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영유아 육아 > 0~3세 육아
· ISBN : 9788981103231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4-11-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아이들에게 행복을 가르쳐라
Part1. 부모가 행복하지 않은데, 아이가 행복할 수 있을까?
부모의 불행한 감정은 아이에게 더 빨리 전염된다
미래의 행복이라는 말로 현재의 행복을 옭아매는가
행복한 아이가 사회에서도 성공한다
내 아이의 행복지수 테스트
Part2. 긍정적인 아이가 평생 행복하다
아이의 정서가 아이의 인생을 바꾼다
긍정적인 아이가 창의력도 좋다
아이가 즐겨 쓰는 단어 속에 숨은 정서가 있다
아이의 정서는 0~3세 때 결정된다
무조건적인 칭찬이 아이를 망친다
진짜 웃음 가짜 웃음
감사일기를 써라
좋은 하루 보내기 노트 쓰기
용서하는 법을 익힌 아이가 평생 행복하다
몰입은 심리적 성장이다
오감을 열고 오직 그것을 음미하라
꿈이 자라면 자신감도 자란다
Part3. 대표강점을 찾은 아이가 행복하다
약점보다 강점이 더 중요하다
강점을 발견하면 잠재력이 발휘된다
성격강점을 찾은 아이가 행복하다
아이의 대표강점을 찾는 방법
대표강점을 아는 아이는 다르다
아이의 대표강점을 키우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강점을 키우는 방법을 강점마다 다르다
유아기 아이들의 강점 찾기 및 키우기
대표강점을 발휘해 빌 클린턴 대통령을 초청하다
Part4. 낙관적인 아이에게 큰 행복이 온다
낙관적인 아이는 긍정의 말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행동한다
낙관적인 아이는 우울증에 빠지지 않는다
(story)내 아이는 우울한가?
성취는 낙관성에 의해 좌우된다
낙관적인 아이 vs 비관적인 아이
낙관성 테스트
부모의 비관적 잔소리가 아이를 비관적으로 만든다
비관적인 아이도 낙관적으로 변하는 마법의 ABC
비관적인 아이들은 항상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한다
왜곡된 믿음을 반박하는 기술
Part5. 트라우마를 이겨 낸 아이가 행복하게 자랄 수 있다
회복력이 외상 후 성장을 돕는다
역경을 극복하는 회복력을 키워라
재능보다 노력,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해라
실패에 대한 걱정보다 흥미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감정 코칭으로 아이의 정서 능력을 높여라
자기 통제력이 잘 자라야 아이도 잘 자란다
권위적 양육 방식을 선택하라
부모가 먼저 자기감정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story)7가지 회복력 기술
Part6. 아이의 사소한 도전도 응원하자
성공보다 성취를 이야기해라
성취는 또 다른 성취를 낳는다
노력, 자제력, 집념과의 싸움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라
버킷리스트를 작성해라
Part7. 관계를 잘 맺는 아이가 성공한다
행복한 성공에는 행복한 관계가 있다
상대에게 긍정적 환상을 품어라
공감 능력은 관계를 푸는 원동력이다
긍정적 소통은 긍정관계로 이어진다
적극적이고 건설적으로 반응하라
좋은 관계를 맺으려면 시간을 선물하라
Part8. 자존감 있는 아이가 행복을 만끽한다
자존감은 행복을 만드는 가장 큰 중심이다
아이의 행복을 부르는 열쇠, 자존감
자신의 노력을 믿게 하라
(story)미국 엄마 VS 중국 엄마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에필로그_부모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비관적인 아이와 낙관적인 아이의 두드러진 차이는 실패의 원인을 전부로 보느냐 아니면 일부로 보느냐의 차이이다. 비관적인 아이는 실패의 원인을 전체로 확대해 해석하고 낙관적인 아이는 일부 이유만을 실패의 원인으로 생각한다. (227쪽)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자신의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믿는 성장 마인드이다. 성장 마인드를 갖는 것은 회복력을 키우는 출발점이다. 물론 '너는 음악에 소질이 있구나!'와 같은 칭찬도 아이들에게 동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소질이 있더라도 노력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이야기해 줄 필요가 있다. (301쪽)
무엇을 하든 끝까지 하지 못하고 중도 포기하는 아이들이 많다. 그런 아이를 둔 부모라면 마음이 편치 않을 것이다. 성취를 경험해 보지 않은 아이일수록 포기를 잘한다. 성취했을 때의 기쁨과 행복을 모르기 때문에 쉽게 포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아이들도 제대로 성취를 경험하면 달라진다. 따라서 아이가 한 번이라도 성취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344쪽)
부모들이 아이들과 소통할 때도 마찬가지다. 아이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부모들의 소통법을 보면 대부분 일방통행이다. 말로는 아이 말에 귀 기울이고 아이의 생각을 존중한다고 하면서도 정작 부모가 하고 싶은 이야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소통법으로는 아이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긍정적 소통을 하는 방법에는 원칙이 있다. 우선 부모가 원칙을 염두에 두고 아이와 긍정적 소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380쪽)
부모가 행복하지 않으면 아이도 행복할 수 없으며 아이가 행복하지 않으면 부모 또한 행복할 수 없다. 행복도 전염성이 강하지만, 불행한 감정이나 우울한 감정 또한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부모에게 절대적으로 의지하는 어린아이들은 부모의 감정 상태를 고스란히 느끼고 부모에게 동화되기 때문에, 부모의 불행은 곧 아이의 불행으로 이어진다. (21쪽)
최근 부모나 교사 모두 아이들의 자존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존감을 키워 주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인다. 문제는 대부분의 자존감 교육이 비과학적이고 일시적인 감정에 의한 것이어서 아이들의 자존감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존감을 낮추어 우울증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4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