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근현대사
· ISBN : 9788979660531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08-04-2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감사의 말
머리말
01 영국 혁명:싹트는 꿈
02 프랑스 혁명
03 파리코뮌의 여성
04 남북전쟁 이후의 미국 여성운동
05 독일 혁명과 사회주의 여성운동
06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와 여성 노동자
07 산업혁명 이후의 영국 여성운동
08 프랑스의 슬픈 이야기
09 러시아 혁명과 반혁명
10 미국 현대 여성해방운동:실패한 성공
11 영국 현대 여성운동
12 여성운동의 계급적 뿌리
13 가족의 존속
14 가족은 무정한 세상의 안식처인가?
15 사회주의와 여성해방을 위한 투쟁
후주
찾아보기
단체 약어
리뷰
책속에서
야로슬라프 공장의 1895년 ‘4월 폭동’은 여성 직조공들의 도움과 영향을 받아 일어났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여성 노동자들은 1894~1896년에 산발적으로 벌어진 경제 파업에서 동지들을 저버리지 않았다. 그리고 1896년 여름, 방직 노동자들의 역사적 파업이 일어났을 때 여성 노동자들은 남성들과 혼연일체가 돼 파업에 동참했다.
천대받고 소심하며 권리를 갖지 못했던 프롤레타리아 여성들은 투쟁과 파업의 순간에 갑자기 성장해 주체로서 우뚝 서는 법을 배운다. 노동운동에 참가함으로써 여성 노동자는 노동력 판매자로서뿐 아니라 여성·아내·어머니·주부로서 자신의 해방을 향해 나아가게 된다. - p.156 중에서
영국 혁명 당시 한 집단이 일부일처제에 반대했는데, 랜터파가 바로 그들이었다. 지도자들 가운데 한 명인 존 로빈스는 “제자들에게 아내와 남편을 바꿀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고 ‘모범을 보이기 위해’ 본인의 아내를 바꾸었다.” 로렌스 클라크슨은 이것을 완전한 성의 자유에 대한 이론으로 정립했고, 곧이어 아비에셀 코프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일부일처제 자체를 공격하면서 “진절머리 나는 가족의 의무를 버리시오” 하고 썼다. 클라크슨에게 간통은 기도와 다를 바 없었는데, 왜냐하면 둘 다 인간의 내면적 접근에 의존하기 때문이었다. “순수한 사람들에게는 모든 것이, 실로 간통을 포함한 모든 것이 순수하다”고 강조했다. - p.2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