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8411452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0-01-2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_5
일러두기_7
제4장 원내성(原內聖: 내성의 본원을 탐구함)
4-1 『역』 「계사전?으로 본 내성학(內聖學) 15
4-2 중국철학의 두 가지 특징 20
4-2-1 천인불이(天人不二: 하늘과 사람이 둘이 아님)의 본체론_20
4-2-2 심물불이(心物不二: 마음과 사물이 둘이 아님)의 우주론_66
4-3 공자와 그 이전의 『역』: 술수와 철리(哲理: 철학적 이치) 110
4-3-1 한대(漢代) 『역』에 남아 있는 『역』의 옛 의미_112
4-3-2 공자가 창작한 『주역』: 복희 『역』을 근본으로 함_127
4-4 정신과 물질 및 본체와 작용에 대한 제가(諸家)의 이론 138
4-4-1 노자의 태허(太虛: 정신과 물질의 근원)와 혼천설_138
4-4-2 장자의 정신과 물질의 통일_148
4-4-3 혜시의 정신과 물질의 통일과 구분: 닭의 발이 세 개_151
4-4-4 장횡거와 왕선산의 본체와 작용_157
4-4-5 왕양명의 양지설과 격물_159
4-4-6 본체와 작용에 대한 철학과 과학의 입장_169
4-5 공자의 인생론 176
4-5-1 『논어』 「위정(爲政)? 「지학장(志學章)? 해석_176
4-5-2 『논어』 「위정(爲政)? 「지학장(志學章)?의 특징_184
4-5-3 50세 이전 시(詩)·서(書)·예(藝)·예(禮) 연구_193
4-6 공자의 우주론 241
4-6-1 『역』의 본체와 작용_243
4-6-2 천(天)의 작용을 본받은 복희의 『역』_248
4-6-3 건·곤괘 「단전(彖傳)?을 통해 본 공자의 본체와 작용_256
4-6-4 『주역건착도(周易乾鑿度)』의 기(氣)·형(形)·질(質) 삼시설(三始說)_270
4-6-5 건(乾)의 신령함_279
4-6-6 곤(坤)의 물질됨과 리(理)_292
4-6-7 유물주의 비판_300
4-6-8 정신과 찰나의 변화_323
4-6-9 미래를 예측하는 건(乾)의 정신과 과거를 간직하는 곤(坤)의 사물_339
4-7 결론: 『주역』의 체용관계? - 체용불이(體用不二: 체와 용은 둘이 아님)와 즉용식체(卽用識體: 용을 통해 체를 앎) 346
부록_361
『원유』 해제_453
『원유』 인명사전_465
색인_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