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함허당득통화상어록

함허당득통화상어록

득통 기화 (지은이), 박해당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20원
16,58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함허당득통화상어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함허당득통화상어록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88978015257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7-06-09

책 소개

조선 초에 활동하였던 불교 승려 함허당涵虛堂 득통 기화得通己和(1376~1433)의 시문詩文과 설법 등을 기록한 것이다. 『함허당득통화상어록』은 조선 최초의 승려 어록이라는 점에서 우선 독보적인 가치를 지닌다.

목차

함허당득통화상어록涵虛堂得通和尙語錄 해제 / 5

일러두기 / 27

함허당득통화상어록 서涵虛堂得通和尙語錄序 / 29

주 / 32

문文 29편

왕태후의 혼령을 천도하는 세 번째 법화회 薦王太后仙駕法華第三會 .........35

원경 왕태후의 혼령을 위한 법어 爲元敬王太后仙駕下語 ......... 38

성녕대군의 혼령을 위한 법어 爲誠寧大君仚駕下語 ......... 39

새해 첫날 소경공의 혼령을 위한 법어 正旦爲昭頃公仙駕下語 ......... 41

혼령을 맞이하는 법어 迎魂下語 ......... 42


혼령을 배웅하는 법어 送魂下語 ......... 43

봉녕군의 혼령을 위한 법어 爲奉寧君仙駕下語 ......... 45

정랑 이공전이 어머니 하씨의 혼령을 위해~ 正郞李恭全……六道普說 ......47

뭇 시주자들이 청한 혼령에 대한 보설 諸檀越請對靈普說 ......... 52

혼령을 맞아들이는 헌좌의 법어 迎魂獻座下語 ......... 56

현등사원당주가 홍섭의 혼령을 위하여~ 懸燈寺願堂主爲洪涉仙駕請普說.....58

옥봉의 혼령을 위해 향을 올리고~ 爲玉峰覺靈獻香獻茶獻飯垂語 ......... 61

또 내린 법어 又下語 ......... 62

혼령을 보내며 내린 법어 送魂下語 ......... 64

진산 화상을 천도하는 제문 薦珍山和尙祭文 ......... 66

진산 화상을 위해 향을 올리고 차를 올리며~ 爲珍山和尙獻香獻茶垂語 ... 69

석종에 안치하면서 내린 법어 安鍾垂語 ......... 71

상우 상암 화상을 위한 법어 爲尙愚上菴和尙下語 ......... 76

석실 탑에 절함 拜石室塔 ......... 81

죽은 승려를 위해 내린 법어 爲亡僧下語 ......... 82

혼령을 배웅하며 내린 법어 送魂下語 ......... 85

감실을 세우며 내린 법어 起龕下語 ......... 87

장례가 끝난 뒤에 내린 법어 葬畢後下語 ......... 88

불을 붙임(2편) 下火 ......... 90

또 又 ......... 91

뼈를 뿌리며 내린 법어 散骨下語 ......... 92

걸대의 혼령을 위해 뼈를 뿌리며 내린 법어 爲傑大靈駕撒骨下語 ......... 94

비돈의 혼령을 위해 내린 법어 爲匪豚靈駕下語 ......... 97

대중들에게 보임 示衆 ......... 98

염불을 권함 勸念 ......... 99

가찬류歌讃類 11편 외

대승기신론』의 제목을 해석함 大乘起信論釋題 ......... 100

『원각경』에 부침(16수) 圓覺經題 ......... 106

『법화경』에 부침(31수) 法華經題 ......... 112

법왕의 노래 法王歌 ......... 122

반야의 노래 般若歌 ......... 126

종풍의 노래 宗風歌 ......... 129

닦기를 권하여 읊음 策修吟 ......... 131

스스로 기뻐하여 읊음 自慶吟 ......... 136

아미타불에 대한 찬탄 彌陁讃 ......... 140

극락에 대한 찬탄 安養讃 ......... 146

『아미타경』에 대한 찬탄 彌陁經讃 ......... 152

젊은 비구 홍준이 부처님과 가르침과~ 小師洪俊……師卽應聲答曰 ......... 158

『원각경』을 다 읽었는데 때마침~ 讀罷圓覺時方雨霽因感佛化 ......... 159

시詩 91편

준 상인에게 마리산 정수암에 머물기를 권함 勸俊上人住摩利山淨水菴 ....160

목은의시를읽고감로사를 생각하며 운을 따서 지음 因讀牧隱詩憶甘露寺次161

산에서-선비를 대신하여 읊음 山中行代士吟 ......... 162

서원 허 목천에게 주는 시 與西原許木川詩 ......... 163

또허목천이불살생계를 받으니 이에『범망경』으로~ 又許木爲詩以勉之 165

인동 수령에게 답함(2수) 答仁同守 ......... 166

또 又 ......... 167

안 주부에게 줌 與安注簿 ......... 168

최경손 등에게 보임 示崔敬孫等 ......... 169

이적 선생의 아름다운 운을 따서~(5수) 奉次李先生逖佳追伸鄙懷 ......... 170

신륵사에 노닒(2수) 遊神勒 ......... 172

나옹의 시자 야운 각우에게 줌 贈懶翁侍者覺牛號野雲 ......... 173

총제 김 공의 운을 따서~ 因次惣制金公……美公忘形勸善 ......... 174

이 정승이 베푼 은혜에 답함(3수) 荅李政承所惠 ......... 175

또 又 ......... 176

또 又 ......... 177

부채를 찾아도 쓸데없음 求扇無益 ......... 178

밤이 고요하니 계곡물 소리가 높음 夜靜溪聲高 ......... 179

산에 비기어 지음 擬山作 ......... 180

천보산의 집에서 天寶山居 ......... 181

희양산의 집에 비김 擬曦陽山居 ......... 182

돈해 상인에게 줌 與頓海 ......... 183

관음사를 떠나 속리산으로 가는데~ 離觀音寺……因以詩贈之 ......... 184

관음사의 연화승 해신이~(2수) 觀音寺緣化海信者……以詩贈之 ......... 185

또 又 ......... 186

속리동 수정교 판상의 운을 따서 지음 次俗離洞水晶橋板上韵 ......... 187

공림사에 노닒 遊空林寺 ......... 188

용화 노장에게 줌 贈龍華老 ......... 189

길에서 선재동자를 생각함 途中憶善財 ......... 190

서원 부흥사에 노닒 遊西原復興寺 ......... 191

염주를 굴리며 읊음 弄數珠吟 ......... 192

선·준 두 사미에게 보임 示仙俊二沙彌 ......... 193

일로 말미암은 감흥 因事有感 ......... 194

청헌자를 배웅하느라 모르는 새 양계를 건넘(3수) 因別晴軒子不覺過羊溪 ......... 195

또 又 ......... 196

또 又 ......... 197

소나무 껍질 밥(2수) 松皮飯 ......... 198

또 又 ......... 199

부채(2수) 扇子 ......... 200

또 又 ......... 201


운을 따다 지어 양근 수령 이李에게 줌 次贈楊根守李......... 202

운을 따다 지어 청헌자에게 줌 次贈晴軒 ......... 203

또 산속의 아름다운 멋 혼자 누리는 것을~ 又山中佳趣獨享爲愧 ......... 204

또 수박을 줌 又以西瓜贈之 ......... 205

월강 경과 급암 도 두 존숙은~ 月江鏡及菴道二尊宿……因以贈之 ......... 206

이 상국에게 줌 贈李相國 ......... 207

안양사에 부침 題安養寺 ......... 208

한 상국에게 주는 시 贈韓相國詩 ......... 209

머리 깎을 때의 게송 落髮偈云 ......... 210

임진강의 배 위에서 읊음 臨津舩上吟 ......... 211

8월에 부소산에서 노닒 八月遊扶蘇山 ......... 212

승천포의 배 위에서 읊음 乘天浦舩上吟 ......... 213

부소산에 올라 송도를 바라봄 登扶蘇望松都 ......... 214

정륜에게 보임 示正倫 ......... 215

굴원을 읊음 賦屈原 ......... 216

오자서를 읊음 賦五子胥 ......... 217

범려를 읊음(2수) 賦范蠡 ......... 218

또 又 ......... 219

무산을 읊음 賦巫山 ......... 220

마음속에 품은 생각을 읊음(2수) 詠懷 ......... 221

또 又 ......... 222

선방의 선승들에게 보임 示堂中禪者 ......... 223

소정·직숙두대인이희양산을방문하고~(3수)紹丁直叔兩大人……以發一笑 ......... 224

또 又 ......... 225

또 又 ......... 226

소나무 있는 집 松堂 ......... 227


고향에 돌아감 歸鄕 ......... 228

소정을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 訪紹丁不遇 ......... 229

<소나무 있는 집>의 운을 땀(2수) 次松堂 ......... 230

또 又 ......... 231

오른쪽 인북루에 부침(2수) 題右人北樓 ......... 232

또 又 ......... 233

현등사에 부침 題懸燈寺 ......... 234

봄날의 감흥 春日有感 ......... 235

헤어지며 이적에게 줌 贈別李逖 ......... 236

맑은 밤에 읊음 淸夜吟 ......... 237

현등사에 머물면서~(4수) 住懸燈因不煮炙感普照淸風 ......... 238

또 又 ......... 239

또 又 ......... 240

또 又 ......... 241

이 상공의 연못과 정자에 부침 題李相公池亭 ......... 242

현등산을 떠나오는 길에 그저 읊음 辭懸燈山途中偶吟 ......... 243

시대를 탄식함 嘆時 ......... 244

상국 이적이 금강산에 놀러 갔다 돌아오니~ 李相國迹遊金剛山還書此寄贈 ......... 245

목은의 시를 보고 지음 看牧隱詩有作 ......... 246

세상 밖의 높은 자취 物外高蹤 ......... 247

장자와 노자를 찬탄함 莊老賛 ......... 248

강 위에서 江上 ......... 249

가을날 마음에 품은 생각을 적음 秋日書懷 ......... 250

빗속에서 雨中 ......... 251

길에서 지음 途中作 ......... 252

우봉 읍재를 찾아감 訪牛峯邑宰 ......... 253


지 소윤에게 줌 贈池少尹 ......... 254

관찰사 이적에게 줌 贈李觀察使迹 ......... 255

죽은 승려를 보냄 送亡僧 ......... 256

마음이 태연하면 온몸이 명령을 따름 天君泰然百體從令 ......... 257

산속의 취미 山中趣味 ......... 258

여산삼소도廬山三笑圖 ......... 259

강서사 누각에 있는 운을 따서 지음 次江西寺樓上 ......... 260

세상에는 두터이 해야 할 것을 박하게 하는 경우가 셋 있음 世有薄所厚者三 ......... 261

두 공부-익재의 운을 땀 杜工部次益齊 ......... 262

<두 공부>의 운을 따서 지음 次杜工部 ......... 263

벽곡을 읊음 辟穀吟 ......... 264

한가한 도인을 찬탄함 賛閑道人 ......... 265

산속의 맛 山中味 ......... 266

느낌 有感 ......... 267

운악산에 노닒 遊雲岳山 ......... 268

녹사 권연에게 줌 與權錄事然 ......... 269

주 / 270

『법화경』 뒤에 붙인 발문 法華經後跋 ......... 278

함허당 득통 화상의 행장 涵虛堂得通和尙行狀......... 280


주 / 290

찾아보기 / 291

저자소개

득통 기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속성은 유씨劉氏이고, 본향은 중원中原이며, 1376년(고려 우왕 2)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유교를 배웠고, 자라서는 성균관에서 새로 도입된 성리학을 배우던 유교 지식인이었으나, 동무의 죽음을 계기로 관악산 의상암에서 출가하였는데, 조선이 개국한 뒤인 1396년(태조 5)의 일이다. 그 뒤 양주 회암사에서 무학 자초無學自超의 가르침을 받고 한동안 머물며 수행하였으며, 공덕산 대승사, 천마산 관음굴, 자모산 연봉사, 어찰 대자사 등에서 영가추천법회와 강설 등을 행하였다. 말년에는 희양산 봉암사를 중건하고 그곳에서 머물렀으며, 1433년(세종 15) 4월 1일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처음 법명은 수이守伊, 법호는 무준無準이었는데, 1420년에 기화己和와 득통得通으로 바꾸었다. 여기에 당호인 함허당涵虛堂을 더하여 ‘함허당 득통 기화’라 부른다. 기화는 나옹에서 무학으로 이어지는 법맥을 이어받은 선승이면서도 『금강경』과 『원각경』을 주석하고 반야강석般若講席을 비롯한 강경법회講經法會를 여러 차례 여는 등 교학의 영역에서도 뚜렷한 자취를 남겼다. 저술로는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說誼』·『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설의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說誼』·『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현정론顯正論』 등이 남아 있는데, 모두 『한국불교전서』 제7권에 실려 있다.
펼치기
박해당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에서 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전공으로 문학석사와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 지곡서당의 한문연수과정을 마쳤다. 서울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였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 등에서 강의하는 한편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 역주사업과 불교한문 강좌를 담당하고 있다. 번역서로 『중국불교(상,하)』가 있고, 『함허당득통화상어록』 등의 한문문헌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