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8512732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09-01-2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론
인공구조물로서의 도시
역사 속의 도시
도시란 무엇인가?
1. ‘유기적’ 패턴
계획 도시와 계획되지 않은 도시
공존과 재현
‘유기적’ 패턴의 태동
직선과 곡선: 여러 가지 설계안
모더니즘과 풍경식 계획 도시
2. 격자
들어가면서
역사적 연구
격자를 계획하다
도시와 농촌의 협력체계
폐쇄형 격자: 구조, 강조할 점, 그리고 오픈스페이스
20세기의 격자
3. 다이어그램으로서의 도시
원과 다변형
특별한 환경
정치적 다이어그램
기능적 다이어그램
세속적/사회주의적 다이어그램
4. 장엄한 기풍의 도시설계
들어가면서
역사적 연구
장엄한 기풍의 도시계획
‘바로크’의 구성요소
포스트모던 바로크
5. 도시의 스카이라인
들어가면서
스카이라인의 모습
스카이라인의 설계
근대의 스카이라인
옮긴이의 글
Notes
Bibliography
Acknowledgment for Illustrations
리뷰
책속에서
그 형태가 제멋대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일지라도 ‘계획되지 않은’ 도시는 없다. 아주 이상하게 꼬인 길이나 골목과 잘 만들어진 공공장소의 저변에는, 과거에 땅을 사용하던 방식(그 전에 그곳에 무엇이 있었는지), 땅의 모양,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사회적 관계가 쌓여 있다. 또한 개인의 권리와 공동선을 절묘하게 절충했기 때문에 질서가 유지된다. _ 본문 52쪽
격자는 역사적으로 계획 도시의 가장 보편적인 패턴이다. 지리적ㆍ시대적으로 볼 때, (비록 연속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세계 공통으로 나타난다. 전혀 종류가 다른 대지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계획안으로, 토지를 공평하게 배분하는 수단으로, 또는 토지를 나누어 팔기 쉬운 방법으로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격자보다 더 나은 해법을 추천할 수 없다. _ 본문 95쪽
사회계층 속에서 전해졌든, 또는 국민들을 통치하기 위해서였든, 군대막사ㆍ수도원ㆍ공업도시처럼 특정한 공동체를 다이어그램으로 계획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는 이러한 공동체가, 그물망으로 연합되어 있거나 혹은 기하학을 미처 풀지 못해 작위적인 모습이더라도, 이것이 태동기의 이상 도시라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_ 본문 16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