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88983494139
· 쪽수 : 247쪽
· 출판일 : 2007-08-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서론
1. 초기 개신교와 죄
2. 초기 개신교에 관한 선행 연구들
3. 종교적 변형
제2장 내한 선교사들의 성향과 죄 개념 인식
1. 19세기 미국 개신교의 상황과 해외선교
2. 내한 선교사들의 성향
3. 내한 선교사들의 선교활동과 죄 이해
제3장 초기 한국 개신교인들의 죄 개념 수용양상 : 개종
1. 개종과 죄 이해의 변화
2. 남성들의 죄 이해
3. 여성 개종자들의 경우
4. 개종의 논리와 죄 개념의 의미
제4장 의례적 실행과 죄 개념 : 부흥회
1. 다양한 의례들의 출현과 죄 이해
2. 죄 고백의 의례화와 그 의미
3. 한국적 죄 개념의 형성
제5장 개신교 죄 개념의 종교사적 함의
1. 전통적 죄 개념의 확대
2. 근대적 예절의 종교적 규범화
3. 종교와 세속 법과의 관계 : 죄 개념의 내면화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주요 항목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내한 선교사들은 대체로 신학적으로도 매우 보수적이었고 엄격했기 때문에 소위 "근대적인 관점"을 가진 선교사들이 한국의 선교사 공동체에 적응하기란 매우 힘든 상황이었다. 선교사들의 집단적인 종교적 특성은, 1889년 5월에 열린 북장로교 의료 선교사로 내한했던 파워에 대한 선교사 자격 심사에서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p51 중에서
1907년 평양 부흥회가 한창일 무렵 한 선교사는 자신의 교인들 중 부흥회에서 죄를 고백하는 자들을 출교시킬 것을 공표하기도 했다. 비단 선교사들뿐만 아니라 평야의 교회 지도자들 상당수도 부흥회의 개최에 반대했는데, 이들이 부흥회에 반대한 이유는 죄고백 행위의 진정성 문제 때문이었다.-p16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