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민연금의 부분민영화방안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80314249
· 쪽수 : 174쪽
· 출판일 : 2007-06-12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80314249
· 쪽수 : 174쪽
· 출판일 : 2007-06-12
책 소개
보고서는 지난 7월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민연금개혁안을 포함해 지금까지의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 과정이 부분적이고 제한적이었음을 지적하고 근본적인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와 금융시장중립성 제고를 위해 개인계정제도의 부분 도입과 이를 통한 분권적 자산운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국민연금제도의 주요 정책과제
1. 국민연금제도의 기본적 성격
2. 주요 정책과제
Ⅲ. 세계 공적연금 개혁 동향과 확정기여방식 연금개혁 사례
1. 세계 공적연금 개혁의 최근 동향과 공적연금제도의 개괄
2. 칠레
3. 스웨덴-수익연금제도(Premium Pension System)
4. 미국-부시 사회보장개혁안의 개인계정제도
Ⅳ. 개인계정 및 분권적 자산운용 허용의 국민연금 개혁방안
1. 국민연금 개혁모형의 기본구조
2. 개인계정을 통한 분권적 자산운용 방안
3. 제도 전환 시 고려사항
Ⅴ. 확정기여형 개인계정제도 도입 및 분권적 자산운용 허용의 기대효과
1. 시장중립적 포트폴리오에 의한 효율성 개선
2. 자산운용권의 개인 환수를 통한 개인 및 사회적 후생 증가
3. 확정기여형 개인계정 부분 도입을 통한 국민연금재정 안정성 및 장기 연금수익성 제고
4. 기여-급여 간 연계 강화를 통한 형평성 제고 및 노동시장 왜곡 감소
Ⅵ. 요약 및 결론
1. 요약 및 제한점
2.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