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콘과 아방가르드

이콘과 아방가르드

(초월적 성스러움의 문화적 표상)

이덕형 (지은이)
생각의나무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콘과 아방가르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콘과 아방가르드 (초월적 성스러움의 문화적 표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88984989221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08-12-30

책 소개

이 책은 ‘이콘 개론서’로서, 그리스도교 이콘이 등장하여 비잔티움 동로마 제국을 거친 뒤 10세기 키예프 루시 공국에 수용된 이래 20세기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이콘과 이를 둘러싼 2천 년 역사의 정치.사회.경제.문화.종교.사상.언어적 사건과 함의들을 일목요연하게 서술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이콘과 초월적 성스러움

1. 비잔티움 세계의 교부 미학―새로운 중심
초월성의 내재화 혹은 초월적 상징주의
세계의 보편적 통일성과 오이쿠메네
탈영토화-재코드화-새로운 중심 : 카톨리코스의 형성
초기 그리스 교부와 초월성의 관념 : 에페케이나와 코라
신플라톤주의와 초월적 일자의 이미지
아포파시스와 부정신학
초월성의 탈(脫)리얼리티 : 숭고의 부정적 병치
로고스의 성육신과 우주적 그리스도
삼위일체와 호모우시오스 : 신앙의 표준
케노시스와 테오시스 : 오이코노미아의 신비

2. 빛과 이데아―영원의 상 아래에서
아름다움과 아이스테시스 : 초월의 미학
판칼리아와 데코룸의 이상
이콘의 새로운 데코룸 : 숨겨진 기하학
빛의 아름다움과 신적 이데아
빛을 바라보는 마음의 눈 또는 심안
영원의 상 아래에서
이콘과 중세의 판옵티콘
신의 집 : 성스러움의 시네마토그라프
순수한 빛의 체험 : 모자이크의 광학적 유희
빛의 복화술 : 모자이크의 색채 하모니
빛의 산란 혹은 상징적 순례

3. 초월적 성스러움과 영원성의 얼굴들―빛의 은유
신의 이콘 : 영원성의 얼굴들
아케이로포이에토스 : 그리스도 이콘의 성스러운 전승
성 루가와 테오토코스 성모 이콘
초월을 담는 그릇 : 테오토코스 성모 이콘의 상징적 의미
카타콤의 그리스도와 성모 이미지 : 착한 목자와 오란스
판토크라토르와 시나이 이콘
파이윰 미라-초상 기법과 알렉산드리아 도상학
필사본 성서의 채색 삽화와 성서 도해
성인 이콘과 순교자 이콘 : 비육체성과 탈물질화
역사적 그리스도의 이미지 : ‘그리스도 십자가 처형’과 ‘그리스도 부활’ 이콘
이콘의 남용과 주물적 숭배의 확산
692년의 트룰로 공의회와 이콘에 관한 최초의 규범

4. 이콘 논쟁과 이미지의 신학―중심의 재코드화
제1차 이콘 논쟁(726~87)과 다마스쿠스의 요한네스
754년 히에리아 종교회의와 787년 니케아 공의회 : 이콘 파괴론과 이콘 공경론
『샤를마뉴의 서(書)』와 서구 라틴 세계의 반응
제2차 이콘 논쟁(815~43)과 정통 신앙의 승리
시뮬라크르와 이콘의 오이코노미아
마케도니아 르네상스와 비잔틴 이콘의 개화
메놀로기온과 도데카오르톤 이콘 : 다중화된 이콘의 평면
비잔틴 스타일과 엘레우사 유형의 성모 이콘
엘레우사 이콘의 변이형과 비잔틴 휴머니즘
십자군 시대의 이콘과 팔라이올로고스 르네상스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와 헤시카즘
그리스도 현성용과 세계의 얼굴
포스트-비잔틴 이콘과 그리스 기법

5. 슬라브의 정교세계와 러시아 이콘―중심의 탈영토화
비잔티움 세계의 슬라브 선교와 키릴 문자
키예프 루시 공국의 정교 수용과 러시아인들의 심미적 충격
성스러운 러시아의 이중 신앙체계
키예프 루시의 석조 사원과 신적 지혜로서의 소피아
키예프 루시의 ‘나무 문화’와 러시아 이콘
노브고로드 이콘과 삶의 기쁨
블라디미르 성모와 블라디미르-수즈달 이콘
프스코프 이콘과 러시아 헤시카즘
성스러운 러시아와 ‘우밀레니에’의 이상
비잔티움 세계의 팔라이올로고스 르네상스와 모스크바 이콘 화파
이코노스타시스 : 러시아 이콘의 갤러리
안드레이 루블료프와 삼위일체 이콘

6. 재현의 유혹과 이콘의 세속화―아우라의 위기
비잔틴 이콘과 이탈리아 르네상스 : 현전에서 재현의 패러다임으로
시선의 갈림길 : 르네상스 화가들의 ‘그리스도 현성용’
비잔티움 역원근법과 르네상스 일점원근법
이콘의 역원근법과 산수화의 도(道)의 원근법
가까이서 그리고 멀리서 : 이콘과 산수화에서의 여백
회화의 프레임과 이콘의 파레르곤
모스크바 제3로마설과 백항회의
스트로가노프 이콘 화파와 시몬 우샤코프
이콘과 초상화의 바로크적 몽타주 : 파르수나
이콘의 얼굴과 근대적 초상화
민중들의 이콘과 성스러움의 패러디 : 러시아 루복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모더니티 : 중세 러시아의 종말과 아우라의 위기

7. 이콘과 아방가르드―해체된 중심
러시아 스타일의 형성 : 비잔티움 세계의 재코드화
신(新)러시아 스타일과 아브람체보 그룹
러시아에서의 세잔 : 다면적 얼굴의 뿌리
타자의 시선에 비친 러시아 이콘 : 고티에, 릴케, 마티스의 러시아 여행
칸딘스키의 교향악적 구성과 이콘의 색상 대비
신원시주의와 농민 예술로서의 이콘
광선주의의 4차원과 이콘의 추상적 조화
입체-미래파의 조각난 환유
병치의 대위법과 동시성의 몽타주
알로기즘과 ‘태양에 대한 승리’ : 초이성의 모험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 : 수프레마티즘의 이콘
무대상성과 얼굴 없는 이콘들 : 비존재의 존재성

맺음말-모순의 공존과 병렬적 세계상

역사 연대표
용어해설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
작품 및 도판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덕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미셸 드 몽테뉴 보르도 3대학 슬라브어문과에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작품의 시학적 변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러시아어문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러시아 문화예술의 천년』 『비잔티움, 빛의 모자이크』 『이콘과 아방가르드』 『다쥐보그의 손자들: 동슬라브-러시아 신화』 『도스토옙스키 판타스마고리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검은 사각형』 등을 썼고,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 민중문화』 『죽음의 집의 기록』 『지하로부터의 수기 외』를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제 우리는 초월적 성스러움의 관점에서 ‘새로운 중심’을 형성하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교부 미학과, 중심을 ‘재코드화’하는 비잔티움 정교회, 그리고 ‘탈중심-재영토화’하는 러시아 정교, 그 중심을 해체하면서 ‘다원적 중심’을 향하는 아방가르드의 이콘을 역사적으로 살펴볼 것인데, 그리스도교의 이천 년과 함께하는 이콘의 역사는 종교의 울타리를 뛰어넘는 ‘문화적 겹지층’의 살아있는 실례가 된다. 특히 서구 유럽의 라틴적 사유에서 벗어나 비잔티움의 그리스적 사유를 거치는 긴 역사적 노정 속에서 우리는 예기치 않게 후기구조주의의 포스트모던적 사유와 유사한―하이데거나 들뢰즈, 장뤽 마리옹이나 보드리야르, 데리다나 리오타르 등의―목소리들도 들을 수 있다. 예컨대 언어적 개념을 통한 카타파시스가 아니라 부정적인 언술의 아포파시스를 강조하는 부정신학적 관점에서는 데리다의 흔적을, 그리스 교부들의 이콘 옹호론에서는 이미지를 통해 감각적 이성의 복권을 말하는 들뢰즈의 생각과 장뤽 마리옹의 이미지론의 일부를, 이콘 파괴론자의 관점에서는 보드리야르와 리오타르의 부정적 숭고의 관점 등을 읽을 수 있다.
'머리말-이콘과 초월적 성스러움' 중에서, 30~31쪽


이와 같은 모자이크와 이콘의 이미지들은―위계적 질서에 따라 표현된 그리스도와 성모의 이미지를 그리스도의 일생과 구약과 신약성서의 내용을 시작으로 사도들과 예언자, 성인들과 순례자, 그리고 교회의 전례 축일에 맞춘 이미지들은―단 한 가지의 주요 목적, 즉 그리스도교의 도그마를 제시하고, 비잔티움 정교회의 성스러운 전례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 총체라고 볼 수 있다.116 따라서 모자이크와 이콘의 성스러운 이미지는 교회 건축의 상징적 구조와 맞물리면서 교회 내부의 공간 속에서 위계적으로 배치될 때, 그리고 교회 내부에 위치하는 기도-관찰자가 천상의 세계를 관조하고 여기에 동참할 수 있는 심리적인 연합을 체험하게 될 때, 천상 예루살렘의 음악인 성가의 화음과 공감각을 이루며 비로소 그 의미가 종합적으로 드러나는 심미적 인식의 도구이자 종교적 전례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비잔티움 세계의 정교회에서는 그때 비로소 초월적 성스러움의 우주적 동시성의 세계가 지상에서 완성된다고 보는 것이다.
'2장 빛과 이데아-영원의 상 아래에서' 중에서, 163~164쪽


하지만 이와 같은 러시아 아방가르드들의 심미적 인식은 전통적인 이콘 세계의 조형언어와 결코 무관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20세기 초 모스크바에서 비잔티움-러시아 이콘의 색채와 형태에 경도되었던 앙리 마티스, 그리고 특히 칸딘스키의 추상회화나 말레비치의 ‘수프레마티즘’과 같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학은 ‘미래의 예술’을 지향했지만, 이들의 미래는 과거의 전통적인
이콘의 조형언어 속에서 심미적 자양분을 섭취하고 있었다. 원근법을 벗어나 있는 고대 및 중세 이콘의 조형언어에서 새로운 예술이 추구하고자 하는 심미적 원리를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이콘이 ‘오래된 미래’이자 ‘도래하지 않은 과거’의 시간적 모델이었고, 이들의 공간적 변혁은 이미 이콘 속에서 선취된 예술적 실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
'6장 재현의 유혹과 이콘의 세속화-아우라의 위기' 중에서, 481~482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