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지방자치
· ISBN : 978897858118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 지방소멸에 대한 문제 제기
지방소멸이란 용어의 문제점 · 16
지방소멸, 모든 나라의 공통된 문제? · 19
● 프랑스
마을의 종말 용어도 허용 않는 프랑스 · 24
지방 강화의 선봉장 미테랑 대통령 · 27
영토 불평등에 대항한 노란조끼운동 · 33
지자체와 시민의 힘으로 부활하는 지방 · 39
● 스위스
인프라 구축으로 농촌 활성화 박차 · 48
마을 구출에 발 벗고 나선 주민들 · 54
● 스페인
텅 비어가는 농촌, 시민의 힘으로 대반전 · 62
지역 정당 창당 붐 · 68
데사피오(도전), 농촌 에라스뮈스! · 75
● 포르투칼
인구 위기에 대응한 레그레사 정책 · 82
이민자와 난민 수용으로 인구감소 돌파 · 89
시골 정착 지원금 · 95
● 이탈리아
저출산으로 벼랑에 몰린 이탈리아 · 102
텅 비어가는 남부 지방 · 107
인구 유치 경쟁에 나선 지자체들 · 112
● 아일랜드
증가하는 인구와 동·서 격차 · 118
지나친 개발로 파괴된 농촌 복원 · 125
탈중앙화 바람 · 132
● 미국
당근정책으로 도농 격차 완화 · 138
기술 인재 유치에 파격 인센티브 · 144
원격 근무자, 보조금으로 유인 · 148
● 캐나다
지역 가치 발견 인문학 프로그램 개발 · 154
녹지에 집 지어도 좋다! · 158
이민자 지명, 신청 3개월 안에 처리 · 165
● 일본
관광자원 개발로 외국인 투자 유치 · 172
자주보육으로 출생율 최고 기록 · 180
청년이 청년을 부르는 원격 근무 · 186
고향납세제, 약인가 독인가? · 193
답례품에 따른 고향납세 기부액 편차 · 198
고향납세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 206
● 베트남
도·농 균형발전을 위한 신농촌운동 · 214
공동체 정신으로 농촌 강화에 성공한 마을들 · 221
대중조직으로 신농촌 건설 · 230
● 타이완
이민 수용으로 인구절벽 돌파 · 238
마을 살리기에 앞장선 노인들 · 243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방의 인구감소가 진행되면서 우리는 ‘소멸’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하지만 유럽에서는 이 단어를 찾아보기 어렵다. 프랑스에는 ‘지방소멸’이란 용어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나라에서는 우리와 달리 지역의 ‘사막화(deertification)’, ‘변방화
(peipheique)’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20여 년 전부터 프랑스의 일부 지리학자들은 인구감소로 진행되는 지방의 과소화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면서 영토의 ‘사막화(deertification)’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지방소멸이란 용어의 문제점
유럽에서는 지방소멸에 대한 논의가 한국과는 매우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지방의 인구감소와 마을 공동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그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문화적 변화를 논의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이다. 이러한 논의는 지역사회의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마을의 종말’ 용어도 허용않는 프랑스
스위스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인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외국인들을 많이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스위스의 외국인 비율은 유럽 국가 중 가장 높고 현재 이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170만 명이 넘는다. 이는 스위스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
-인프라 구축으로 농촌 활성화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