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8521586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1-09-3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제4부 선교의 자유와 교회의 성장
제1장 조불조약과 선교의 자유
제1절 개항 이전의 교회 상황
1. 1868년의 조선 대목구 성직자 회의
1) 개최 배경
2) 성직자 회의의 소집 경위
3) 결정 사항
2. 선교사들의 재입국 시도
1) 칼레 신부의 시도와 실패
2) 차쿠 회의 이후의 거듭된 실패
3. 리델 주교의 조선 대목구장 취임과 활동
1) 리델 주교의 조선 대목구장 취임
2) 리델 주교의 조선 입국 노력
제2절 조불조약과 교회
1. 개항기 교회와 블랑 신부의 활동
1) 블랑 신부의 입국 성공
2) 교회 재건 활동
3) 리델 주교의 입국과 추방
4) 조선교회의 새로운 변화상
2. 조불조약 체결 과정
1) 1차 협상의 결렬
2) 2차 협상의 개시
3) 쟁점 해소와 조약의 체결
제2장 교회의 정비
제1절 교세의 확장과 본당의 설립
1. 교세의 증가
2. 본당의 설립
제2절 신학교의 설립과 조선인 성직자 양성
1. 신학생 교육의 재개
2. 부엉골 예수성심신학교의 설립
3. 용산 예수성심신학교의 사제 양성
1) 신학교의 용산 이전
2) 교수진과 교육 과정
3) 신학생 수의 변화
4) 교사의 신축 및 별장의 설치
5) 사제 배출
제3절 《조선교회 관례집》의 간행
1. 성직자 시노드의 개최
2. 조선교회의 신앙생활 지침
제4절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초청과 정착
1. 블랑 주교의 수녀회 초청
2. 수녀회의 정착
3. 조선인 수녀의 양성
4. 제물포 수녀원의 설립
제5절 교회의 사회 복지 사업
1. 영해회 사업의 재개
2. 양로원의 개설
3. 의료 활동
제6절 순교자 시복 추진
1. 기해ㆍ병오박해 순교자의 시복 추진
2. 병인박해 순교자 조사 진행
제3장 교회와 근대사회의 충돌
제1절 조불조약 이후의 교회
1. 교회의 안정과 확산
2. ‘양대인’(洋大人) 선교사
제2절 교안의 특성
1. 발생 시기와 원인
2. 교안의 유형
1) 선교사가 중심에 있던 교안
2) 신자들 사이의 문제에 선교사가 개입한 교안
3) 신자와 비신자 사이의 문제에 선교사가 개입된 교안
3. 교안과 교세
제3절 선교사와 향촌 사회의 갈등 : 김천 교안(金泉敎案, 1892)
1. 배경
2. 발단과 전개
3. 사건의 처리
1) 조조 신부와 로베르 신부의 보고
2) 뮈텔 주교의 조처
3) 프랑댕 공사의 견해
4. 사건의 마무리
제4절 교회와 향촌사회의 갈등
1. 향반 토호와 교회의 충돌 : 강경포 교안(江景浦敎案, 1899)
1) 배경
2) 발단과 전개
3) 사건의 마무리
2. 교회와 지방관의 충돌 : 지도 교안(智島敎案, 1901)
1) 전라도 지역의 교세 성장과 세폐
2) 발단과 전개
3) 사건의 마무리
제5절 교회와 민란세력과의 충돌 : 제주 교안(濟州敎案, 1901)
1. 배경
1) 제주도 천주교회의 성장
2) 천주교 신자와 도민의 갈등
3) 봉세관 제도의 신설과 세폐
4) 상무사를 중심으로 한 제주도민의 동향
2. 발단과 전개
3. 사건의 마무리
제6절 타종교와의 갈등 : 해서 교안(海西敎案)
1. 원인
1) 빌렘 신부의 선교 활동과 교세의 증가
2) 프로테스탄트 교회와의 갈등
3) 황해도의 지역적 특성
2. 발단과 전개
3. 사건의 마무리
제7절 친일 세력과의 충돌 : 영암 교안(靈巖敎案)
1. 일진회(一進會)의 활동
2. 발단과 전개
3. 사건의 마무리
제8절 교회와 국가의 조약들
1. 〈교민조약〉(敎民條約)
2. 〈교민화의약정〉(敎民和議約定)
3. 〈선교조약〉(宣敎條約)
제4장 교회의 교육ㆍ문화 활동
제1절 교육 활동
1. 학교의 설립과 운영
1) 서울 지역의 교육기관
2) 경상도 지역의 교육기관
3) 평안도ㆍ황해도 지역의 교육기관
4) 전라도 지역의 교육기관
5) 충청도 지역의 교육기관
2. 교육 내용과 재정
3. 여성 교육
제2절 출판 활동과 언론 활동
1. 출판 활동
1) 목판 인쇄소의 설립
2) 성서 활판소의 설립
3) 신앙의 자유와 출판의 활성화
4) 《??셩경》의 간행
2. 언론 활동
1) 〈경향신문〉의 간행
2) 〈경향신문〉의 내용
3) 〈경향신문〉의 폐간과 끼친 영향
4) 〈보감〉의 간행
제3절 서양식 성당 건축
1. 약현 성당
2. 명동 성당
3. 계산 성당
4. 원효로 성당
5. 풍수원 성당
제4절 한옥 성당 건축
1. 되재 성당
2. 공세리 성당
3. 청계동 성당
4. 장호원 성당
5. 나바위 성당
6. 수류 성당
색인
책속에서
조불조약과 선교의 자유
1876년 2월 조선과 일본이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조선사회는 본격적으로 개항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러자 지난 10년 동안 만주에서 선교사들이 조선으로 입국하기 위하여 노력한 것과 더불어, 조선 내에서도 병인박해의 모진 시련 속에서 살아남은 신자들이 다시 성직자들을 모셔오기 위한 활동을 펼쳤다.
교회의 정비
조불조약의 체결 이후 선교사들이 지속적으로 입국하고, 조선인 사제들이 배출되면서 성직자의 숫자가 크게 늘었다. 예컨대 1885년에는 11명에 불과했던 성직자의 숫자가 1903년에는 54명으로 약 5배 증가하였다. 그들은 각 지역의 행정 및 경제 중심지에 정주하면서 본당을 설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황해도, 평안도, 제주도 등에도 신앙을 전파하였다. 이로 인해 개항기 조선 천주교회의 교세가 크게 신장되었던 것이다.
교회와 근대사회의 충돌
신자들의 거주지가 달라지면서 자연히 본당도 감영 소재지와 고을의 중심지역, 개항장 등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지역에 설립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 교회는 자연히 여러 가지 일상적인 이권 다툼이나 갈등에 개입될 여지가 커졌다. 이제 천주교회는 한국사회 내부로 스며들어 신앙생활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생활과도 긴밀하게 얽히면서 ‘교안’(敎案)이라는 새로운 분쟁을 맞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