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동물 일반
· ISBN : 9788978894692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1-07-19
책 소개
목차
경이로운 달팽이의 세계
1. 달팽이는 어떤 생물일까?
달팽이를 어떻게 분류할까/ 달팽이는 언제 지구상에 나타났을까/ 달팽이는 어디에 살고 있을까/ 달팽이는 어떻게 생겼을까/ 똬리를 감으며 자라는 달팽이 껍데기/ 달팽이 껍데기의 뒤틀림과 꼬임 현상/ 오른쪽으로 감기는 달팽이의 껍데기/ 달팽이의 보호색, 색대/ 껍데기 없는 달팽이, 민달팽이/ 달팽이가 지나간 자리에 남는 것은/ 점액의 다양한 역할/ 더듬이 끝에 달린 달팽이의 눈/ 달팽이의 감각기관, 더듬이와 평형포/ 달팽이는 무엇을 먹을까/ 달팽이는 이빨로 먹이를 먹는다/ 달팽이의 숨쉬기/ 달팽이는 암수한몸이다/ ‘사랑의 화살’을 쏘는 달팽이의 짝짓기/ 복잡한 달팽이의 생식기/ 달팽이의 알 낳기/ 달팽이의 부화/ 겨울잠, 여름잠을 자는 달팽이/ 달팽이의 뚜껑/ 달팽이의 천적/ 신비한 달팽이들
2. 우리나라에는 어떤 달팽이가 살까?
1. 고리갈고둥목
깨알우렁이과
2. 고설목
산우렁이과/ 깨알달팽이과/ 번데기우렁이과
3. 총알고둥목
기수우렁이과/ 목주림고둥과
4. 유폐목
고랑딱개비과/ 대추귀고둥과/ 양귀비고둥과/
5. 병안목
뾰족쨈물우렁이과/ 반디고둥과/ 번데기고둥과/ 쇠평지달팽이과/ 입고랑고둥과/ 실주름달팽이과/ 이빨번데기고둥과/ 입술대고둥아재비과/ 왕달팽이과/ 대고둥과/ 입술대고둥과/ 평탑달팽이과/ 납작평탑달팽이과/ 주름번데기과/ 나사호박달팽이과/ 밤달팽이과/ 호박달팽이과/ 달팽이과/ 외줄달팽이과/ 뾰족민달팽이과/ 민달팽이과
3. 달팽이는 사람과 어떻게 함께 살아갈까?
‘달팽이’라는 이름의 유래/ 일류 요리의 재료, 달팽이/ 기생충을 옮기는 달팽이/ 달팽이 채집하기/ 달팽이 기르기와 반려 달팽이/ 보호해야 할 특산종 달팽이/ 달팽이와 사람
| 부록 | 우리나라 달팽이 목록
리뷰
책속에서
대부분의 달팽이는 보존이 잘된 활엽수림에서 산다. 이런 곳은 햇빛이 잘 들지 않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썩은 고목과 낙엽이 많아 달팽이들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 달팽이들이, 뱀이 있을 것처럼 음습한 곳을 좋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달팽이가 나이를 먹음에 따라 껍데기도 함께 성장한다. 껍데기가 여러 바퀴의 똬리를 틀다 보니, 바닥 쪽 정가운데에 옴폭 들어간 홈이 생기는데 이것이 배꼽(제공)이다. 자라면서 배꼽이 막히는 경우도 있지만, 어떤 종은 뒤집어 보면 꼭지까지 쑥 들어가 있는 것도 있다. 대표적으로 배꼽달팽이 무리를 들 수 있으며, 이 배꼽의 깊이와 넓이는 이들을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된다.
달팽이의 껍데기는 몸 안의 수분이 마르는 것을 막아주고 천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다른 동물에서는 보기 힘든 중요한 기관이다. 따라서 달팽이는 절대로 껍데기를 바꿀 수 없으며, 잠깐 동안이라도 껍데기를 벗어던지고 맨몸이 될 수 없다. 이렇게 중요한 껍데기지만 때에 따라서 몸을 숨기거나 이동하는 데 여간 성가신 것이 아니다. 그래서 껍데기를 과감히 벗어버리고 거꾸로 진화를 한 무리가 있으니, 이들이 바로 민달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