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샤머니즘/무속
· ISBN : 9788984335677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07-06-04
목차
머리말
'석바위 만신' 박선옥 선생님을 기억하면서
제1부 황해도 무당굿놀이 연구
제1장 황해도 무당굿놀이의 유형, 갈래, 연희적 의의 연구
1. 황해도 굿의 특징
2. 황해도 굿놀이의 종류
3. 황해도 무당굿놀이의 연희적 의의
3.1 <칠성거리>와 <노장과장> : 연쇄적 질서
3.2 <대감놀이>와 <양반과장> : 삽화적 질서
3.3 <영산대감 영산할아뱜 영산할먐>과 <미얄과장> : 유기적 질서
제2장 황해도 <광대탈대감거리>의 연행구조적 특징과 의의
1. <광대탈대감거리>란 무엇인가?
2. <광대탈대감거리>의 전승자는 누구인가?
3. <광대탈대감거리>의 연행방식과 굿의 구조
4. <광대탈대감거리>의 연행소 분석
5. <광대탈대감거리>의 의의
제3장 <도산말명방아찜굿>의 연희적 성격 : 서사극적 갈등과 극작술
1. 황해도 굿의 실상과 구조적 원리
2. <도산말명방아찜굿>의 연행 순서
3. <도산말명방아찜굿>의 연희적 갈등과 극작술
3.1 가무악희의 총체
3.2 만신과 장고의 대화
3.3 인물의 등장과 퇴장
3.4 시간과 공간의 변화
3.5 소도구의 조달
3.6 굿거리의 짜임새
제4장 <벌대감굿>·<호살량굿>의 굿놀이적 특징과 의의
1. 神人合一의 세계관과 굿의 맞이·본풀이·놀이
2. <벌대감굿>의 요체
3. <호살량굿>의 요체
4. <벌대감굿>과 <호살량굿>의 특징
제5장 <마당굿>의 굿놀이적 특징과 의의
1. <마당굿>의 형식미학:집단과 개인의 차원 높은 합일
2. 마당굿놀이의 의의
제2부 황해도 석바위 만신 <박선옥>의 무당굿놀이자료 모음집
자료1. 광대탈대감1
1. 막장단
2. 청배-만세받이
3. 막장단
4. 광대탈대감
4.1 광대놀음
4.2 광대 덕담
4.3 공수
5. 날만세받이
* <광대탈대감거리>의 내용과 의의
자료2. 광대탈대감거리2
1. 막장단
2. 청배-만세받이
3. 막장단(광대대감 몸에 실음)
4. 광대탈대감
4.1 광대 놀음
4.2 광대 덕담
5. 사지대감
6. 공수
7. 사실 바치기
8. 쌀산 주기
9. 날만세받이
자료3 도산말명방아찜
1. 막장단
2. 청배-자진만세받이
3. 막장단 춤
4. 말명
5. 지신집큰애기
6. 살량집며느리
7. 봉산네오라바이
8. 말명
9. 날만세받이
* <도산말명방아찜굿>의 내용과 의의
자료4. 벌대감굿1
1. 초두 맴장단
2. 청배(방울,부채,장구)
2.1 청배
2.2 내림공수
3. 맴장구
4. 강할머니
5. 벌대감
6. 밤나무
7. 능수버들 나무
8. 소나무
9. 대추나무
10. 사해용궁 등
11. 본향대감, 상산대감, 도당대감
12. 벼슬할아버지 / 한량대감 / 제장대감 / 한량창부
12.1 벼슬할아버지
12.2 한량대감
12.3 제장대감
12.4 한량창부
13. 춤장단
* <벌대감굿>의 내용과 의의
자료5. 벌대감거리2
1. 사방청배
2. 청배
3. 내림공수
4. 맴장구
5. 벌대감
5.1 공수
5.2 목신대감
5.3 수살용신대감
5.4 운전대감
5.5 서낭대감
6. 쑹가타령
7. 나가는 공수
자료6. 사신반웅굿 <호살량굿>
1. 맴장구
2. 자진만세받이-군응청배
3. 호영산마누라
4. 호살량
5. 날만세받이
* <호살량굿>의 내용과 의의
자료7 사신반웅굿 <마당굿>
1. 맴장단
2. 자진만세 청배
3. 서낭
4. 만신 죽은 신천귀 말명
5. 장님판사
6. 판사 죽은 병자귀
7. 해산 말명
8. 칠산 막둥이
9. 용신귀
10. 총 맞아 죽은 상살귀
11. 등꼽쟁이
12. 불에 타서 죽은 귀신
13. 다리 하나 짤린 귀신
14. 조막손이
15. 수살목신 나무에 앉았던 귀신
16. 동자귀신
17. 군웅
18. 퇴송
* <마당굿>의 내용과 의의
제3부 부록: 박선옥 만신 인터뷰
부록1 박선옥면담자료1
부록2 박선옥면담자료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