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주의/공산주의
· ISBN : 9788979662221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2장 후기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3장 러시아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4장 소련 제국주의와 트로츠키주의의 위기
5장 소련에 관한 토니 클리프의 분석
6장 연속혁명
7장 임금노동
8장 경제 위기
후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카를 마르크스는 현대 경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한 자신의 역작에 ‘자본’이라는 간명한 제목을 붙였다. 그런데 자본이란 무엇인가?
자본주의와 사유재산
널리 개인들이 사적으로 소유하던 생산수단이 소수의 손으로 집중됐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자본주의적 사유재산이 확립되자마자 체제의 동역학이 그것마저 허물어뜨리기 시작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경쟁과 특히 주기적 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일부 기업은 파산해 다른 기업에 잡아먹힌다. 그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극소수에게 자본이 집중된다. 또한 어느 시점에 이르면 경쟁에 필요한 자본 규모가 너무 커져서 자본가들이 주식회사의 형태로 자본을 합치게 된다. 마르크스는 이렇게 되면 사적 자본이 아니라 “사회적 자본”이 우세해지고 “실제 기능하는 자본가는 단순 관리자로 변모한다”고 했다.
후기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당초 국민국가의 경계 속에서 나타났던 자본주의적 경쟁과 교환의 전형적 양상들이, 국가와 긴밀히 연계된 일사불란하고 집중화된 독점 구조로 대체된다. … 경쟁은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어서, 종래의 시장 경쟁 이외에도 자원과 영토, 노동력을 차지하기 위한 대결이 벌어진다. 또 최후 수단으로 군사력이 동원되기도 한다. … 레닌과 부하린이 이미 20세기 초에 주목했던 특징, 곧 제국주의적 이해관계를 수호·확장하기 위해 국가와 산업이 융합·발전하는 경향, 즉 ‘국가자본주의’로 가는 경향은 전후 시대에 모종의 영속성을 띠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