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학의 공간 옛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8433991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2-06-2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8433991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2-06-22
책 소개
허경진 교수의 문학과 공간의 만남. '집에 대한 문학적 이해', '기문과 제영시를 편집한 <벽수산장일람>', '문학작품에 나타난 서촌의 모습', '문학에 나타난 한양도성의 이미지', '읍지에 소개된 안동지역의 정자들'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릿말
집에 대한 문학적 이해
1. 상상 속의 집
2. 안과 밖으로 나누어진 집 - 문학의 공간
3. 건물의용도를 정해주는 이름
4. 소유가 아닌 삶의 공간
5. 집을 짓기 위한 준비이 즐거움
가문과 제영시를 편집한 (벽수산장일람)
1. 두 군데의 송석원
2. 김수항의 청휘각
3. 민규호 민영익과 송석원
4. 송석원에 관련된 사문을 편집한 (벽수장일람)
5. 윤덕영의 벽수산장
문학작품에 나타난 서촌의 모습
1. 고소설 운영전을 통해 본 안평대군의 수성궁
2. 위항인이 전기를 통해 본 인왕산 일대 주민들의 미덕
3. 야담을 통해 본 장동 주변의 모습
4. 민요를 통해 본 인왕산
5. 전설을 통해 본 인왕산
6. 한시를 통해 본 인왕산
7. 팔운대 꽃구경과 화원 이야기
8. 우대 시조 가객들과 기생들의 풍류현장 운애산방
9. 소설가 이상과 시인 윤동주의 창작 현장
10. 맺음말 - 서울 문학 1번지 서촌
문학에 나타난 한양도성의 이미지
1. 인륜과 정치의 염원을 담은 문 이름
2. 명승으로서의 한양도성
3. 놀이터로서의 한양도성
4. 방을 붙이는 공간
5. 맺음말
읍지에 소개된 안동지역의 정자들
1. 조사한 정자의 범주
2. 조사한 문헌자료들
3. 정자가 세워지고 변모된 과정
4. 앞으로의 과제
부록 경복궁 서측지역의 문화유산
(청운 효자동 지역/사직동/인왕산)
저자소개
책속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