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8898435305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1-04-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 4
제1장 근초고왕의 시대
1. 근초고왕 이전의 한반도 남부 상황
근초고왕이 활약했던 격변의 4세기 그리고 기록의 혼란 12 / 분쟁의 핵, 신라와 왜(倭) 15 / 왜가 어떻게 신라의 도성을 위협했을까? 19 / 왜에 대한 신라의 입장 23 / 왜를 괄시했던 신라 28
2. 근초고왕의 업적
드라마가 왜곡한 근초고왕의 캐릭터 34 / 근초고왕 때의 국제관계 37 / 근초고왕이 직면했던 과제 41 / 주인공이 누구인가? 43 / 사려 깊은 전략, 신중한 실행 46 / 4세기 중반 한반도 남부 정세와 구저의 임무 49 / 정복을 평화적으로 54 / 힘보다 이권조정을 통하여 57 / 전쟁을 막기 위한 무력시위 61 / 고구려의 견제 65 / 허당 고구려? 69 / 남방 정복 사업의 마무리 73 / 임나는 백제가 관리했다 77 / 임나와 목씨(木氏) 가문 81 / 왜에 대한 배려의 산물, 일본부 84
3. 근초고왕 이후의 국제정세
지각변동의 도화선, 신라 89 / 동맹체제의 충돌 92 / 말려든 임나가라 96 / 고구려의 개입 그리고 임나가라 정벌 101
제2장 성왕의 시대
1. 성왕 이전의 국제관계
고구려·신라 동맹의 균열 108 / 또 다른 축의 변화, 신라와 왜 112 / 백제의 개입과 파란 115 / 나제동맹(羅濟同盟) 그리고 국제관계의 반전 121 / 왜의 배신감 123 / 힘 없는 자의 반항 127 / 각자 이익을 찾아 이합집산 130 / 왜(倭), 제 갈 길을 찾아 135 / 의미 없는 칭호, 실익 없는 외교 137 / 가야의 재기 142 / 가야의 좌절 147 / 가야의 대안은 신라 151
2. 성왕 등장 이후의 국제관계
아라가야의 저항 시도 155 / 반백제 외교전선의 강화와 좌절 159 / 가야세력의 이탈 164 / 금관가야의 신라 투항과 반작용 / 167
3. 맹주의 지위를 되찾기 위한 ‘임나재건’
‘임나재건’의 속뜻 170 / 백제에 대한 저항의 강화 174 / 임나재건을 사이에 둔 줄다리기 178 / 성왕의 뚝심과 한계 181/ 최후의 저항 186
4. 성왕의 죽음, 기세 꺾인 백제
파란의 도화선 한강 190 / 신라의 배신 194 / 고구려가 먼저다 197 / 관산성 전투의 개시 201 / 성왕의 전사과정에 대한 의문 204 / 관산성 함락과 전황 207 / 신라군 부대의 매복 210 / 리더의 빈자리 215 / 타격은 크지 않았다 219 / 관산성 전투의 후유증 226
맺으면서 232
참고문헌 23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근초고왕은 바로 이러한 정세 속에서 등장했다. 이 상황에서 근초고왕이 해내야 할 첫 번째 과업은 일단 고구려의 위협을 막으며 백제의 기반을 다져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고구려의 위협을 극복해야 한다는 과업은 외부요인 덕분에 일단 쉽게 해결되었다.
근초고왕의 재위기간에 즈음하여, 고구려는 연나라 모용씨와의 분쟁에 시달려야 했다. 수도까지 함락 당하는 등 수세에 몰리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다른 곳에 신경 쓸 여유가 별로 없었다. 백제는 이 덕분에 상당 기간 고구려의 예봉(銳鋒)을 피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근초고왕은 이런 상황 속에 안주하려 하지 않았다. 당장 상황이 좋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속에 편안하게 안주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적어도 국가를 경영하는 지도자까지 이런 경향이 휩쓸리면 뒤끝이 좋지 않다.
백제가 근초고왕 때에 남쪽으로 눈을 돌린 이유는 고구려가 연에 타격을 받은 사이 한반도 남부의 정세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짜놓으려는 것이었다고 했다. 그렇다면 임나를 만들어야 했던 필요성도 결국 이 연장선상에서 나오게 된다.
즉 근초고왕 때 백제가 남쪽에 눈길을 돌린 근본적인 이유는 한반도 남부에서 일본 열도에 걸쳐 있던 나라들을 백제의 정책에 협조하도록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나라들을 하나의 조직에 묶어놓아야 할 필요가 생겼고, 그 필요에 따라 10여 개 국으로 갈라진 가야의 소국을 묶는 조직이 임나였다.
성왕이 등장하기 이전 국제관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일시적으로 고구려-신라와 백제-가야-왜를 잇는 두 동맹이 형성되어 충돌한 이후, 점차 신라와 가야까지 고구려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뭉쳐 나아갔다. 그러다가 5세기 후반부터 백제가 그동안 우호적으로 지내던 가야와 분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그렇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백제의 재기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개로왕 때 고구려에 타격을 받았던 백제는 일단 그 타격을 수습하는 것이 선결과제였다. 그 때문에 국제관계에 있어서도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하여 다른 세력들과 협력 관계를 만들어 나아가는 것이 국가정책의 기본 구도라고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