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8405465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9-03-05
책 소개
목차
1장 도대체 ‘재무’를 어떻게 할까?
왜, 기업재무를 알아야 하나? /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는가?
PART 1: 재무목표 정하기
2장 이익은 과연 무엇인가?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 재무관리의 목적은? / 이익이란 무엇인가? / 현금흐름은 왜 중요한가?
3장 이익을 어떻게 창출하나?
이윤창출 과정의 출발점은? / 기업은 왜 주주가 필요한가? / 기업은 왜 돈을 빌릴까? / 기업은 왜 자산이 필요한가? / 판매는 왜 중요한가?
4장 재무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나?
주주의 성과 측정 방법 / 재무관리자의 성과 측정 방법 / 성과를 재는 다른 척도가 있나?
5장 어떤 숫자가 중요할까?
사업에 있어 네 가지 중요한 숫자란? / 네 가지 숫자는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나? / 이익창출의 전략
PART 2: 재무정보 이용하기
6장 재무제표는 왜 만드나?
재무제표의 역할은? / 대차대조표는 무엇을 말해주나? / 손익계산서는 무엇을 말해주나? / 현금흐름표는 무엇을 말해주나? / 회계부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7장 재무제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맨 처음 무엇부터 보아야 하나? / 재무제표가 의미하는 것 / 재무제표는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나?/ 재무제표를 어떻게 활용하나? / 조심해야 할 위험신호는 어떤 것들인가?
8장 언론의 재무정보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나?
기업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나? / 주가는 어떻게 결정되나? / 상장기업의 주가정보를 어떻게 해석하나? / 주가를 어떻게 관리하나? / 비공개기업의 주가는 어떻게 결정되나? / 개인기업은 어떻게 평가하나?
9장 기업운영 평가는 어떻게 하나?
주주가치란 무엇인가? / 기업이 주주가치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나? / 주주가치가 왜 중요할까? / 창출된 주주가치를 어떻게 측정하나?
PART 3: 재무 통제하기
10장 재무계획은 어떻게 세우나?
재무계획은 왜 세우나? / 예측과 예산의 차이점은? / 예산이 정확할 수 있을까? / 예산은 어떻게 세우나? / 예산 합의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11장 비용을 어떻게 관리하나?
무엇이 비용을 발생시키나? / 매출과 이익의 관계에서 비용이 미치는 영향은? / 가장 이상적인 비용구조가 있을까?
12장 매출을 어떻게 관리하나?
매출이 이익으로 연결되는가? / 매출계획을 빨리 세울 수 있는 방법은? / 매출계획이 달성 가능한지 어떻게 알 수 있나? / 다양한 매출전략의 비교평가 / 기업이 이익을 내지 못하는 이유는?
13장 이익을 어떻게 관리하나?
예산안을 보고 무엇을 알 수 있나? / 실제이익이 왜 계획과 달라지나? / 어떻게 조치를 취할까? /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하나? / 예산안을 어떻게 활용하나?
14장 현금흐름표에 대하여
현금관리란 무엇인가? / 현금관리와 이익관리의 관계는? / 현금관리를 어떻게 평가하나? / 이상적인 현금흐름이 있는가?
15장 현금흐름을 어떻게 관리하나?
현금흐름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들은? / 재고를 어떻게 관리하나? / 매출채권을 어떻게 관리하나? / 매입채무를 어떻게 관리하나? / 현금은 어느 정도 갖고 있어야 하나?
16장 장기 프로젝트에 대하여
장기 프로젝트란? / 장기 프로젝트를 주장하는 논리는? / 장기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어떻게 평가하나?
17장 장기 프로젝트의 판단방법
추진할 것인지 포기할 것인지를 어떻게 결정하나? / 투자수익률이란? / 현금 회수기간이란? / 순현가란? / 내부수익률이란?
PART 4: 지금까지 배운 것들
: 기업재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며, 관련 정보를 활용한 통제가 필요하다
18장 각 분야는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나?
어떻게 운영해야 이익을 낼 수 있나? / 후기
주요 공식 총정리
찾아보기
책속에서
회사가 매출은 많이 올리지만 이익을 내지 못한다면, 임직원들이 일은 열심히 하지만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때 다음과 같은 표현을 흔히 사용한다. 매출은 허영이고 이익은 실리다! - 55쪽 중에서
사업 내용이 그 어떤 것이든 우리는 ‘생존한다’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많은 사업이 시작한 지 1년 안에 문을 닫는다. 그 이유는 단지 품질이 떨어지거나 고객서비스가 불량해서가 아니다. 망하는 가장 흔한 이유가 바로 재무관리를 잘못하기 때문이다. 사업의 생존에는 두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사업 자체를 잘 운영하는 것과 사업의 재무를 건전하게 관리하는 것이다. 두 가지 중에 한 가지라도 잘못되면 사업은 오래 가지 못한다. - 24쪽 중에서
이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비용을 줄일 필요는 없다. 만약 매출이 늘어나고, 비용이 매출 증가만큼 늘어나지 않으면 매출액 대비 비용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회사의 인건비가 지난해보다 20% 증가했다고 가정하자. 만약 매출이 30% 증가했다면 매출액 대비 인건비는 떨어졌을 것이고 이익률은 상승했을 것이다. 사실 비용을 줄이는 방법은 최악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비용 축소로 매출이 줄어든다면 이익률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여기서 비용절감과 비용통제의 중요한 차이점이 나타난다.
* 비용절감은 비용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 비용통제는 매출액 대비 비용을 관리하는 것이다.
비용절감은 무식한 원시인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를 모른다. 그렇지만 비용통제는 훨씬 더 세련된 접근 방법이다. - 84~85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