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1690007
· 쪽수 : 371쪽
· 출판일 : 2025-09-02
책 소개
목차
5 … 서문
제1부 공예배 구성의 개혁주의적 변화에 주어진 목회적 과제
15 … 제1장 예배와 예식의 표준 제시를 위한 개혁주의적 이해, 원리, 그리고 실천 과제
51 … 제2장 예배의 통일성과 자율성: ‘성경적 예배’ 원리의 개혁주의적 수용과 실천을 위한 과제
82 … 제3장 예배의 단순성에 대한 개혁주의적 이해와 수용: 칼빈의 이해를 중심으로
111 … 제4장 성령과 공동예배의 기도: 개혁주의 예배 회복을 위한 제언
144 … 제5장 공예배 시작의 개혁주의적 의례 구성과 실천
176 … 제6장 공예배 기도 구성의 개혁주의적 이해와 실천: 칼빈의 제네바 공예 배 사역을 중심으로
제2부 예배와 예식을 위한 목회적 돌봄의 과제
211 … 제7장 디지털 기술 시대의 신앙 형성을 위한 예배와 예전적 과제
227 … 제8장 다음 세대를 위한 예배와 신앙: 가정 신앙형성의 예전적 고찰과 대응
253 … 제9장 다음 세대의 회복을 위한 예전적 제안: 개혁주의 가정예배
279 … 제10장 칼빈의 ‘제네바 세례예식서’(the Form for Administering Baptism, 1542)에 나타난 신앙과 삶의 형성
310 … 제11장 부활 주일 공예배 계획과 준비 그리고 실행을 위한 예전적 제안
327 … 제12장 개혁주의 목회적 돌봄과 의례의 관점에서 본 극단적 선택에 의한 죽음의 예식
353 … 이 책에 담긴 연구를 위해 선별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독교 예배 구성은 자신이 속한 전통과 신학에 따라 각각 다른 목회적 과제를 부여받습니다. 가톨릭, 정교회, 그리고 성공회의 경우,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에도 불구하고, 예배 구성과 관련해서는 정해진 ‘모범’에 따라 고정된 의례 실천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장로교를 포함한 대부분의 개신교회는 하나의 고정된 예배 의례를 획일적으로 답습하지 않습니다. 개신교의 경우 공예배는 하나님을 향한 경배의 표현 방식으로서 공동체마다 서로 다른 형태를 드러냅니다. 이처럼 하나의 고정된 예배 방식을 답습하지 않는 개신교 전통에서는 공예배의 자율성을 인정합니다. 역사적으로 개혁주의 전통은 공예배의 자율성을 인정해 왔습니다. 칼빈은 중세의 미사에서 개혁된 예배를 제시할 때, 개혁주의 전통에 있는 모든 공동체가 아니라, 스트라스부르그와 제네바의 교회를 위한 구체적인 의례 실천을 제시했습니다.”
서문 중에서
“개혁주의 예배 특징으로 주어지는 통일성과 자율성 사이의 유기적 변화는 예배 계획과 실행을 감당하는 예배 인도자들과 목회자들에게 책임과 기회를 제공합니다. 모든 공동체가 획일적으로 따라야 하는 공예배의 고정된 형태나 방식이 없는 경우, 예배 인도자와 목회자는 자신이 섬기는 공동체의 구체적인 상황과 특징을 반영하는 예배 구성을 위한 목회적 책임을 갖습니다. 이러한 공예배 구성의 자율적 실천은 문화 수용과 공동체의 상황에 부합한 창의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공예배 구성을 위한 책임과 기회 가운데 어느 쪽을 선호하거나 수용하더라도 분명한 원리와 방향이 있습니다. 곧, 공예배는 성경의 규율에 따라 공교회의 전통을 신학적으로 계승하고 예배자들의 상황에 가장 적실성 있는 실천이 되어야 합니다. 성경적으로 부합하고, 신학적으로 타당하며, 문화적으로 적실성 있게 공예배를 구성하는 것은 오늘날 개혁주의 목회자들에게 주어진 핵심 과제가 됩니다.”
서문 중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교리와 신앙고백뿐 아니라 예배의 실천을 통해서도 개혁주의 정체성을 제시해 왔다. 예배 실천에 신학을 반영하고 신앙고백과 실천의 일치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러한 신앙고백과 실천의 일치를 위한 개혁주의 전통의 노력은 기본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에 부합하고 초대교회의 실천에 따른 예배 예식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개혁주의 전통에 나타난 예배 예식의 구성과 실천은 시대와 상황마다 서로 다르다. 각각의 서로 다른 공동체에서 개혁주의 정체성을 제시하고 그에 부합한 예배 실천을 구축하기 위해서 하나의 고정된 방식을 요구하기보다는 일종의 표준을 제시해 왔다.”
예배와 예식의 표준 제시를 위한 개혁주의적 이해, 원리, 그리고 실천 과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