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인
· ISBN : 9788985840064
· 쪽수 : 541쪽
· 출판일 : 2014-04-2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조국과 군 그리고 베트남
제1장 파병, 어려운 선택
제2장 멀고도 험난한 길
제3장 부대편성과 적응훈련
제4장 고 강재구 소령과 재구대대
제5장 자랑스러운 선택
제6장 베트남전쟁의 장애
제7장 나의 전략과 전술
제8장 군사작전 이외의 문제들
제9장 설득과 절충의 고비
제10장 맹호 길들이기 작전
제11장 맹호5호작전
제12장 세계에 떨친 두코 전투
제13장 맹호6호작전의 쾌거
제14장 백마사단의 초기 작전
제15장 청룡여단의 초기 작전
제16장 해병의 신화 짜빈동 전투
제17장 전장의 뒤안길
제18장 역사적인 오작교작전
제19장 주요 작전의 배경과 성과
제20장 그날을 되돌아보며
제21장 베트남전쟁 참전에서 얻은 것
에필로그
저자 경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하간 미국은 실패했더라도 한국과 한국군은 실패하지 않았다는 것이 많은 역사학자나 군사평론가의 공통된 견해이다. 나 또한 그 평가에 동의한다. 왜냐하면, 베트남전을 통해 대한민국과 국군은 더 융성의 길로 들어섰기 때문이다. 베트남전을 통한 경제적 효과는 참으로 엄청났다. 아마 오늘날의 경제 대국의 모태 역할이 되었다고 나는 지금도 확신하고 있다. 또한, 우리 국군은 세계만방에 그 우수성을 떨쳐 세계가 인정하는 일류 군대로 도약했다.
특히 한국군이 미군사령관의 지휘하에 들어간다면 미국의 전략전술을 따라야 하고, 그렇게 되면 걷잡을 수 없는 다량의 희생자가 발생한다고 나는 믿고 있었다. 당시 미군이 적용하고 있던 전략은 게릴라전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정규전 형태의 탐색과 섬멸(search & destroy)을 기간으로 작전을 전해하고 있었다. 전쟁은 우리의 강점을 가지고 상대방의 약점을 쳐야 승산이 있는데, 미군이 어떻게 베트남 정글의 베트콩을 탐색한단 말인가. 이같이 근본이 잘못된 전략으로 베트남전을 수행하고 있는 미군의 작전지휘하에 들어간다는 것은 절대 용납될 수 없었다.
우리 한국군이 건군 이래 최초로 해외에서, 더구나 열대의 정글에서 정규전이 아닌 게릴라전 상황하에서 수행하는 특수한 전쟁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에 대처하는 부대운용 방식도 달라져야만 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에 도착한 1965년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는 본격적인 작전을 지양하면서 현지 적응훈련 위주로 부대를 운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기본방침과 실천방안을 세웠다.



















