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4991859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03-11-20
책 소개
목차
제1장 대구언론전사
1. 국채보상운동과 대구언론 창간 기도
2. 일제하 민간 3지의 지국언론사
3. 대구지역 일문지 신문사
4. 언론인과 기자단 활동
제2장 미군정하의 향토언론
1. 해방언론의 창간시대
2. 언론자유와 군소신문
3. 대구10월항쟁과 언론
4. 미군정하의 지방언론
제3장 이승만 정권과 민권언론
1. 대한민국 건국과 언론
2. 6?25동란과 대구언론
3. 대구매일신문(大邱每日新聞) 테러사건
4. 독재정권과 대구의 정치언론
5. 국가보안법 파동과 혁명언론
제4장 장면 정권과 민중언론
1. 과도정부 하의 언론
2. 언론자유의 허와 실
3. 제2공화국과 향토언론
제5장 박정희 정권과 자유언론
1. 5.16쿠데타와 언론
2. 언론윤리위원회법 파동과 매일신문의 투쟁
3. 예속언론 시대의 대구언론
4. 유신언론과 언론자유실천운
5. 박정희 정권과 지역언론
제6장 전두환 정권과 제도언론
1. 제5공화국의 언론정책
2. 대구지역 언론 통폐합사
3. 독점언론시대의 대구매일신문
4. 제도언론의 보도 실상
5. 6월민주항쟁과 5공언론
제7장 노태우 정권과 민주언론
1. 언론개방과 새신문 창.복간
2. 제6공화국과 언론자유
3. 언론노조의 결성과 6공언론
4. 영남일보노동조합 자주언론쟁취 투쟁사
5. 우리신문 창간운동의 시작과 종말
제8장 보론
1. 慶尙每日의 창간과 폐간
2. 大東日報 → 慶北大東日報 → 신경북일보 → 경북일보
3. 하나신문의 창간과 폐간
4. 보성주택의 大邱日報 인수와 몰락
5. 광역일보 → 대구광역일보 → 大邱日日新聞 → 광역일보 → 대구신문
6. 경북도민일보의 창간과 폐간
7. 영남투데이의 창간과 폐간
8. IMF와 영남일보의 법정관리
9. 대구일보의 복간(?) 미스테리
10. 삼일그룹의 경북매일 인수
11. 慶尙每日의 창간
제9장 대구경북방송사
1. 일제하의 지방방송 태동기
2. 방송의 재건과 국영방송 시대
3. 민영상업방송의 등장과 성장
4. 컬러방송 실시와 방송의 도약기
5. 뉴미디어 시대와 지방방송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란 과거를 통해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다. 이 책은 대구경북의 언론사를 민주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지방언론 살리기'의 이데올로기를 제공한다. 언론이란 모름지기 '반골정신'이란 투철한 비판정신을 지닐 때만이 언론으로서의 생명을 지니고,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메시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