리고 콜롬비아』, 『라틴아메리카 흑인 만들기』, 『인종과 불평등』(공저), 『젠더와 불평등』(공저) 등이 있고, 「브라질-콜롬비아-페루 아마존 국경 지역 초국가적 마약 조직범죄와 국가 안보」, 「강제실향민의 불평등 개선을 위한 라틴아메리카 지역 국가의 공동 대응」, 「라틴아메리카의 강제실향민과 젠더박해」, 「콜롬비아 농촌 개발 특구 조성에 관한 토지개혁법 ZIDRES의 부정적 효과」, 「콜롬비아의 페트로(Gustavo Petro) 좌파 정권의 등장 배경」 등 다수의 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박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라틴아메리카 문화연구 박사.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소장 및 스페인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는 『공동체 없는 공동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정원의 다른 책 >
이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수료. 저서에는 『바다 사람들의 생애사 2』(공저)가 있다.
펼치기
이태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요크대학교(University of York)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물로는 「FEALAC and Inter-regional Governance: A ‘New’ Path to Pacific Partnership」,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 “편승”과 “균형” 사이의 라틴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정치성: 이론과 비교를 통한 접근』 등 국내외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연구 주제는 글로벌 거버넌스, 지역주의(기구), 아시아-라틴아메리카 간 관계, 기후위기, 혼합연구방법론(Mixed method) 등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국경의 완화와 문호의 확대를 기대하는 중앙아메리카인들에 의한 북쪽으로의 행렬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상황에 대해 미국 정부는 이중적인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인권적인 관점에서 더 이상의 이민자에 대한 무차별적 단속과 지나친 송환을 자제하려는 노력을 하겠다고 천명하였다. 이는 전임 트럼프 행정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주고 자신들이 내건 공약을 실현하려는 의지로 읽힌다. 그렇지만 이와 동시에, 중앙아메리카 사람들에게는 카라반을 멈추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미국의 영토로 들어온 이들에게는 인권을 보장하고 기회를 제공하는 대신, 중미로부터 더 이상의 유입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읽힐 수 있다. 이러한 이중적 정책은 트럼프에 비해 진일보한 면모를 보여 주는 동시에, 이민 정책에 관한 현 정부의 딜레마를 드러낸다. 특히, 국경을 닫고 접촉을 줄이는 것이 규범이 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상황은 보다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기 힘들게 하는 새로운 조건이 되고 있다.


2020년, 전 세계적 팬데믹으로 잠시 주춤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국민국가 영역을 넘어선 이주의 물결은 현재까지도 활발하다. 특히 한국은 국제 이주의 유입과 공급이 모두 활발한 국가로서, 이주에 따른 사회의 문화 변동과 그 영향력을 면밀히 따져야 할 위치에 놓여 있다. 현재 한국에는 수많은 동남아시아 결혼 이주자 및 노동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한국인 역시 세계의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해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한국 이주 역사에 있어서 ‘기념비적 사건’으로 꼽을 수 있는 멕시코 ‘에네켄(Henequen) 한인 이주’를 여기서 언급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는데, 그것은 에네켄 한인 이주가 멕시코와 쿠바라는 상당히 ‘낯선’ 곳으로의 이주였다는 이유도 있지만, 한인 국제 이주의 본격적 출발점이자 식민지와 근대 국민국가 수립의 시작점에 발생한 중요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2개의 선진국과 1개의 개발도상국이 결합한 북-남 지역경제통합인 NAFTA는 세계화 이후 진행된 ‘새로운 지역주의’의 대표적 사례이다. ‘새로운 지역주의’는 지역경제통합을 통해 해외 투자와 수출 시장 확보를 위한 협상력 증대를 목적으로 하였다. NAFTA는 국가 주도의 협력 및 집합적 행위의 공식적 제도화를 특징으로 하는 ‘지역주의’보다는 무역 및 투자의 자유화를 우선시하는 기업과 이에 따른 상품과 인구의 활발한 이동을 동반하는 민간 중심의 ‘지역화’를 기반으로 지역적(regional) 단위의 경제적 공간을 창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유무역협정에 기반한 NAFTA는 지역경제통합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개발 격차(특히 미국과 멕시코 사이의 경제적 격차)의 문제를 전적으로 시장 기제에 일임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