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지구
· ISBN : 9788984314757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11-06-22
책 소개
목차
제1부 격변의 시대
북한산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한반도는 남반구에서 왔다/ 한반도의 속살, 25억 살 대이작도 지층 타임머신 영월의 김삿갓 계곡/ 동해 탄생의 비밀/ 한국의 갈라파고스, 울릉동-독도/ 불과 물의 합작품 화산섬 제주/ 백두산 지하엔 괴물이 살고 있다/ 용암이 흐른 강, 한탄강/ 경주 신라 마애불의 비밀
제2부 생명의 땅
10억 년 전 소청도의 초록빛 생명융단/ 삼엽충의 고향, 태백산 분지/ 지구 최초의 원시림이 남긴 선물, 석탄/ 시화호 ‘공룡계곡’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 하늘 제왕 익룡의 사냥터, 경북 군위/ 공룡 최후의 피난처, 전남 여수/ 식물화석 보고 포항/ 빙하기 유산, 강릉 경포호/ 곰소만의 ‘떠다니는 섬’/ 단양 에덴동굴의 비밀
3부 한반도 지질 명소
억겁을 견딘 차돌 섬 백령도/ 공룡시대 퇴적층 교과서, 부산 다대포/ 화강암 돔의 보고, 서울 불암산/ 돌 흐르는 강, 대구 비슬산/ 원형의 섬, 인천 굴업도/ 신의 돌기둥, 광주 무등산 주상절리대/ ‘하늘 정원’ 동강의 백룡 동굴/ 역암층 교과서, 진안 마이산/ 세월이 쌓은 시루떡, 변산 격포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북한산 생성에는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도 있다. 무엇보다 지하의 북한산을 두텁게 덮었던 막대한 양의 지층이 어디로 갔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깎여나간 모래와 흙은 수십 번은 바뀌었을 강을 따라 어딘가로 흘러갔을 것이다. 북한산의 침식토사는 아마도 서해안 백사장의 모래로 또는 해안가 진흙이나 고령토가 되었고, 결국엔 조선시대 도자기로 태어났을 수도 있다. 설악산 대청봉 꼭대기에는 화강암 위를 덮었던 오래된 편마암의 일부가 미처 깎여나가지 않고 남아 있어, 북한산의 태초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
- ‘북한산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18쪽
한반도 형성이 1억 2000만 년 전 마무리됐다는 것은 현재와 같은 한반도의 꼴이 이뤄졌다는 뜻이지 지구조의 진화가 끝났다는 얘기는 아니다. 한반도를 탄생시킨 초대륙의 해체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아프리카 판의 북상에 따라 유라시아 대륙은 시소의 다른 끝처럼 남하하고 있다. 한반도가 자리 잡은 유라시아의 동쪽 끝자락은 동남쪽으로 이동한다.
- ‘한반도는 남반구에서 왔다’ 27~29쪽
약 10억 년 전인 원생대 후기, 나중에 인천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도가 될 해변에도 초록 융단이 깔려 있었다. 남조세균은 여전히 강한 자외선을 막기 위해 점액을 뿜어냈다. 점막 층에 주변의 퇴적물이 들러붙었고, 여기에 세균이 배출한 탄산칼슘이 엉겨 시멘트처럼 굳었다. 남조세균은 햇빛을 향해 마치 고층아파트를 올리듯 켜를 이루며 위로 성장했다. 이 건축물을 스트로마톨라이트라 부른다. 세균이 화석으로 남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런 단단한 구조물 덕분이다.
- ‘소청도의 초록빛 생명 융단’ 8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