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현대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9660951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2-11-05
책 소개
목차
1장 마르크스주의는 여전히 유효한가?
2장 왜 혁명정당이 필요한가?
3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중요성
4장 '세계화'의 신화와 현실
5장 스탈린주의 체제 - 국가자본주의
6장 마오쩌둥,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민족해방운동
7장 차별과 마르크스주의
8장 반파시즘 투쟁
9장 1968년 5월의 중요한 교훈
10장 러시아 혁명
11장 자본주의와 군국주의
12장 민주주의 혁명인가 사회주의 혁명인가
13장 마르크스주의와 민주주의
14장 세계혁명은 가능한가
15장 새천년 - 희망과 절망의 갈림길에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o 자본주의의 모순
자본주의에서는 거대한 역동성과 생산성이 무계획성과 공존하기 때문에 풍요 속의 빈곤이라는 기현상이 나타난다.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식량이 모자라서 배를 곯았다. 자본주의는 식량이 너무 많아서 사람들이 굶주리는 유일한 사회체제다. 미국에서는 곡물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남아도는 곡물을 바다에 버릴 수 있도록 밑바닥이 열리는 특수 선박을 제조한다. …
터키 국민 1인당 아스피린은 0.5알인 반면 수류탄은 세 개나 된다. 1만 명당 보건소는 하나밖에 없는 반면 탱크는 두 대나 있다. …
오늘날 자본주의 생산관계가 생산력이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수억 명의 사람들이 집을 마련할 수 없어서 고생하는 판에 수십만에서 수백만 명의 건설 노동자들은 실업으로 고생하고 있는 현실이 이를 증명한다.
o 정치조직은 사회변혁에 걸림돌인가?
부르주아지의 혁명정당은 혁명 와중에 등장할 수 있었다. 그들은 자신감이 충만했기 때문에 미리부터 준비할 필요가 없었다. … 우리는 완전히 다른 상황에 처해 있다. 우리는 사회를 운영해 본 경험이 없는 피억압 계급에 속해 있는데, 그것은 물질적 생산수단뿐 아니라 정신적 생산수단까지 자본가들이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 우리 개개인은 하찮은 경험을 갖고 있을 뿐이다. 우리는 경험을 일반화해야 하고, 그렇게 하려면 경험을 일반화하는 조직이 필요하다. … 그래서 트로츠키는 혁명정당을 노동계급의 기억이라고 말했다.
o 러시아는 사회주의였는가?
러시아에서 여러 차례 시행된 5개년계획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 아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 철강 생산 목표는 1차 계획에서 1040만 톤, … 5차 계획에서 4420만 톤이었다. 그래프가 급상승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전력, 석탄, 선철 등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소비재의 경우에는 정반대의 그림이 나온다. 면제품을 예로 들면, 1차 계획의 생산 목표는 470만 미터, … 4차 계획은 470만 미터였다. 즉 20년 동안 목표량이 전혀 증가하지 않았다. 모직물의 경우는 훨씬 더 형편없다. … 20여 년 동안 생산 목표가 거의 40퍼센트 감소한 것이다.
러시아는 스푸트니크 위성은 잘 만들면서 신발은 제대로 만들지 못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