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4999671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08-12-30
목차
머리말
1 정보사회와 인터넷
정보사회의 등장과 발전
정보사회의 특징
정보사회의 변화
인터넷의 가능성과 한계
사이버 공간의 특성
사이버 공간의 사회적 성격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
가상 공동체의 특성
사이버 공간과 CMC 활동: 유형과 기능
정보 가치의 구성 요소
CMC의 특징과 정보
정보에 대한 논의의 검토
정보의 순환을 통해 본 정보의 특성
정보 가치 결정의 4차원 공간
2 정보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인터넷과 현대 철학
정보사회에 대한 철학적 논의
인터넷과 정치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시각
포스터의 정보 양식론
인터넷과 정보사회의 철학적 이해
정보사회의 분석틀 모색
인터넷 담론의 이데올로기
인터넷 산업의 경제적 성격
인터넷 담론 주체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정보 경제학의 개념과 이론
CMC의 형성과 영향에 관한 정치 경제학적 연구
CMC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성격에 관한 국내 연구
새로운 분석틀의 제안: 정치 경제학과 경제 정보학
3 정보사회의 양면성
정보사회의 긍정적 측면
정보사회와 행정
정보사회의 권력
정보사회와 범죄 수사
정보사회와 인터넷의 부정적 측면
정보사회의 부정적 측면
감시 사회와 인터넷의 역할
인터넷 영역의 상업화와 불평등 심화
정보사회의 중독과 병리 현상
4 정보사회와 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정보사회와 시민
가상 공동체의 민주주의
시민의 정치 참여와 민주주의
민주주의와 인터넷의 역할
시민의 정치 활동 참여 확대와 인터넷의 역할
시민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인터넷 활용
국가, 자본과 디지털 미디어
시민, 국가, 자본의 관계와 디지털 미디어의 성격
지식 정보사회 민주주의와 디지털 미디어
5 정보사회의 언론 자유와 규제
정보사회의 언론 자유
언론 자유 사상의 역사
정보사회에서의 언론 자유의 세 가지 차원
정보사회의 인권과 규제
인권과 정보
인터넷 규제 방향
6 누가 정보사회의 주역인가
요약
정보사회의 세 주체: 국가, 기업, 시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터넷에 의한 거리의 소멸은 정치, 경제, 문화 측면의 소통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로 인해 국가 간, 정부와 국민 간, 고용자와 노동자 간의 소통을 가로막은 수직적 장벽이 허물어지고 집단 간 수평적 유대의 형성과 확대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평화를 증진시킨다. … 인터넷을 통해 대기업과 같은 자본은 이윤 추구 과정에서 그리고 정부는 효율적인 행정 과정에서 시민의 정보를 기록, 저장, 관리하여 통제를 강화하는 감시 사회가 형성된다. 푸코는 이러한 감시 사회를 중앙에서 주변을 감시하기 쉽게 만든 원형 감옥이라는 의미에서 팬옵티콘(panopticon) 사회라고 부른다. - 본문 2장 '정보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중에서
인터넷상의 여론은 기자나 편집자의 눈을 통해 걸러진 것이 아니라 시민의 시각에서 제시되었거나, 또는 민감한 사안의 경우 익명의 의견 표현과 수정을 거쳐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여론에 대한 기득권 집단의 제도적 통제를 허문다는 특징을 지닌다. 하버마스는 의사소통 행위 이론을 통해 시민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결과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증대시키고, 개인적 차원에서 국가나 사회에 의해 일방적으로 규정되는 식민지화 상태로부터 벗어나 인간적이고 해방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 본문 4장 '정보사회와 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