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430836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03-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신학의 방법
1. 신학의 역사
2. 신학의 방법
3. 신학의 방법에 대한 전망
제2장 하나님
1. 철학자의 하나님과 성서의 하나님
2. 하나님의 자기 계시
3. 창조주 하나님
제3장 인간과 죄
1. 인간론
2. 죄론
제4장 그리스도
1. 성서의 그리스도론
2. 그리스도론의 역사
3.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
4. 그리스도 사건의 의미
제5장 성령
1. 성서의 성령 이해
2.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성령 이해
3. 성령의 사역
4. 성령과 은사
제6장 삼위일체
1. 성서와 삼위일체론
2. 삼위일체론의 역사
3. 삼위일체론의 초점
4. 삼위일체론의 근본 체험
5. 삼위일체론의 의미
제7장 구원론
1. 성서의 은총론
2. 교부들의 은총론
3. 하나님의 본질과 은총
4. 은총과 인간의 의지
5. 구원의 순서
6. 은총의 수단
제8장 교회론
1. 교회의 기원
2. 성서의 교회론
3. 니케아 공의회의 교회론
4. 교회의 직제
5. 교회의 사명
제9장 종말론
1. 현대 신학의 종말론 논쟁
2. 묵시 사상
3. 예수의 재림
4. 죽음 이후의 삶
에필로그
주요 참고 문헌
부록: 존 웨슬리의 영성과 경제 사상
저자소개
책속에서
체계를 지향하는 조직신학은 결국 이성의 차원에서 그리스도교의 진리 내용을 해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체계란, 그리스도인과 비(非)그리스도인을 자신에게 복종시키려는, 완결된 지식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신앙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신앙 내용 전체에 대한 관점이나 전(前)이해를 제시해 주는 대화적 자세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조직신학은 성서를 이해하려는 사람들을 ‘전체와 부분의 해석학적 순환 운동’으로 인도하는 섬김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조직신학자는 사람들을 자신의 주장에 종속시키려는 지적 교만에 빠지게 될 것이다. _ <제1장, 신학의 방법> 중에서
그리스도교 전통은 왜 신앙의 진리를 전하는 데 있어서 지성에는 모순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 예를 들자면, “셋이면서 동시에 하나, 하나님이면서 동시에 인간, 하나님의 행위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행위” 등의 - 표현들을 사용하는가? 그것은 그들이 체험한 신앙의 진리 안에 모순적 체험들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당신을 계시하시는 하나님은 동시에 당신을 숨기시는 하나님이요, 당신의 본성마저도 넘어서서 당신이 창조하신 피조물에게 당신을 내어 주는 사랑의 하나님은 동시에 인간을 압도하며 죄를 소멸시키는 공의의 하나님이라는 인식도 바로 이러한 사실을 지시해 준다. _ <에필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