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유 - 하

원유 - 하

웅십력 (지은이), 임헌규, 윤원현, 김학목, 류희성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390원
38,610원 >
39,000원 -0% 0원
0원
3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원유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유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8411452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0-01-25

책 소개

유학의 본원을 탐구하는 책이다. 이 책은 상·하 두 권으로 나뉜다. 상권은 「원학통」과 「원외왕」이고, 하권은 「원내성」이다. 「원학통」은 ‘유학 학통의 본원을 탐구’하고, 「원외왕」은 ‘밖으로 왕도의 본원을 탐구’하며, 「원내성」은 ‘안으로 성인됨의 본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_5
일러두기_7

제4장 원내성(原內聖: 내성의 본원을 탐구함)

4-1 『역』 「계사전?으로 본 내성학(內聖學) 15

4-2 중국철학의 두 가지 특징 20
4-2-1 천인불이(天人不二: 하늘과 사람이 둘이 아님)의 본체론_20
4-2-2 심물불이(心物不二: 마음과 사물이 둘이 아님)의 우주론_66

4-3 공자와 그 이전의 『역』: 술수와 철리(哲理: 철학적 이치) 110
4-3-1 한대(漢代) 『역』에 남아 있는 『역』의 옛 의미_112
4-3-2 공자가 창작한 『주역』: 복희 『역』을 근본으로 함_127

4-4 정신과 물질 및 본체와 작용에 대한 제가(諸家)의 이론 138
4-4-1 노자의 태허(太虛: 정신과 물질의 근원)와 혼천설_138
4-4-2 장자의 정신과 물질의 통일_148
4-4-3 혜시의 정신과 물질의 통일과 구분: 닭의 발이 세 개_151
4-4-4 장횡거와 왕선산의 본체와 작용_157
4-4-5 왕양명의 양지설과 격물_159
4-4-6 본체와 작용에 대한 철학과 과학의 입장_169

4-5 공자의 인생론 176
4-5-1 『논어』 「위정(爲政)? 「지학장(志學章)? 해석_176
4-5-2 『논어』 「위정(爲政)? 「지학장(志學章)?의 특징_184
4-5-3 50세 이전 시(詩)·서(書)·예(藝)·예(禮) 연구_193

4-6 공자의 우주론 241
4-6-1 『역』의 본체와 작용_243
4-6-2 천(天)의 작용을 본받은 복희의 『역』_248
4-6-3 건·곤괘 「단전(彖傳)?을 통해 본 공자의 본체와 작용_256
4-6-4 『주역건착도(周易乾鑿度)』의 기(氣)·형(形)·질(質) 삼시설(三始說)_270
4-6-5 건(乾)의 신령함_279
4-6-6 곤(坤)의 물질됨과 리(理)_292
4-6-7 유물주의 비판_300
4-6-8 정신과 찰나의 변화_323
4-6-9 미래를 예측하는 건(乾)의 정신과 과거를 간직하는 곤(坤)의 사물_339

4-7 결론: 『주역』의 체용관계? - 체용불이(體用不二: 체와 용은 둘이 아님)와 즉용식체(卽用識體: 용을 통해 체를 앎) 346

부록_361
『원유』 해제_453
『원유』 인명사전_465
색인_504

저자소개

웅십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호북성(湖北省) 황강현(黃岡縣) 사람으로 원래 이름은 계지(繼智)·승항(升恒)이고, 호는 자진(子眞)이며, 만년에는 자칭 칠원노인(漆園老人)이라고 하였다. 40세에 스스로 십력(十力)으로 개명했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남의 집 소를 키우는 일을 하며 부친의 서당에서 사서오경을 배웠다. 11세 때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큰형을 좇아 농사일을 하며 공부했고, 16세 이후에는 홀로 학문을 연마하며 진백사(陳白沙)·왕부지(王夫之)·고염무(顧炎武) 등의 책을 읽고, 혁명의 길로 나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과거시험 공부를 포기했다. 18세 때(1902년) 무창(武昌)에서 군대에 입대하여 1911년에 신해혁명에 참가했고, 이후에 손중산(孫中山)을 좇아서 원세개의 북양군벌(北洋軍閥)에 반대하는 호국(護國)·호법(護法) 전쟁에 참가했다. 그 후 34세(1918년)에 웅십력은 “당인들이 당권과 이익만을 다투니, 혁명은 결국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고 탄식하며, “진정한 혁명은 정치적 혁명이 아니라, 마음의 혁명에 있다.”는 점을 깨닫고 마침내 학문의 길로 나섰다. 1920년 가을 절친한 친구인 양수명(梁漱溟)의 소개로 구양경무(歐陽竟無)의 남경 지나내학원(支那內學院)에서 2년 동안 불교를 연구했으며, 1922년 겨울 북경대 총장인 채원배의 초빙으로 북경대 교수가 되었다. 1923년에 『신유식론(新唯識論)』 초고를 쓰기 시작해서 1932년 문언본 『신유식론』을 출판했고, 이어서 『파?파신유식론?(破?破新唯識論?)』·『불학명상통석(佛學名相通釋)』을 발표했다. 항일전쟁기간에는 사천으로 피난 가서 마일부(馬一浮)·양수명이 주관하는 복성서원(復性書院)과 면인서원(勉仁書院)에서 강의하다가 1947년 북경대로 돌아왔다. 1940년대에 웅십력은 어체본 『신유식론』·『십력어요(十力語要)』·『독경시요(讀經示要)』·『십력어요초독(十力語要初讀)』 등을 펴냈고, 1950년 이후에는 『논육경(論六經)』·『원유(原儒)』·『체용론(體用論)』·『명심편(明心篇)』·『건곤연(乾坤衍)』 등을 출판했다. 특히 1956년에 완성한 『원유』는 “육경이 나를 주석한다.[六經注我]”는 방식으로 웅십력 자신의 독특한 관점으로 유학 경전과 유학사를 새롭게 해석한 중요한 저술이다. 문화대혁명 시기에 말년의 웅십력은 반동복고주의자라고 낙인찍혀 많은 비판과 고초를 당했다. 그는 문화대혁명이 중국문화와 인간본성을 훼손한다고 항거하여 단식투쟁하는 도중에 결국 지병이 악화되어 향년 84세로 쓸쓸하게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체용불이(體用不二)’·‘심물불이(心物不二)’·‘흡벽성변(翕闢成變)’을 핵심으로 하는 그의 철학은 현대신유학의 형이상학적 이론의 기틀을 세웠으며, 그것은 이후 당군의·서복관·모종삼 등의 제자들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펼치기
김학목 (옮긴이)    정보 더보기
노장철학을 전공한 명리학자로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한 『한국주역대전』과 『주역절중』 번역에 참여. 역서로는 『박세당의 노자』(2000, 우수학술도서), 『율곡 이이의 노자』,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주』, 『장자 곽상주 해제』, 『초원 이충익의 담노 역주』(2015 우수학술도서) 등, 저서로는 『강화학파의 노자 주석에 관한 연구』, 『명리명강』, 『엄마의 명리공부』 등, 논문으로는 『장자 「소요유」의 상징구조와 마음 비움』, 『명리학, 미신인가 학문인가?』, 『간지와 음양오행의 결합시대』 등이 있음. 다음카페_ 해송과 함께 하는 명리명강 이메일 주소_ dangun2007@hanmail.net
펼치기
임헌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 의성 출생으로 경북대학교에서 신오현 선생의 지도로 철학에 입문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서양철학,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동양철학, 석사·박사), 미국 하와이대학교(동서비교철학), 유도회 부설 한문연수원 장학생반(3년) 등에서 공부했다. 현재 강남대학교 철학과 및 교양학부 교수(학부장, 학장)로 재직 중이며, 동양고전학회 회장, 《동방학》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논어》(상·하),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3대 주석과 함께 읽는 논어》(1∽3권), 《유교 인문학의 이념과 방법》, 《공자에서 다산 정약용까지》, 《주자의 사서학과 다산 정약용의 비판》, 《유학자가 풀이한 노자 도덕경》, 《유가의 심성론과 현대 심리철학》, 《노자 도덕경 해설》, 《소유의 욕망, 이利란 무엇인가》, 《노자, 도와 덕이 실현된 삶》 등이 있다. 《원유》(상·하), 《노자 철학 연구》, 《장자: 고대 중국의 실존주의》, 《주자의 철학》, 《노자》, 《인설》, 《답성호원》, 《후설의 현상학》, 《하버마스 다시읽기》, 《현대유럽철학의 흐름》, 《데리다와 푸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등을 번역했다. 유가와 도가의 형이상학과 심성론 및 동서비교철학을 주제로 약 1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윤원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臺灣 文化大學校 박사(Ph. D, 주자철학 전공) 한중철학회 회장(역임) 「從朱子思想中之天人架構闡論其義理脈絡」(박사논문)를 비롯하여 『성리대전』, 『태극해의』, 『역학계몽』, 『율려신서』 등 10여 편의 논저가 있음. 중앙대 대학원 철학과, 대만 중국문화대학 철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중앙대.숭실대.경희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지은 책으로 <철학 오디세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류희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만 동해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강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술로는 「순자의 인식론」, 「과현논쟁과 지적직각」, 「모종삼의 도덕형이상학」, 「웅십력의 외왕학과 모종삼의 평가」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