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88981631062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03-11-14
책 소개
목차
1. 책을 내면서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2. 우선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부터 말하겠습니다
우리 근현대사를 전공한 지 50년이 넘었습니다만
이 책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대체로 이런 것입니다
3. 새삼스럽지만 왜 통일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봅시다
같은 민족이니까 통일해야 한다 합니다만
분단비용이 많이 들어 통일해야 한다 합니다만
평화롭고 떳떳하게 그리고 인간답게 살기 위해 통일해야 합니다
4. 통일문제를 풀려면 분단원인을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38도선이 그어진 배경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38도선이 그어진 이상 분단될 수밖에 없었을까요
통일 민족국가 수립의 길은 정말 없었을까요
5. 우리 땅은 전쟁통일이 불가능한 곳입니다
6.25전쟁이 전쟁통일이 불가능을 가르쳐주었습니다
6.25전쟁으로 평화통일론은 질식당했습니다만
6. 평화통일론이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4.19 민중운동으로 통일방법론이 크게 변했습니다
남북의 정부 차원에서 평화통일론이 일단 정착해 갔습니다
7. 우리 땅에서는 흡수통일도 불가능했습니다
1980년대 이후 연합제와 연방제가 대립했습니다
우리 땅에서는 흡수통일도 안 되었습니다
남북 평화공존이 일단 합의되었습니다만
8. 역사적인 6.15 공동선언이 발표되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은 어떻게 해서 성사되었을까요
백화원초대소 현장에서 '협상통일'을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6.15 공동선언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9. 연합제와 연방제가 합치될 수 있을까요
연합제와 연방제를 어떻게 하나로 해갈 수 있을까요
21세기 통일방안도 연합제나 연방제여야 할까요
10. 4강의 틈바구니에서 어떻게 통일할 수 있을까요
우리 땅의 중립화론이 나온 지 오래되었습니다만
한미일 공조체제로도 통일될 수 있을까요
21세기 역사발전이 '협상통일'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11. 이제 이야기를 마무리하려 합니다
역사적 안목으로 우리의 통일문제를 봅시다
우리 모두 분단시대적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부록
7.4 남북공동성명 / 고려민주련방공화국 창립방안 / 민족화합 민주통일방안 /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 / 6.15 남북공동선언
저자소개
책속에서
김대중 정부는 출범하면서부터 대북정책으로 이른바 햇볕정책 혹은 포용정책을 표방했습니다. 그러나 햇볕이니 포용이니 하면서도, 김대중 정권 성립 후 처음으로 남과 북이 자리를 마주한 베이징의 비료회담에서 드러난 것처럼, 이른바 상호주의가 아직 강하게 남아 있어서 남북문제는 쉽게 풀리지 않았습니다. (p.155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