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교육
· ISBN : 9788984305168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1-03-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제1부 새로운 교회교육
제1장 기독교대한감리회 ‘은총과 성화’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14
제2장 기독교대한감리회 ‘은총과 성화’ 교육과정의 기본구조 42
제3장 기독교대한감리회 ‘은총과 성화’ 교육과정 디자인 73
제4장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성결과 비전’ 교육과정의 평가 117
제5장 기독교대한성결교회 BCM 교육목회제도의 평가 147
제6장 교육목회로서의 RCIA와 영성형성모델 169
제2부 새로운 학교 종교교육
제7장 한국 학교 종교교육의 새 방향 202
제8장 학교 종교교육의 교사상 226
제9장 영국에서의 학교 종교교육 250
제10장 학교 종교교육의 영성지향평가 268
제11장 신학교육의 모델들 295
색인 320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기독교교육은 반성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 기독교교육은 지금까지 복음을 이미 정해진 콘텐츠로 간주하여 당연시한 채, 교육방법만 새롭게 변화시켜 전달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독교교육을 교육방법의 학문으로 축소시켰던 것이다. 이제 기독교교육은 과거의 그런 패러다임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오히려 한국 기독교교육은 복음을 새 시대에 부합하도록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것으로 재해석하여 좋은 콘텐츠로 만들어야 한다. 마치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항상 동일한 모양으로 우리에게 다가오시는 분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다양하게 계시되듯 그렇게 말이다.
그래서 나는 이번 책에서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콘텐츠로서 한국감리교회의 ‘은총과 성화’ 교육과정과 한국성결교회의 ‘성결과 비전’ 교육과정 및 BCM 교육목회를 제시하였고, 또 가톨릭교회의 교육목회인 RCIA(Rite of Christian Initiation of Adults)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학교 종교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살펴보았다. 아마도 전통적인 콘텐츠에 익숙한 이들이나 혹은 전통적인 틀을 고집하는 자들에게 이러한 시도는 작지 않은 도전이 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맛있고 향기로운 새 포도주는 언제나 마시는 이에게 감동과 기쁨을 주지 않는가? 모쪼록 이 책을 통해 새 시대에 새 포도주를 내놓는 한국의 기독교교육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략)
필자는 학교 종교교육과 관련하여 정부 당국과 종교계 사립학교(이하 종립학교)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된 현실에서 제3의 길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필자는 종립학교의 자유로운 신앙교육적 종교교육의 입장을 지지하면서도 동시에 정부의 중립적인 종교학적 종교교육의 필요성에도 공감하는 맥락에서, 새로운 학교 종교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종립학교에 대해서는 신앙교육적 종교교육의 자유를, 국공립학교에 대해서는 종교학적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독교교육을 향한 필자의 작은 몸부림이 학교 종교교육의 발전에 작으나마 보탬이 되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