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토목/건축공학
· ISBN : 978898512744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11-11
책 소개
목차
1. What is Slow Architecture?_ 프롤로그
|Common opinion | 인간사회에 기반한 소통과 반응 | 슬로우 운동의 정의 | 슬로우 아키텍트 일반론
|Space Talk | 공간인의 조금은 다른 생각 | 공간인이 생각하는 슬로우 아키텍트 | 인간사회에 대한 건축적 고민
2. Capacity_ 확장하여 생각하기
|Concept | 우리는 어디에 와 있는가? | 우리는 무엇을 꿈꾸는가?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Works | Project1_한국농어촌공사 본사사옥 신축공사 | Project2_Nexon 강남 Tower 신축공사 | Project3_세종시 정부청사 3단계 2구역 건설사업 공사
|Seminar | Space Talk, Talk, Talk......
|Postscript | 후기
3. Observation_ 다양한 방법으로 바라보기
|Works | Project1_2012 여수 엑스포 기업관 | Project2_한전 KDN 본사사옥 | Project3_정선아리랑 전시문화 공연센터 / 대관령 음악테마공원 | Project4_브그즐 신도시 국립환경 및 지속가능 개발센터 | Project5_알제리 국립행정학교 |Project6_알마티 카작무스 본사
|Postscript | 후기
4. Living City_ 함께 살아가기
|Works | Project1_브그즐 신도시내 군 연구원 주거단지 | Project2_Concept Dialogue | Project3_대전노은 4지구 공동주택
5. Time Device_ 시간 비틀기
|Concept | 모멘트의 재고찰 | 방법론
|Works | Project1_장보고 제2 남극기지 | Project2_인천국제공항 제2여객 터미널 설계공모
6. Space Gap _ 에필로그
|Enclosing Quote | 맺음말
|Newcomer's Orientation | 신입사원 work [장수마을 프로젝트]
|Annual Records | 세미나 진행 기록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What is Slow Architecture?
"Slow Architecture" 에 대한 정의 및 건축적 방법론에 대해 동시대적 고민이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공간그룹은 지난 일 년간 이러한 이슈(issue)에 대해 일반론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토의하고 논지를 모아왔다. 2011년 신입사원에서부터 부서장들까지 년차별 부서별 토의 등을 통해 공간그룹만의 성격과 논지를 가지고 "Slow Architecture"라는 주제를 펼쳐가거나 때로는 공유된 생각으로 좁혀가면서 그 크기와 깊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답이 없는 퍼즐을 맞춰가는 길찾기식 토의들이 두서없고, 목적 없이 보일지는 모르지만, 시대의 패러다임을 읽고 건축의 물음에 대한 해결책과 방법론을 모색하려는 노력과 함께 공간그룹의 Annual Issue의 대전제인 “인간”이라는 주제와 연결 고리를 만들어 가는 작업을 통해 “Slow Architecture"에 대한 해석을 탐구하는 작업이었다. (19쪽)
Capacity, 확장하여 생각하기
기존의 단편적인 패러다임을 읽듯이 건축을 접근해서는 안 된다. 근대 건축이 확립한 기준으로 동시다발적이고, 복합적 요구를 실현시킬 수 없다. 변화되지 않는 같은 그림들만을 반복 생산해낼 뿐이다. 여기저기 그려지는 반복되는 그림들은 그 속에서 형성되어져야 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가치관들을 단일적이고 통합적인 복제품들로 만들어 버린다. 건축의 접근적 시각을 확대하고 뒤틀고 조합하는 새로운 접근을 모색할 때이다. 늘 가치관 중심이었던 “인간”이라는 규정의 틀을 벗어나 “공생”의 시점으로 바라본 새로운 가능성(농어촌공사 현상설계), 도시 속 물리적인 틀과 공간적인 틀의 기묘한 역발상(넥슨 강남타워 현상설계)의 시도와 늘 한가지 프로그램으로 규정되어 졌던 Path의 의미적 확장(세종시 정부청사 현상설계)을 통해 건축적 방법론과 기존의 시각을 틀어 확장하고 순위를 뒤집고 조합하는 방법으로 건축을 접근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의 씨앗을 확인하려 하였다. (55쪽)
Observation, 다양한 방법으로 바라보기
Slow를 속도, 시간, 시대, 기억, 개발, 친환경, 보존 등의 구분적 시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다름, 소수, 아웃사이더, 돌연변이, 음지, 변종, 전이, 차용 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개념과 표상에서 벗어난 인간과 공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도록 관점을 달리하는 것이다. 그 동안 우리 스스로 정한 개념의 틀에 의해 우리 자신의 삶과 공간은 역설적으로 지배당해 왔으며 이로 인한 인간과 공간의 갈등은 여전히 개념 밖의 일로 인식되고 있다. 150년 전 인상주의가 화단에 등장 했을 때 기존 아카데미가 강요하는 사과의 그림은 백과사전에 나오는 사과의 개념을 그대로 보여주는 그림을 그릴뿐이었다. 하지만 개념적으로 그린 그림은 사과 각각의 차이를 나타낼 수 없듯이 개념적으로 그린 그림은 사과 자체의 고유한 차이를 드러낼 수 없다. 인상주의 화가의 공로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이들은 처음으로 개념으로부터 벗어난 그림에 차이를 담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에 Slow Architecture의 접근 방법은 개념적으로 접근할 경우 인간과 공간의 다양성은 사라져 버리고 현실의 풍부함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동일성의 틀을 깨고 업압된 존재들의 다양하고 차별적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방법론으로 다가가고자 한다. (1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