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8429175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국가의 설립과 정부의 조직
1. 국가는 왜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 정부는 무엇을 추구하는가
3. 사회 질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4. 독립운동: 자유의 쟁취
5. 전쟁에 대하여
제2장 자유와 평등
1. 자원의 희소성과 인간의 이기심
2. 자유와 평등의 양립 가능성
3. 소극적 자유와 비례적 평등
4. 후천적으로 만들어지는 도덕
5. 정의의 도덕 규칙
6. 사유 재산: 자유와 평등의 필수조건
7.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법과 법치
제3장 정치체제
1. 군주정, 귀족정, 민주정, 혼합정
2. 균형의 정치체제
3. 군주정의 성공과 실패
4. 민주정의 성공과 실패
제4장 현대의 민주정
1. 대중이란 어떤 존재인가
2. 의회는 당신을 대변하는가
3. 민주정 타락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4. 사유 재산을 위협하는 두 집단
5. 민주정에 대한 역사의 경고
6. 보수와 진보의 기준
7. 소결론: 대중을 위한 '제한된 정부'
제5장 현대 민주국가를 위한 열 가지 조건
1. 대중의 도덕 수준과 정의감
2. 법치를 위한 정치 시스템
3. 계획경제를 넘어 시장경제로
4. 경도되지 않은 정치체제
5. 정치인의 자질
6. 민주정의 파수꾼: 언론인과 지식인
7. 선거제도 개편
8. 안보와 동맹
9. 제한된 정부의 헌법
10. 역사의 우연과 필연에 대한 이해
제6장 민주국가를 위한 올바른 헌법
제7장 맺음말: 역사적 교훈과 '제한된 정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류의 경험과 지혜가 축적된 전통과, 시대 및 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변혁을 항상 적절하게 조합하지 않으면 국가는 영원할 수 없다. 적절한 조화를 아무리 잘 이룩한다고 해도 인간이 노쇠하면 생을 마감하듯이 국가도 그러한 존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오늘날 국가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은 꼭 주권을 잃고 사라진다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경험을 통해 쌓아온 지혜와 이성적 보완에 거슬러 퇴보하고 국가 구성원들의 삶을 이전보다 더 어렵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머리말 중에서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인간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당연한 것으로 생각되었던 노예제도가 폐지되었듯이, 인간 세상의 변화는 매우 장구한 세월을 요구한다. 기나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인간의 새로운 지식과 깨달음이 쌓이면서 대중은 민주정의 실체와 존립 조건 등에 대한 폭넓은 지혜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라는 종(種)이 자연 재해 등으로 사라지지 않는다면 ‘제한된 정부’의 실현도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우리가 인간 세상에 대해 한 가닥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이유이다.
- 맺음말: 역사적 교훈과 ‘제한된 정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