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동성애/성소수자
· ISBN : 978897966105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4-07-16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머리말
언어에 대한 설명
번역어 선택에 대해
1장 ‘아름다운 사랑’의 역사
2장 자본주의의 등장: 새로운 억압, 새로운 저항
3장 성 해방의 두 가지 전통: 독일과 러시아의 개혁과 혁명
4장 스톤월 항쟁과 새 운동의 탄생
5장 대처, 에이즈, 동성애자 자긍심 행진에 참여한 광원들
6장 지금 우리는: 이것이 최선일까?
7장 쟁취해야 할 세계
후주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o 동성애 억압의 역사
동성 간 사랑.욕망.관계와 젠더 다양성은 인류 자체만큼이나 오래됐다. 인류 역사 내내 전 세계 곳곳의 아주 다양한 사회와 문화 속에 존재해 왔다.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 그런 것들을 지칭하는 용어나 생각하는 방식은 고작 100년 남짓 된 것이다. '호모섹슈얼(동성애자)'이라는 용어는 1869년에 처음 만들어졌고 레즈비언, 바이섹슈얼(양성애자), 트랜스젠더, 헤테로섹슈얼(이성애자)이란 용어는 그 뒤에 나왔다. 그 전에는 사람들이 자신을 어떤 구분되는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그런 말로 이름 붙이지 않고도 동성 간에 성관계나 친밀한 관계를 즐겼다.
성소수자가 체계적으로 억압받았다는 증거도 찾기 힘들다. 꽤 근래에 들어서야 체계적 억압이 나타난다. 몇몇 사회에서는 특정 형태의 성행위를 금지하고 처벌했지만, 금지한 것은 행위였지 특정 범주의 사람들이 아니었다. … 당시 다양한 형태의 성행위에 대한 처벌은 오늘날 사회가 게이나 레즈비언, 양성애자처럼 별도의 인간형으로 구별해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박해하는 것과는 사뭇 달랐다.
o 자본주의, 가족제도, 동성애 억압
지배계급은 개혁이라는 당근과 아주 편협한 가족 형태를 강요하는 억압 조치를 함께 사용했다. 가족임금을 장려하면서 여러 공장법과 교육법도 잇달아 도입해 여성의 노동시간과 노동할 수 있는 산업을 제한하고 아동에 대한 국가교육을 13세까지로 확대했다. 당연히 많은 노동자들이 이런 조치들을 진보로 여겨 환영했다. 그러나 이 조치들은 또한 부르주아지가 노동자와 그 자녀를 재생산하고 양육하고 돌보는 부담을 주로 노동계급 가족, 그중에서도 여성에게 지우려는 것이었다.
사회 전체에 부르주아 가족을 장려한 결과 가족은 단지 가장 바람직한 삶 정도가 아니라 삶의 유일한 방식으로 굳어졌다. 그 과정에서 (아내, 어머니, 아동 같이) 가족에 매인 역할을 자연법칙에 따른 것으로 설명하려는 새로운 범주가 잇달아 생겨났다. 또 가족의 기능과 그에 따른 성 역할을 거스르는 사람들을 낙인 찍기 시작했다.
섹슈얼리티 제약은 도시가 성장하면서 사람들이 다양한 섹슈얼리티를 거리낌 없이 드러낼 기회가 늘어났기 때문에 특히 중요했다. 이런 행위를 엄격히 단속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일탈적 성행위'가 훨씬 더 체계적으로 공격받았고, 그중에서도 남성과 성관계를 맺는 남성과 성매매 여성 두 집단이 주된 표적이 됐다.
o 러시아 혁명과 독일 혁명이 보여 준 희망과 좌절
러시아와 독일에서 성 해방 투쟁의 승리는 급진 좌파와 더 광범한 노동계급 운동의 운명과 떼려야 뗄 수 없게 묶여 있었다. 노동계급 운동이 러시아에서 권력을 잡으면서 절정에 달했을 때, 성 해방을 향한 진보도 정점에 달했다. …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탄생한 신생 노동자 정부의 첫 조치 가운데 하나는 동성애 비범죄화였다. 이것은 사람들의 삶을 낡은 법률과 미신의 압제에서 해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또 혁명정부는 결혼을 간편한 등록 절차로 바꾸고 한쪽의 요청에 따른 이혼을 허가했으며, 동의연령을 성적 성숙이라는 개념으로 대체하고 사생아에 대한 법률적 차별을 철폐했다. 1920년에는 낙태도 합법화했다. … 보육 시설과 공동 식당을 세워 여성을 고된 가사에서 해방했다. 성매매를 비범죄화하고 협동조합을 조직해 성매매를 하던 여성들에게 집과 의료 혜택, 직업훈련, 다른 일자리를 제공했다. … 혁명 전에 남몰래 결혼한 두 여성은 결혼을 인정받았는데, 영국에서 시민동반자제도가 도입되기 88년 전이었다. …
1918년 11월 9일 마침내 베를린에서 수병, 병사, 노동자가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황제는 도망쳤고 전쟁이 끝났으며 보통선거에 기초한 공화국이 선포됐다. 독일 전역에서 노동자평의회와 병사평의회가 생겨났다. … 동성애 하위문화가 그 어느 때보다 공공연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세계 곳곳에서 동성애자를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이 베를린의 급진적 분위기에 매료돼 몰려들었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다음과 같이 썼다. "화장한 젊은 남성들이 쿠담 거리를 따라 거닐었다. … 어둑한 술집에서는 정부 관리들과 금융인들이 술에 취한 수병들에게 아무 거리낌 없이 다정하게 구애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그러나 노동계급 운동이 스탈린과 히틀러에게 짓밟히자 동성애자 권리 운동이 쟁취했던 놀라운 성과도 모두 재앙적 결과를 맞았다. 이런 패배를 겪으며 수백만 명이 살해당했고 그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은 더는 혁명을 억압받는 사람들의 축제로 기억하지 않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