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7966050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7-07-23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감사의 말
머리말
PART 1 변화하는 가족
01 자본주의와 가족
02 오늘날의 가족
03 가족 이론
PART 2 여성과 노동
04 성별 분업
05 여성과 산업예비군
06 여성과 노동조합
PART 3 해방을 위한 투쟁
07 여성, 노동당, 선거권
08 1960년대 후반의 여성운동
09 여성운동의 쇠퇴
10 좌파와 여성운동
11 여성해방을 위한 계급투쟁
후주
찾아보기
단체·기구 약어
책속에서
회들에서 두 성 사이의 초기 분업이 존재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러한 분업은 사회에서 한 가지 종류의 노동이 다른 것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갖는 것에 기초를 두지 않았다. 따라서 거기에는 여성 억압의 물적 토대가 존재하지 않았다. 실제로 다양한 여러 사회들에서 여성의 지위가 매우 높았다는 증거가 있다. 엥겔스, 그리고 마르크스의 주장은 비교적 간명했다. 여성 억압이 없는 사회들이 존재했고, 여성 억압의 발전은 계급사회의 등장·존속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계급사회를 끝장낼 때만 여성 억압을 과거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p333-335 중에서
가족임금 요구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생겨났고, 동시에 노동계급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킬 수단으로 여겨졌다. 가족임금은 결코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배신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러나 노동계급 가족의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가족임금은 매우 불충분하고 시대를 역행하는 방법이었다. 그것은 여성이 생계를 위해 남성에게 의존해야 하고, 여성보다 남성에게 일할 권리가 더 많다는 것을 함축했다. 따라서 여성에게 가족임금제는 일보후퇴였다. 보호 입법과 마찬가지로 가족임금은 여성이 있어야 할 곳은 가정이라는 이데올로기를 강화했다.-p65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