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리운 詩, 여행에서 만나다

그리운 詩, 여행에서 만나다

양병호, 이승철, 노용무, 송지선, 김아리사, 시민정, 이강하, 정유미, 박지학, 신혜원 (지은이)
박이정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400원 -5% 2,500원
600원
1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그리운 詩, 여행에서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리운 詩, 여행에서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88978789011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06-12-26

책 소개

전라도가 낳은 시인 이병기, 김영랑, 신석정, 서정주, 조태일, 충청도가 낳은 시인 한용운, 정지용, 오장환, 박용래, 신동엽. 국내 시인들의 고향과 생가를 다녀와 쓴 문학기행서. 전북대 시문학 연구팀의 구성원 열 명이 공동 집필했다.

목차

여는 글 - 양병호

핏빛 선연한 황톳길 : 전라도
이병기 l 그리움으로 피어나는 난초와 청매 - 시민정
김영랑 l 찬란한 슬픔이 스며들다 - 박지학
신석정 l 그대! 그 먼나라를 알으십니까? - 김아리사
서정주 l 하늘 끝 호올로 가신 님아 - 신혜원
조태일 l 바람의 속도로 길을 걷다 - 이강하

사랑의 은근한 중독과 아픔 : 충청도
한용운 l 사랑, 참말로 알 수 없어요 - 양병호
정지용 l 꿈꾸는 소년의 항해 일지 - 이승철
오장환 l 한나절 나는 향수에 부다끼었다 - 송지선
박용래 l 노을 지는 나루터에 눈물의 시인 살더라 - 정유미
신동엽 l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노용무

저자소개

양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라북도 순창에서 태어났다.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사, 문학석사,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모교의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북대학교에서 신문방송사주간, 역사관장, 평생교육원장, 인문대학장을 역임했다. 전국국공립대인문대학장협의회장, 국어문학회장, 한국언어문학회장을 역임했다. 캐나다 멕길대학교와 호주의 서호주대학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현재 고하최승범문학기념사업회 회장과 한국현대시인협회 부이사장, 『전북문학』 발행인의 일을 하고 있다. 시집으로 『그러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하늘 한번 맑게 반짝이더라』, 『구봉서와 배삼룡』, 『시간의 공터』, 『스테파네트 아가씨』, 『사소한 연애의 추억』이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현대시의 인지시학적 이해』, 『현대시와 인지시학』, 『시와 인지』, 『인지시학의 실제비평』, 『인지문체론』, 『몽상과 유랑의 시학』, 『시여 연애를 하자』, 『거울언어와 별빛사색』, 『시의 고독과 절망』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승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지용 시의 인지시학적 연구」, 「백석과 윤동주 시의 ‘방’ 텍스처 고찰」 등 인지시학과 관련한 연구 논문을 썼다. 시집으로는 「눈의 허기」가 있으며, 「그리운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현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의 전담 교수이다.
펼치기
노용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라북도 군산 출생, 군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박사과정 졸업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박사후과정(post-doc) 월간 시문학 신인문학상 등단 월간 수필과비평 신인평론상 등단 현 전북대학교, 호원대학교 강사 [논문] 「김수영 시 연구」 「1950년대 모더니즘 시론 연구」 「친일시와 식민담론」 「현대시의 문학적 체험과 알레고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군산지역 형상화의 의미」 「전북 지역 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 현대시와 속도」 외 다수 [저서]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탈식민주의 시선으로 김수영 읽기> <시똥구리> <시인의 길 찾기와 그 여로 읽기> <한국 현대문학과 탈식민성:동고와 시선들>(공저) <허준-자기 성찰과 타자의 윤리학>(공저) <그리운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 외 다수
펼치기
송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현재 전북대 국문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아리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현재 전북대 국문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펼치기
시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현재 전북대 국문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펼치기
이강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소월 시에서의 사랑의 구현 원리: 사후적 시간에서 주체의 위치를 통하여」 등의 논문과 「부단한 시적 실험의 도정과 무의미시: 「김춘수」(공저), 「추억의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 등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정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현재 전북대 국문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펼치기
박지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현대문학 전공으로 전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음. 주요 논저로는 「은유를 활용한 대학생의 성찰적 글쓰기 방안 제언」(2024), 「은유를 활용한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효과와 의의」(공저, 2024), 『인문계 글쓰기』(공저, 2024), 『사랑의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 2012), 『추억의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 2010),『그리운 시, 여행에서 만나다』(공저, 2006) 등이 있음.
펼치기
신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현재 전북대 국문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내 성은 오씨. 어째서 오가인지 나는 모른다. 가급적으로 알리워주는 것은 해주로 이사온 일청인이 조상이라는 가계보의 검은 먹글씨. 옛날은 대국숭배를 유ㅡ 심히는 하고 싶어서, 우리 할아버니는 진실 이가였는지 상놈이었는지 알 수도 없다. 똑똑한 사람들은 항상 가계보를 창작하였고 매매하였다. 나는 역사를, 내 성을 믿지않어도 좋다. 해변가로 밀려온 소라 속처럼 나도 껍데기가 무척은 무거웁고나, 수퉁하고나, 이기적인, 너무나 이기적인 애욕을 잊을랴면은 나는 성씨보가 필요치 않다. 성씨보와 같은 습관이 필요치 않다. - '성씨보'

오장환의 슬픔은 그가 서출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이 태생적 슬픔이 그의 인생 행로를 결정지었을 뿐 아니라 시의 경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신분 때문에 겪었던 서러움은 '성씨보와 같은 습관', 낡은 전통을 파기하고 싶었다. 그런 제도로 인간의 신분이 구분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이 일었고, 평등 사회를 지향하는 진보사상에 관심이 기울었을 것이다. '가계보의 검은 먹글씨' 때문에 음지에 앉아 있는 소년 오장환의 모습이 보인다. 억압할수록 주눅 들지 않고 질풍처럼 일어설 때를 기다리는 게 시인이다. 그는 '나는 내 역사를, 내 성을 믿지 않아도 좋다.'는 선언으로 전통을 거부해 버린다.

... 늙으신 어머니가 홀로 계시지만 성씨보가 족쇄가 되는 고향을 떠난다. 소년 오장환은 내가 차를 타고 헐떡거리며 올라온 멀고 먼 산길을 고개를 숙인 채 터벅터벅 내려갔을 것이다. 슬픔에 찌든 어머님의 얼굴에 주저앉게 될까봐 두려워서 뒤도 보지 못하고, 때론 그 사람의 앞모습보다 뒷모습이 그의 실체와 진실에 더 가까울 때가 있다. 단 한 번 돌아보지 못하는 자식의 등이 한스러워 어머니는 온몸으로 펑펑 울었을 것이다. 그날, 고향을 등지고 내려간 굽이굽이 산길은 굴곡 많은 그의 인생길을 예시했다.

- 본문 186~187쪽, '오장환 : 한나절 나는 향수에 부다끼었다 / 송지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