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팔레스타인의 저항

팔레스타인의 저항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에 맞서 해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필립 마플릿 (지은이), 이정구 (옮긴이)
책갈피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팔레스타인의 저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팔레스타인의 저항 (이스라엘과 제국주의에 맞서 해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79662085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07-26

책 소개

이스라엘의 본질을 그 기원부터 파헤치며 이스라엘을 후원한 주요 서방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를 살핀다.

목차

한눈에 보는 서방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억압 역사
들어가며

1장 인티파다

철권 통치 | 이스라엘의 '반투스탄' | 점령 세대 | 자유를 위한 파업 | 시험대에 오른 이스라엘 | 인티파다와 '소국가'

2장 제국주의 커넥션

시온주의와 제국주의 | 바이츠만의 전략 | 식민지화 과정 | 이간질로 각개격파 | 반란 | 이슈브의 강화

3장 이스라엘 국가를 향하여

4장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

저항의 정치학 | 총파업 | 계속되는 반란 | 지도력의 문제 | 재앙을 향해

5장 1948년 이후 이스라엘과 미국

이스라엘과 냉전 | 민족주의에 맞선 방파제 | 끝내 '경비견'이 되다 | 석유와 전쟁 | 테헤란에서 텔아비브로 | 레바논 이후 | 동일한 이해관계

6장 팔레스타인인 디아스포라

새로운 부르주아지 | 파타 | 아랍의 좌파 | 급진 민족주의자들

7장 파타와 좌파

민족주의 투쟁 그리고 '불간섭' | '혁명적 폭력' | 급진적 비판자들 | 이중의 모순 | 검은 9월 | 재앙의 교훈

8장 영토 없는 국가

'소국가' | 레바논 전쟁 | 고립

9장 점령지

노동자 | 새로운 시장

10장 봉기

돌들의 혁명 | 봉기의 문제 | 이스라엘 노동자와 봉기 | 유령 국가 | 중요한 위치에 선 파타 | 다시 소국가로

11장 인티파다의 영향

석유 | '팔레스타인인을 본받자'

12장 '사이비 국가'

소국가 논쟁 | 인티파다와 소국가 | '권력 없는 국가' | 협상을 위한 협상

13장 팔레스타인과 아랍 혁명

스탈린주의의 유산 | 아랍의 노동계급 | 투쟁의 역사 | 새로운 전통 | 노동자 권력

2000년 인티파다
두 국가 방안 | 오슬로로 가는 길 | "여러분이 심은 모든 나무, 여러분이 지은 모든 집" | 물 전쟁 | 포위당한 팔레스타인 경제 | 인권과 안보 | 이길 때까지 협상한다?

고립의 종식? 팔레스타인과 2011년 아랍 혁명
'불간섭' 원칙 | 패배 | 신자유주의 팔레스타인 | '파이야드화' | 하마스 | 팔레스타인을 팝니다 | 혁명

후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필립 마플릿 (지은이)    정보 더보기
50년 넘게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했다. 이집트와 영국의 대학에서 연구하며 중동의 대중투쟁에 관해 많은 글을 썼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자신과 관계 맺은 이집트 활동가들이 국가 탄압을 받을까 봐 우려해 필 마셜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지은 책으로는 《이집트: 각축장이 된 혁명Egypt ─ Contested Revolution》(2016) 등이 있고, 국내에 번역된 책으로는 《혁명이 계속되다: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 반란 2》(2011, 공저), 《이집트 혁명과 중동의 민중 반란》(2011, 공저)이 있다. 편집에 참여한 책으로는《이집트: 변화의 순간 Egypt ─ The Moment of Change》(2009) 등이 있다. 현재는 혁명적 좌파 계간지 《인터내셔널 소셜리즘》의 편집위원이며 영국 이스트런던대학교의 사회과학 명예교수다.
펼치기
이정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객원 연구원이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중국 경제와 현대사를 전공해 경상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론지 《마르크스21》의 편집자였다. 《근현대 중국의 지식인들》(공저, 2022), 《MMT 논쟁》(공저, 2021), 《세계화와 한국의 축적체제 변화》(공저, 2015), 《왜 우리는 더 불평등해지는가》(공저, 2014), 《사회운동가들과 함께 세상읽기》(공저, 2002), 《State Capitalism and Development in East Asia Since 1945: Historical Materialism 282》(공저, 2023) 등을 썼고, 《팔레스타인의 저항》(2021), 《강탈국가 이스라엘》(2018), 《좀비 자본주의》(공역, 2012), 《중국경제: 시장으로의 이행과 성장》(공역, 2010), 《부르주아 경제학의 위기》(2010) 등을 번역했고,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국제 관계에 대하여》(2020), 《알렉스 캘리니코스 시사논평》(2021) 등을 편집했다. 블로그 blog.naver.com/as6987as 페이스북 facebook.com/jeongkoo.lee.1
펼치기

책속에서

2011년 이집트 혁명이 가능성을 보여 주다
2011년에 이집트의 대중운동이 무바라크를 제거했다. 대다수 팔레스타인인이 기뻐했고, 미움받던 독재자가 대중적 항의로 몰락한 것(여기서 대중 파업이 결정적 구실을 했다)을 축하했다. … 팔레스타인 운동은 결정적 국면에 처했다. 중동에 단단히 뿌리내린 권력 구조에 맞서는 운동에 의해 고립에서 벗어날 기회를 맞았다. “운명을 같이한다는 의식”이 튀니지와 이집트의 거리와 작업장에 있는 사람들과 팔레스타인인들을 단결시켰다. … 결정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은 이집트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수많은 시위에서 팔레스타인을 위한 조처를 취하라는 요구가 나왔다. 시위대는 무바라크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은 최고군사위원회SCAF에게 이스라엘과의 조약과 무역협정을 파기하고 가자 지구 쪽 국경을 개방하라고 요구했다. 2011년 9월 대규모 군중이 카이로 주재 이스라엘 대사관을 습격했고, 이스라엘은 대사관 직원들을 대피시켜야 했다.


영국의 식민 지배와 시온주의에 도전한, 뿌리 깊은 저항의 역사
1936년 ‘총파업’(식민지 당국에 맞선 대규모 민족 동원) 계획은 그 직전에 7주 동안 시리아에서 벌어진 대중투쟁이 프랑스에게 양보를 강제한 것과 이집트에서 와프드당이 거둔 비슷한 성공에 자극받은 것이었다. 야파와 나블루스의 젊은 활동가들이 총파업 계획을 받아들여 파업을 호소하자 곧 팔레스타인의 거의 모든 도시가 호응했다. 그리고 전국에서 ‘민족위원회’가 꾸려져 투쟁을 조율했다. … 노동조합, 무슬림 단체와 기독교 단체, 여성위원회, 보이스카웃 단체와 온갖 종류의 문화 단체들이 민족위원회 산하에서 투쟁을 조직했다. 이들은 함께 모여 시민 불복종, 납세 거부, 자치 정부 활동 중단 등의 강령에 합의했다. 아랍인 기업 대부분과 아랍인이 운영하는 거의 모든 운송 수단이 멈췄다. … 투쟁에 참여한 대중은 자신의 운동이 아랍인 지주계급의 부패와 위선에도 도전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1987년 항쟁(1차 인티파다)의 전진
1988년 2월이 되면서 젊은 활동가들은 운동을 고무하는 데 성공했고, 운동은 점령지 주민을 모두 끌어들일 만큼 성장했다. 투쟁의 무기는 (영국의 식민 지배와 시온주의 운동에 맞서 거대한 파업이 벌어진 1936년 이래로) 팔레스타인인들이 본 적 없는 것, 즉 파업이었다. 정해진 날에 가자와 서안의 노동자들 대부분이 출근하지 않았다. 새로 등장한 산업 노동계급은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음을 보여 줬다. … 점령지에서 팔레스타인해방기구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깨끗이 제거했다고 믿었던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이제 민족주의 운동이 대규모로 부활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불매운동의 일환으로, 또 통행금지령과 이스라엘의 봉쇄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이 살아남을 방안으로 팔레스타인의 자급자족 캠페인이 점령지 전역을 휩쓸었다 … 점령지 주민들이 점령군에 맞서 떨쳐 일어섰다. 1988년 중반에는 서안의 아주 외진 마을에서까지도 운동이 벌어졌고 도처에서 팔레스타인 젊은이들이 이스라엘 군대와 잇달아 충돌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966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