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79400854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08-12-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5
제1장 서론 15
제2장 석씨왕실 내 권력다툼과 고구려 관계의 개시 37
1. 조분왕~첨해왕대 고구려 관계의 개시 37
2. 석씨왕실 가계의 분지와 고구려 관계 51
1) 골정계?이매계의 정치적 갈등과 대고구려 인식의 차이 51
2) 골정계?구도계 김씨세력의 연합과 미추왕의 즉위 66
제3장 김씨왕실의 개창과 고구려의 내정간섭 75
1. 나물왕대 고구려 관계의 재개 75
2. 실성왕의 즉위와 고구려의 군사적 지원 89
3. 고구려의 지지노선 변화와 눌지왕의 즉위 99
제4장 김씨왕실의 세습체제 구축과 고구려세력 축출 107
1. 눌지왕대 김씨왕실의 안정과 박씨세력과의 제휴 107
2. 왕경 주둔 고구려세력의 축출과정 117
3. 고구려세력 축출의 대외적 배경 135
제5장 자비왕~소지왕대 축성사업 추진과 고구려와의 각축 145
1. 자비왕~소지왕대 축성?교전지역의 양상과 그 특징 145
1) 자비왕대 대고구려 방어성 구축 145
2) 소지왕대 대고구려 공방전 전개 160
2. 소백산맥 이북으로의 고구려세력 축출과 대치 177
3. 고구려의 소지왕 암살미수와 신라왕실 내 정치변동 188
제6장 지증왕의 집권과 대고구려 방위체계 확립??205
1. 지증왕의 집권배경 205
2. 지증왕의 즉위과정과 지지세력 217
3. 대고구려 방위체계 확립과 삼국관계의 변화 227
1) 대고구려 축성사업과 동해안 방어망의 구축?227
2) 삼국관계의 변화와 그 배경?236
제7장 신라 상고기 대고구려 관계의 역사적 의미 243
1. 김씨왕실의 집권과 박씨세력의 부상 243
2. 통치체제 정비와 무관직?관부 창설의 촉발 257
3. 고구려 문물의 수용과 영향 269
제8장 결론??283
참고문헌 / 영문요약[Abstract] / 찾아보기 299
표?그림 목록
[표 1] 관구검의 침입에 대한 사서 간 차이 43
[표 2] 석씨왕실의 계보 53
[표 3] 신라 상고초기 閱兵과 국왕 즉위의 상관관계 57
[표 4] 3세기 중반~5세기 초반의 삼국관계 79
[표 5] 나물왕~지증왕대 왕실계보 98
[표 6] 5세기 전반~6세기 중반의 삼국관계 173
[표 7] 자비왕~소지왕대 축성?교전지역의 위치비정에 대한 연구동향 178
[표 8] 神宮의 설치시기와 主神에 대한 연구동향 256
[그림 1] 자비왕~지증왕대 축성.교전지역과 교통로 180
[그림 2] 의성군 관내도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